축일 11월 26일 그리스도 왕 대축일(이동축일) (성서 주간)
26 novembre (celebrazione mobile) Cristo Re dell'universo Christ the King
하느님 나라를 이루고자 온 힘을 다하는 신앙인들은 인간을 구원하시려고 이 세상에 오신 그리스도를 왕으로 받들어 모신다. 오늘은 우리가 세례로 그리스도의 왕직(봉사직)에 참여하게 됨을 기념하고, 온 세상이 그리스도의 다스림에 따라 새롭게 되도록 온 힘을 기울이며, 이를 위해 기도하는 축일이다. 교황 비오 11세는 1925년에 연중 마지막 주일을 ’그리스도 왕 대축일’로 제정하였다.
또한 한국 교회는 1985년부터 연중 마지막 주간을 ’성서 주간’으로 정하여, 성서 읽기 운동과 함께 성서 보급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성서 주간을 맞아 모든 신자는 성서를 늘 가까이하고 생활 속에서 하느님의 말씀을 실천하도록 더욱 힘써야 한다.
전례력으로 한 해의 마지막 주일인 오늘은 하늘과 땅의 주재자이신 주님 앞에서 우리의 모든 삶을 셈하여 바치는 날입니다. 주님께서 오시는 그 마지막 날의 운명은 오늘의 자그마한 일에서부터 시작됩니다. 그리스도의 다스림은 절대 권력의 행사가 아니라, 바로 이웃을 섬기는 일입니다. 누구든지 하느님의 나라에 들어가기를 바라는 사람은 지금 세상에서 가장 보잘것없는 사람들을 바로 주님으로 모셔야 합니다. 또한 교회는 오늘부터 한 주간을 성서 주간으로 정하여 나날의 삶에서 하느님 말씀을 실천하도록 격려합니다.
(가톨릭홈에서)
[Russian Icon] The Savior XIV c., Cathedral of the entombment, Cremlin, Moscow
1. 그리스도왕의 의미
예수 그리스도께서 당신의 왕국을 다스리는 왕이심을 나타내는 말이다. 그리스도께서 죽기까지 순명하셨으므로 성부께 들어 높임을 받으시고 당신 왕국의 영광을 차지하셨다. 그리스도왕께서는 그 왕국을 확장하시고 모든 것을 당신께 복종시킬 것이며, 마침내 당신 자신과 이 모든 피조물을 성부께 복종시킴으로써 하느님을 모든 것에 있어서 모든 것이 되게 하실 것이다(1코린 15,27-28).
그리스도왕은 구약에서 예언되고 준비되었다. 가나안 정착시기에 왕정의 필요를 느낀 이스라엘은 야훼의 이름으로 기름부음을 받은 왕을 탄생시켰고 왕조의 존속을 약속 받았다(2사무 7장). 그러나 다윗 왕조가 무너지자 종말의 왕인 메시아의 약속이 있었다(에제 34장).
왕이신 메시아에 대한 백성들의 기대는 인간적인 희망과 현세적인 왕권 관념으로 가득 차 있었으나 예수는 지상 생활 동안 그 기대에 부응하지 않았다. 예수는 헤로데의 권위도, 로마황제의 권위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지 않았다.
예루살렘 입성 때 당신을 이스라엘 왕으로 찬양하는 백성을 묵인하고 빌라도 앞에서 당신이 이스라엘 왕임을 부인하지 않았으나 당신의 왕국은 이 세상의 것이 아니라 하였다(요한 18, 36-37). 그 왕국의 성격은 십자가에 달린 예수께 군사들이 조롱한 행위에서 드러난다. 예수의 왕위는 십자가에서 빛나고 있으며, 왕의 영광은 부활 후에, 그리고 재림 때 나타나는 것이다.
2. 그리스도왕 대축일
1970년 교회는 그리스도 왕권의 우주적, 종말론적 특성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이 축일을 "우주의 왕이신" 그리스도의 축일로 만들면서 마지막 연중 주일에 지내도록 하였다. 이렇게 됨으로써 대림절은 주님의 영광중에 오시는 시기로 드러나게 되었다.
고쳐진 본기도의 두 번째 부분이 이 축일의 주제가 바뀌었음을 분명히 보여준다. "죄로 인하여 상처를 입어 갈려진 모든 인간 가족이 예수의 어진 통치권에 복종하게 하소서"(1925년 본기도). 개정된 본기도는 하느님께 다음과 같이 청한다. "온갖 창조물이 노예 상태에서 해방되어 당신을 섬기며 끝없이 당신을 찬미하게 하소서."
(꼰벤뚜알프란치스코회홈에서)
◎ 주님께서는 임금님, 위엄을 차리셨도다. ○ 주님께서는 임금님, 위엄을 차리시니, 주님께서 차리시어 권능을 띠 띠시니. ◎ ○ 누리가 굳건하여 흔들림이 없나이다. 당신의 어좌는 예로부터 견고하니, 영원부터 당신께서는 계시나이다. ◎ ○ 당신의 증거는 너무나도 미더운 것, 당신의 집안에는 거룩함이 제 것이니, 길이길이 주님, 그러하리이다. ◎
주 하느님 말씀을 내 듣고 싶사오니 정녕 평화를 말씀하시나이다. 당신의 백성과 성도들에게, 그 마음 당신께 돌아오는 이들에게. 당신을 두려워하는 자에게는 구원이 정녕 가까우니 당신의 영광이 우리 땅에 계시게 되리라. 자비와 충성이 마주 서로 만나고 정의와 평화가 함께 입 맞추리라. 땅에서 충성이 움터 나오면 정의가 하늘에서 굽어보리라. 주께서 행복을 내려주시면 우리 땅은 열매를 맺어 주리라. 정의가 당신 앞을 걸어 나가면 구원은 그 걸음을 따라가리라."
시편 84(85),9 이하
그리스도 / 6세기경. 가장 오래된 이콘 시나이 성 카타리나 수도원
현존하는 6세기의 비잔틴 이콘(목판성화상)은 가장 오래된 것이며, 복음서를 왼손에 받들고 오른손의 중지와 약지를 구부려서 엄지 손가락에 붙여 축복의 형태를 나타내고 계신다. 둥근 후광에 십자가가 장식적으로 묘사되어 있지만 후대의 것에 반드시 첨가되는 OΩN(존재하는자) IC,XC(예수그리스도)와 같은 신성을 나타내는 네개의 문자는 없고 대신에 건축물이 그려 넣어져 있다. 엷은 오랜지 색과 백색으로 완성한 얼굴은 고귀하고 위대하지만 대단히 사실적이다. (이콘.신비의 미에서)
|
'<가톨릭 관련> > ◆ 축일 & 성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축일 11월26일 성 요한 베르크만스 (0) | 2011.11.05 |
---|---|
축일 11월25일 알렉산드리아의 성녀 가타리나 동정 순교자 (0) | 2011.11.05 |
축일 11월24일 성 안드레아 둥락 사제와 동료 순교자 (0) | 2011.11.04 |
축일 11월23일 성 골룸바노 아빠스 (0) | 2011.11.04 |
축일 11월23일 성 클레멘스 1세 교황 순교자 (0) | 2011.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