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 현석문 가롤로(玄錫文 Charles) 축일 9월 20일
성 현석문 가롤로(Carolus) (문학진 작)
신 분: 회장, 순교자 활동지역: 한국(Korea) 활동연도: 1797-1846년 같은이름: 가롤루스, 까롤로, 까롤루스, 샤를, 샤를르, 찰스, 카롤로, 카롤루스, 칼, 현가롤로
성 현석문 카롤루스(Carolus, 또는 가롤로)는 1801년에 순교한 현계흠 베드로(Petrus)의 아들이고, 기해박해 때에 순교한 현경련 베네딕타는 그의 누님이며, 서울의 중인 계급 출신이다. 뿐만 아니라 그의 아내 김 테레사(Teresia)와 아들 은석이도 기해박해 때 순교하였다. 그의 생애는 한마디로 선교사와 교우들을 위한 삶이었다. 주문모 신부의 순교 이후 조선 땅에 성직자가 한 명도 없을 때, 그는 유진길, 정하상 및 조신철 등과 의논하여 성직자 영입운동을 전개하였다. 앵베르(Imbert, 范世亨) 주교를 영입하기 위하여 중국에도 다녀왔고, 샤스탕(Chastan, 鄭) 신부의 복사로서 항상 수행하던 중에 기해박해가 일어났다.
이때 그는 자수하려고 하였으나, 선교사들이 만류하며 오히려 살아남은 신자들을 돌보아 주는 것이 좋겠으니 숨어 다니며 세심한 주의로써 포졸들의 손에 잡히지 않게 하라고 권하자 이를 따랐다. 앵베르 범 주교는 세상을 떠나기 전에 조선교회를 현 카롤루스에게 맡겼다. 그래서 그는 주교의 뜻에 어긋남이 없도록 임무를 다하기 위해 이재영이라고 하는 가명을 사용하고 다니면서, 새 신자들을 격려하고 권면하는 한편 각지로 돌아다니며 얻은 것으로 가난한 이를 도와주고, 흩어진 신자들을 모아 포졸들의 수색이 거의 없는 마을로 인도하는 등 동분서주하며 맡은 바 직책을 성의껏 수행하였다.
또 앵베르 주교가 수집했던 '기해일기'를 다른 동료들과 함께 보완하여 순교자의 전기를 완성하였다. 또 신자를 북경에 보내어 선교사들과 연락을 맺어 보려고 애썼으며,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가 부제 때에 여러 가지 위험을 무릅쓰고 상해로 길을 떠났을 때에도 함께 수행하였다. 서울로 돌아와서 김 신부가 거처하던 석전동의 집을 자기 명의로 등기하였는데 이것은 대단히 위험한 행위였다. 김 신부가 체포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그는 그 집을 버리고 다른 집을 사들여 전교자금과 성물들을 사포서동의 새 집으로 옮겼다.
이렇게 한지 며칠 뒤에 포졸들이 그를 잡으려고 전에 살던 집을 습격하였지만 헛수고였다. 그러나 뜻밖에도 이사할 때에 현 카롤루스를 도와주고 그 후에도 2, 3명의 신자들을 새집으로 안내한 일이 있었던 짐꾼들이 사실대로 고발하여 곧 포교들에게 체포되었다. 그때 그곳에 와 있던 김임이 테레사, 이간난 아가타, 정철염 카타리나(Catharina), 우술임 수산나 등도 함께 붙잡히게 되었는데, 이때가 1846년 7월 15일이었다. 이리하여 현 카롤루스는 중대한 반역 죄인으로 군문효수를 선고받아 9월 19일 새남터에서 49세의 나이로 순교하였다. 그는 1925년 7월 5일 교황 비오 11세(Pius XI)에 의해 시복되었고, 1984년 5월 6일 한국 천주교회 창설 200주년을 기해 방한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Joannes Paulus II)에 의해 시성되었다.
