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판사판 (理判事判)
우리는 흔히, 막다른 궁지에 몰리거나 뾰족한 묘안이 없어서 끝장에 다다르면, 에라이~~이판사판 (理判事判)이다. 라고 한다. 이말은, 불교에서 유래되어진 말로서 도를 닦으며 정진하는 스님을 이판승, 행정과 관리를 담당하는 스님을 사판승이라고 하는데 이 두 부류의 관계에서 유래하여 "이판사판" 이라는 말이 생겨난 것이다. 즉, 이판(理判)과 사판(事判)이 붙어서 된 불교 용어로서 조선시대에 생성된 말이다.
조선은 건국이념으로 억불숭유(抑佛崇儒)를 표방하였다. 이것은 고려 말에 불교의 폐해가 극에 달했기 때문이며, 한편으로는 조선의 건국에 신흥 유학자 사대부 세력이 대거 참여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어쨌든 불교는 정권의 교체와 함께 하루 아침에 탄압의 대상이 되었다.
그리고 천민 계급으로 전락한 승려들 또한 활로를 모색해야 할 시점이 되었는데, 그 하나는 사찰(寺刹)을 존속시키는 것이었으며 다른 하나는 불법(佛法)의 맥(脈)을 잇는 것이었다 그래서 일부는 폐사(廢寺)를 막기 위해 기름이나 종이, 신발을 만드는 제반 잡역(雜役)에 종사하면서 사원을 유지하였다.
한편으로는, 은둔(隱遁)하여 참선 등을 통한 수행으로 불법을 잇는 승려들이 있었으니, 이를 두고 앞의 것을 사판, 뒤의 것을 이판이라 하였던 것이다. 결국, 조선시대를 거쳐 지금의 현대 불교가 융성한 것도 이 두 부류의 승려들이 자신들의 소임을 다했기 때문에 가능하였다.
그런데 이 이판사판의 뜻이 전이되어 부정적 의미로 쓰이게 된 데에는 시대적 상황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조선의 억불정책은 불교에 있어서는 최악의 상태였다. 승려는 최하 계층의 신분이었으며, 도성의 출입 자체가 금지되어 있었다. 자연히 당시에 승려가 된다는 것은 인생의 막다른 마지막 선택이었다. 그래서 이판이나 사판은 그 자체로 '끝장'을 의미하는 말이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
'<좋은글 모음> > ◇ 좋은글모음(4)'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람을 보는 아홉가지 지혜 (0) | 2016.08.02 |
---|---|
마음에 새겨야 할 좌우명 11가지 (0) | 2016.07.24 |
꽃을 피우는 삶이란 (0) | 2016.07.12 |
제자 아기 업고 강의한 교수… (0) | 2016.07.07 |
눈물 나도록 사십시오 (0) | 2016.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