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 먹는 아메바' 미국만의 일 아니라는데… 한국은? 스페인·파키스탄서도… ‘따뜻한 강’에서 주로 발견 전혜영 헬스조선 기자 l 2020.09.28 15:26
코로나로 인한 불도 꺼지지 않는 상황, 미국 텍사스는 '뇌를 파먹는다'고 알려진 미생물이 등장해 또 한번 '발칵' 뒤집혔다. 특히 이 미생물이 수돗물에서 발견된 것으로 알려져 시민들의 불안감은 커지고 있다. 수돗물에서 이와 같은 미생물이 발견된 이유는 무엇이며, 국내에서는 안심해도 되는 걸까. 텍사스에서 발견된 '네글레리아 파울러리'에 관해 자세히 알아봤다.
따뜻한 강물서 사는 미생물, 코로 들어가 뇌까지 침범
미국 텍사스주 레이크 잭슨시 수돗물에서 '뇌 먹는 아메바'로 알려진 '네글레리아 파울러리'가 검출됐다. 앞서 잭슨 시에 거주하는 6세 소년이 이 아메바에 감염돼 숨지자, 원인을 밝히기 위해 지역 상수원을 조사해 나온 결과다. 현지 방송에 따르면 레이크 잭슨 시장은 재난 사태를 선포하며 화장실 물을 내리는 용도 외에 수돗물 사용을 금할 것을 권고했다. 이어 시는 "수돗물이 다시 안전해지기까지 얼마나 걸릴지 불분명하다"며 "수돗물 테스트 안정성을 확보할 때까지 권고를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네글레리아 파울러리는 호수, 강, 온천, 토양 등에서 발견되는 단세포 생물로, 사람에게 '원발성 아메바성 수막뇌염(Primary amebic meningoencephalitis)'이라는 감염병을 유발한다. 아메바가 포함된 물이 코를 통해 인체에 들어오면 드물게 점막을 통과해 뇌척수액으로 침범한다. 마시는 물, 비말 등을 통해서는 감염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로 인해 기존 감염자들은 따로 소독되지 않은 강이나 호수에서 수영한 후에 감염된 경우가 많았다. 이번 6세 소년의 사례는 특이하게 오염된 수돗물로 샤워를 하는 과정에서 코로 들어가 전염된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단기간에 사망까지, 따뜻한 강에서 수영할 땐 주의를
네글레리아 파울러리에 감염될 확률은 극히 드물지만, 한번 감염되면 심각한 상황을 초래한다. 초기에는 세균성 수막염과 유사한 증상을 보인다. 약 5일간 두통, 발열, 메스꺼움, 구토 등 증상을 보이다 급격히 진행돼 목이 굳거나, 주의력 상실, 균형 상실, 발작, 환각 등 증상을 보인다. 이후 감염으로 인해 뇌 조직이 파괴되고, 대부분은 1~12일 만에 사망에 이른다. 미국 질병관리센터(CDC)에 따르면 미국에서는 지난 1962년부터 2018년까지 총 145명이 감염됐고, 이 중 4명만 생존했다. 사망률은 98.5%에 이르고, 효과적인 치료법도 없다.
다행히 국내에선 네글레리아 파울러리 발생 사례가 없다. 그러나 미국, 스페인, 파키스탄 등 해외 각지에서 발견된 사례가 있으므로 해외 거주자나 여행자는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여름철 미국 남부에서 비교적 흔하게 발생한 기록이 있으므로, 이 지역에서는 유속이 느린 강이나 호수에서 수영을 자제하는 게 좋다. 만약 따뜻한 물에서 수영을 하고 난 후 갑작스러운 발열, 두통, 구토 등 증상을 보인다면 즉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최근에는 네글레리아 파울러리 감염자가 '밀테포신'이라는 신약을 사용한 뒤 생존하기도 했다. |
'<정보 및 지식> > ◈ 건 강 관 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상 대화로 비말 2m 이상 전파 가능(연구) (0) | 2020.10.11 |
---|---|
한 곳 탈 나면 와르르… 중장년층 '다혈관질환' 주의를 (0) | 2020.10.11 |
혈관 속 피가 굳어간다” 혈전 예방에 좋은 식품과 운동 (0) | 2020.10.10 |
이 과일’ 먹은 하루, 뇌 활동 촉진된다 (연구) (0) | 2020.10.09 |
뇌 먹는 아메바, 수돗물 검출… 美 텍사스 '재난사태' 선포 (0) | 2020.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