[한국교회 선교의 뿌리를 찾아서] 평신도 - 성 현석문 가롤로 박해 피하며 순교자 전기 집필
성직자영입운동 힘쓰고 회장직분에 충실 순교할 때까지 교우들 돌보며 순교 권면
한국교회 103위 성인을 돌이켜보면, 그 가운데 26명이 공식적으로 회장직분을 수행했음을 알 수 있다. 실제로 본당회장과 공소회장, 전교회장, 여회장 등 회장제도는 한국 천주교회의 고유한 제도로서 교회 초창기의 특수한 상황에서 비롯됐다.
회장직분을 성실히 수행한 다른 성인들처럼 평신도 현석문(가롤로) 또한 회장직을 수행한 성인 가운데 하나다.
하지만 그에게 더욱 주목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1839년 기해박해를 피해 비교적 오랜 기간 살면서 성직자영입 운동에 힘썼고, 순교자들의 기록을 정리한 「기해일기」를 펴냈으며, 회장직에 충실했던 인물이었기 때문이다.
현석문은 신유박해 순교자 현계흠의 아들이자, 기해박해 순교자 현경련 성인의 동생이다. 현석문이 병오박해에 순교했으니, 이들 가족을 통해 한국 천주교회 순교사가 그대로 눈에 보이는 셈이다.
현석문은 서울 중인 계급 출신으로 독실한 교우 집안에서 태어났다. 5살 때 부친을 잃고, 1821년 14살 때 네살 위인 김 데레사와 결혼, 아들과 딸 하나씩을 두었다. 그는 서울에 올라와 명도회원이 돼 1827년 이경언과 정하상을 도와 성직자 영입을 꿈꿨으며, 1837년 샤스탕 신부가 서울에 도착하자 그의 '복사'로서 교우촌을 순회했다.
1839년 기해박해가 시작되자 회장에 임명돼 앵베르 주교로부터 순교자들의 행적을 수집하고 조선교회를 돌보라는 임무를 맡았으며, '이재영'이라는 이름으로 몰래 피신하며 신앙활동을 계속했다. 그의 가명은 기해박해 당시 목숨을 잃은 정하상 등 동료들과는 달리 그가 피신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준듯하다.
현석문이 피신한 것은 자신의 안위만을 위해서는 아니었다. 그는 자신이 수집한 기해박해 순교자들의 행적과 최영수, 이재의, 이문우 등이 수집한 순교자료를 토대로 순교자들의 전기를 완성했다. 이것이 곧 「기해일기」다.
또한 각지에 흩어진 교우들을 직접 찾아가 격려했으며, 1845년에는 김대건 신부와 함께 중국 상해에 다녀오기도 했다. 당시 김대건은 부제였는데 현석문을 만나 「기해일기」를 토대로 '조선 순교사와 순교자들에 관한 보고서'를 썼으며 그것을 마카오로 보냈다. 이는 훗날 순교자들의 순교 사실과 상황을 입증하는 자료가 된다.
1846년 6월 김대건 신부가 황해도에서 체포된 다음달인 7월, 현석문이 체포되는데 그가 숨겨주었던 여교우 김임이와 정철염 등도 함께 체포돼 포도청으로 압송됐다. 현석문은 교회 지도자이자 외국을 비밀리에 왕래했다는 죄목 등이 추가돼 다른 교우들보다 심한 문초와 무거운 벌을 받았으며, 군문효수형에 처해졌다. 9월 19일 50세의 나이로 새남터에서 순교할 때까지 그는 함께 갇힌 교우들을 위로하고 순교로 나아갈 수 있도록 권면하며 지냈다고 한다.
1925년 교황 비오 11세에 의해 복자품에 올랐으며, 1984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시성된 103위 성인에 속한다.
[가톨릭신문, 2011년 5월 15일, 오혜민 기자]
서울대교구 절두산 순교성지 순교자 박물관에 있는 현석문 가롤로 성인 영정
[신앙 유산] 순교자들이 쓴 순교자들의 전기 : 현석문 등의 기해 일기 조광 이냐시오(고려대학교 교수)
머리글
19세기말 개항기에 조선을 찾은 외국인 학자들은 조선에 전적(典籍)이 많다는 사실에 깜짝 놀랐다. 그리하여 그들은 조선을 "전적의 나라", "문헌의 나라"로 부르기도 하며, 그 풍부한 문헌 자료들에 찬탄을 아끼지 아니했다.
