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밖 나서니 갈 곳이 없네
늙는다는 것은 분명 서러운 일이다. 늙었지만 손끝에 일이 있으면 그런대로 견딜 만하다. 쥐고 있던 일거리를 놓고 뒷방 구석으로 쓸쓸하게 밀려나는 현상을 ‘은퇴’라는 고급스런 낱말로 그럴듯하게 포장하지만, 뒤집어 보면 처절한 고독과 단절이 그 속에 숨어 있다. 그래서 은퇴는 더 서러운 것이다.
방콕(방안에 콕 처박혀 있는 상태)이란 단어가 은퇴자들 사이에 유행하고 있다. 세간에서는 그들을 화백(화려한 백수), 불백(불쌍한 백수), 마포불백(마누라도 포기한 불쌍한 백수) 등으로 나누고 있다. 그러나 화백이든 불백이든 간에 마음 밑바닥으로 흐르는 깊은 강의 원류는 ‘눈물 나도록 외롭다.’는 사실을 한 치도 벗어날 수 없다.
화백도 골프 가방을 메고 나설 때 화려할 뿐이지 그들도 집으로 돌아오면 심적 공황상태인 방콕을 면치 못한다. 집단에 소속되지 못하고 지속적인 노동의 즐거움을 잃어버렸기 때문이다. 어제 진 태양은 오늘 다시 떠오르지만, 은퇴자들은 어제도 갈 곳 없었지만 오늘 역시 갈 곳이 없기는 마찬가지다.
이럴 때마다 다산 선생의 ‘독립’이란 시를 기억해 내곤 혼자 웃는다. '대지팡이 짚고 절간에나 노닐까 생각다가 그냥 두고 작은 배로 낚시터나 가볼까 생각하네. 아무리 생각해도 몸은 이미 늙었는데 작은 등불만 예전대로 책 더미에 비추네.'
곰곰 생각해 보면 방콕이 獨樂(독락)으로 가는 지름길이 아닌가 생각된다. 영화나 책을 둘이 나란히 앉아서 본다고 두 사람이 함께 보는 것인가. 아니다. 나는 내 것을 보고 너는 네 것을 볼 뿐이다. 그래서 생애도 혼자서, 죽음도 홀로 맞는 것이다.
모든 위대한 것들은 모두 홀로이다. 태양이 그렇고 하나님이 그러하다. 태양에 암수가 있고, 아버지 하나님과 어머니 하나님이 함께 계신다고 가정해보면 알 것이다. 온리 원(only one)이란 고독이 얼마나 위대한 존재인가를….
경주 안강의 자옥산 기슭으로 낙향한 회재 이언적 선생도 독락당을 짓고 인고의 7년 세월을 외로움과 함께 버텨냈다. 사무치도록 외로웠기 때문에 담을 헐어낸 자리에 살창을 끼워 계곡의 물소리를 눈으로 들으면서 세월을 보냈다.
조선조 초의 학자 권근의 '독락당기'를 보면 홀로의 즐거움이 일목요연하다. '봄꽃과 가을 달을 보면 즐길만한 것이지만 꽃과 달이 나와 함께 즐겨주지 않네. 눈 덮인 소나무와 반가운 빗소리도 나와 함께 즐기지 못하니 독락이라 해야 하지 않을까. 글과 시도 혼자 보는 것이며 술도 혼자 마시는 것이어서 독락이네….'
옛 선비들의 독락에는 다분히 풍류적인 즐거움이 서려 있지만 오늘의 백수들이 곧잘 읊조리는 '방콕'에는 궁상과 자탄이 한숨처럼 배어 있다. '강산과 풍월은 원래 주인이 없고 한가로운 사람이 바로 주인' 이라고 했으니 홀로 독락을 못 즐길 양이면 풍월의 주인이라도 될 일이다. 풍월주인은 정년도 없고 은퇴도 없다. ‘문 밖 나서니 갈 곳이 없네.’란 말은 입 밖에도 내지 말고….
*글 : 구활(수필가) |
'<좋은글 모음> > ◇ 좋은글모음(1)'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밑불이 되어주는 사람들 (0) | 2015.08.02 |
---|---|
언제나 당신 자신과 연애하듯이 살라 (0) | 2015.07.29 |
지금은 때가 아닐 뿐 (0) | 2015.07.18 |
나의 밭에는 어떤 씨를 뿌릴것인가 (0) | 2015.07.14 |
부담이 없는 동행 (0) | 2015.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