각종 전적과 같은 문헌 자료가 많이 남아 있다는 것은 문자 기록 자체를 소중하게 여겨 왔던 문화적 관행과 관계되는 현상이다. 사실, 우리 겨레는 예로부터 기록을 소중히 여겨왔으며, 어떠한 경우에라도 기록을 남기고자 노력했다. 이렇게 쓰여진 기록들 중 상당수는 잦은 전쟁으로 말미암아 흩어지고 불타 버렸다. 그러나 그 와중에서도 적지 아니한 기록이 남아 있어 우리 나라는 "전적의 나라"로 불리우게 된 것이다.
문자 기록을 존중하던 겨레 문화의 전통은 이땅의 천주교 신도들에게도 이어져 갔다. 그들은 박해의 피보라가 어지러이 춤추는 가운데서도 기록을 남겨 자신의 믿음을 후세에 전하고자 했다. 또한 그들은 믿음 때문에 죽거나 잡힌 형제들의 굳은 믿음과 떳떳한 몸가짐을 밝히고 이를 본받고자 했다. 이 과정에서 기해 일기와 같은 순교자들의 기록이 탄생되었다.
저술 당시의 상황
기해 일기는 1839년을 전후하여 순교한 사람들의 행적을 기록한 책이다. 기해 일기가 쓰여지던 당시 조선 천주교회의 상황은 이러하다. 즉, 1831년에 조선교구가 세워진 이후, 조선교구의 선교는 파리 외방 전교회에 위임되었다. 이에 파리 외방 전교회의 선교사들은 1836년 이후 조선에 입국하여 비밀리에 선교 사업을 진행시키고 있었다. 이들의 선교 활동과 조선인 신도들의 자기 희생적 노력으로 조선 천주교회는 날로 발전해 갔다. 그리하여 1835년에 6천여 명이었던 신도들이 1839년경에는 9천여 명을 헤아리게 되었다. 불과 4년여 만에 4000여 명의 신도가 불어난 것이었다.
한편, 천주교 신앙의 전파는 봉건사회의 해제기에 접어든 조선 왕조의 붕괴를 촉진하는 것이었다. 이에 집권층에서는 천주교 신앙의 금지라는 사상 통제 정책의 시행을 통해서 조선 왕조의 붕괴를 막고, 봉건적 통치 체제의 강화를 시도해 왔다. 이와 같은 시도는 새 왕이 즉위한 직후에 집중적으로 전개되었다. 예를 들면, 1801년의 신유 교난은 순조(純祖)가 즉위한 직후에 발생했으며, 1866년의 병인 교난도 대원군이 정권을 장악한 직후에 얼어났다. 한편, 천주교에 대한 탄압은 천주교 신앙이 폭발적으로 급격히 전파되는 지역에서 전개되기 마련이었다.
그런데 1839년(헌종 5년)은 천주교에 대한 탄압 과정에서 드러나는 위의 두 가지 특정 이 맞물려 있던 때였다. 더욱이 당시의 통치자들은 조선에 서양인 선교사가 몰래 들어와서 활동하고 있다는 사실도 알고 있었다. 이는 왕조 국가의 안전에 대한 심각한 도전으로 이해할 수 있는 사건이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1839년에 기해 교난이 일어났고, 이 교난의 피해자들에 관한 박해와 순교의 기록이 중심을 이루고 있는 기해 일가가 작성되었다.
저술 과정
기해 교난이 발생하자 조선교구의 제2대 교구장 앵베르(Imbert, 范世亨) 주교는 순교자들에 관한 기록을 정리하기 시작했다. 박해 초, 앵베르 주교는 수원 부근으로 몸을 피해 5개윌 가까이 숨어 지내면서, 순교자들에 관한 전기를 아주 상세하고 정확하게 기록해 놓았다.
그러나 앵베르 주교는 얼마 아니 가서 자신도 잡히게 될 것을 내다보았다. 그리고 이렇게 되면 이 순교자들의 행적이 영영 사라지게 될 것을 염려했다. 그래서 앵베르 주교는 서울에 있는 지도적 신도들에게 순교자의 전기를 계속해서 집필하도록 당부했고, 그 후 그는 체포되어 순교했다. 그런데 주교의 부탁을 받은 신도들로는 정하상(丁夏祥), 현경련(玄敬連), 이문우(李文祐), 최영수(崔榮受), 현석문(玄錫文) 등이었다.
이들 중 정하상과 현경련은 1839년에 순교했고, 이문우도 1840년초에 순교하게 되었다. 이에 최영수와 현석문은 순교자의 행적을 수집하고 확인하며 보충하는 작업을 계속했다. 그러다가 최영수마저 1841년 8월에 순교하게 되니, 순교자의 기록을 정리하는 일은 현석문만의 몫으로 남게 되었다.
앵베르 주교의 부탁을 받았던 사람 가운데 홀로 남게 된 현석문은 그 부탁을 실천하기 위해 그의 목숨을 지켰다. 그리고 그는 이재의(李在誼)와 최 베드로의 도움을 받으며 이 작업을 계속했다. 현석문은 1845년 페레올(Ferreol) 주교가 입국하자 이 작업 결과를 전했다. 그리고 그는 1846년의 병오 교난 때 잡히어 순교하였다.
앵베르 주교를 거쳐 현석문에게까지 이어졌던 순교자 전기의 정리 작업은 이러한 과정을 통해 페레올 주교에 의해 계승되게 이르렀다. 페레올 주교는 이 기존의 기록에다가 1846년에 순교한 김대건 신부와 현석문 등의 기록을 덧붙여 기해 일기를 완성했다. 페레올 주교의 이 작업 완수는 최양업(崔良業) 신부의 기여도 컸다. 최양업 신부는 이 기록들을 라틴어로 옮기는 작업도 했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오늘 우리가 볼 수 있는 기해 일기가 완성되었다.
현석문은 누구인가?
기해 일기는 어느 한 사람의 저작이 아니다. 이 기해 일기가 완성되는 과정에서 중요한 구실을 한 인물로는 앵베르, 현석문 및 페레올을 들 수 있다. 이 세 사람 중에서도 현석문의 역할은 상당히 중요한 것이었다. 이 때문에 현석문은 기해 일기의 저자로 알려지기까지 한 듯하다. 그러나 그는 기해 일기의 공동 저자 가운데 한 사람일 뿐이다.
그렇다 하더라도 기해 일기의 저작에 미친 현석문의 역할을 과소 평가할 수는 없을 것이다. 현석문(1797~1846년)은 1801년 신유 교난 때 순교한 현계흠의 아들이었다. 그는 아버지의 신앙을 이어받아 박해받는 교회를 이끌어 나가는 데에 자신을 바쳤다. 1837년 앵베르 주교가 입국한 이후 그는 주교의 복사 겸 서울의 회장으로 임명되었다. 박해가 일어나자 아마도 그는 순교를 신앙인적 삶의 일부로 받아들이며 '순교에의 동경'을 가지고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는 앵베르 주교로부터 순교자의 전기를 기록해서 남기라는 부탁을 받았다. 이 부탁 때문에 그는 '순교에의 유혹'을 뿌리치고 살아서 기록을 남기는 길을 택하게 되었으리라. 그리고 박해가 끝난 후 그는 교회의 재건을 위해 노력했다. 그리고 김대건과 함께 중국의 상해에까지 가서 페레올 주교와 다블뤼(Daveluy) 신부를 맞아들이는 데에 일조했다. 그는 1846년 병오 교난 때에 김대건 신부와 함께 새남터에서 순교했다. 1925년 그는 교황 비오 11세에 의해 복자로 선포되었고, 1984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그를 성인으로 선포하였다.
기해 일기의 가치
기해 일기는 현석문 등에 의해 철저히 조사, 정리된 1839년 전후의 순교자에 관한 전기(傳記) 자료이다. 이 자료에는 모두 78명의 순교자들이 기록되어 있다.
1839년과 1846년의 박해 때에 순교한 이들의 시복을 위한 노력은 1847년에 시작되었다. 이때 순교에 관한 조사 자료로 기해 일기가 번역 제출되었고 이로써 시복 수속이 시작될 수 있었다. 그 결과 1857년에는 기해 일기에 포함된 순교자 가운데 70명이 가경자가 될 수 있었고, 이들 중 69명은 순교 성인으로 추앙을 받고 있다. 이로써 기해 일기는 한국 성인의 탄생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맡아 준 근본 자료라 할 수 있다.
기해 일기는 박해를 무릅쓴 신앙인들의 고백적 기록이며, 박해 시대의 교회상을 전해 주는 귀중한 사료이다. 기해 일기는 봉건 질서 강화책의 희생양들에 대한 기록이며, 19세기 전반기 조선 왕조의 사회상과 형행 제도를 잘 설명해 주는 흥미 있는 자료이다. 기해 일기는, 또한 문학적 향기가 듬뿍 배인 문학 작품으로서의 의미도 함께 가지고 있다. 이 기해 일기는 순교자들이 쓴 순교자들의 전기이며 성인이 쓴 성인전인 것이다. 이러한 데에서 우리는 기해 일기의 가치를 찾을 수 있다.
이 기해 일기는 1905년에 활판본으로 간행된 바 있다. 그리고 1986년 성 황석두 루가 서원에서는 이를 오늘날의 맞춤법으로 바꾸어 간행하기도 했다.
[경향잡지, 1991년 1월호]
성 현석문 가롤로(玄錫文 Carolus, 탁희성 비오 작)
성 현석문(玄錫文) 가롤로(1797-1846)
현석문 가롤로는 서울 중인 계급의 독실한 교우 가정에서 태어났는데 가족이 모두 순교자가 되었다. 아버지 현계흠은 1801년 신유박해 때 순교했고, 1839년 기해박해 때에는 그의 아내와 아들, 그리고 누나 현경련 베네딕타가 순교했다. 1839년 기해박해가 일어나자 현석문은 범 라우렌시오 주교가 순교할 즈음에 회장으로 임명되어 박해가 끝난 후, 신부 없는 조선교회의 지도자로서 순교자들의 기록을 정리하여 "기해일기"를 편집했고, 포졸들에게 쫓기면서도 이름을 바꾸어 모면하고 각지에 흩어져 있는 교우들을 찾아가 격려했으며 또 중국교회에 밀사를 보내고, 1845년에는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와 동행하여 상해에 다녀오기도 했다.
이렇게 활동하던 현석문은 1846년 김대건 신부가 체포되자 신부집에 남아있던 여교우들을 새로 마련한 집에 피신시키고 자신도 그 집에 숨어 있다가 7월 11일 함께 있던 정철염(카타리나), 이간난(아가타), 김임이(데레사) 등과 함께 체포되었다. 체포된 후 현석문은 함께 갇힌 교우들을 위로하고 권면하며 끝까지 회장의 직분을 다했다. 마침내 9월 19일 50세의 나이로 '새남터'에서 군문효수형을 받고 순교했다.
- 현경련(玄敬連) 베네딕타는 누님. - 성녀 김임이(金任伊) 데레사, 성녀 이간난 아가타, 성녀 정철염(鄭鐵艶) 가타리나와 함께 체포됨. |
'<가톨릭 관련> > ◆ 103위 성인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 홍병주 베드로(洪秉周 Peter) (0) | 2012.10.05 |
---|---|
성녀 현경련 베네딕타(玄敬連 Benedicta) (0) | 2012.10.05 |
성녀 허계임 막달레나(許季任 Magdalen) (0) | 2012.10.05 |
성 허임 바오로(許- Paul) (0) | 2012.10.05 |
성녀 한영이 막달레나(韓榮伊 Magdalen) (0) | 2012.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