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들에게 설교하는 성 프란치스코, 1296-1297년, 조토 디본도네 / 프레스코 아시시 성 프란치스코 성당, 이탈리아.
박혜원
14세기 이탈리아의 화가, 조토 디본도네(Giotto di Bondone, 1267?-1337년)는 무려 백여 년 전 르네상스를 예견한 회화사 속의 거장으로, 당시 피렌체 회화계의 대가였던 치마부에(1240-1302년)가 우연히 양을 몰고 언덕을 지나던 중, 소년 조토가 바위에 마치 살아있는 듯 그린 양을 보고는 그를 피렌체 자신의 공방으로 데려와 미술 교육을 시켰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피렌체 시민이었던 그는 아시시, 로마, 파도바, 밀라노, 나폴리 등지에서 활동하였고 여러 명의 조수를 거느리고 작업장을 운영할 만큼 번창하였다.
특히 그는 예수의 가난하고 희생적인 삶의 모습과 가장 가깝게 산 아시시의 프란치스코 성인에게 깊은 감명을 받았고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 성당에 성인의 생애의 주요 순간들을 아름다운 프레스코(fresco : 덜 마른 회반죽 바탕에 물로 갠 안료로 채색한 벽화)로 남겼다.
프란치스코 성인은 원래 아시시의 부유한 직물 상인의 아들이었다. 그는 어느 날 가난에 헐벗은 사람을 보고, 자신이 누리던 모든 부와 명예를 버리고 가난한 이들과 같이 살면서 하느님의 말씀을 삶으로 실천하며 전파하였다. 그가 세상을 떠난 2년 뒤 시성식이 거행되었고, 바로 그의 고향인 아시시에 성 프란치스코 성당이 건축되었다. 또한 가난과 기도의 삶을 산 성인의 겸손한 정신을 본받은 수도회, 프란치스코회가 생겨났다.
프란치스코 성인은 당시 중세의 관념적이고 신비주의적인 설교와 차별되는 매우 인간적인 설교를 하였고, 그가 몸소 실천하여 보여준 가난한 삶은 대중에게 깊은 감동을 주었다. 또한 그는 나무와 꽃, 새들과 신비스러운 대화를 나누었는데, 이는 “그들 속에 내재하는 창조주를 경건히 찬미”하는 행위였다.
이 프레스코 연작 중, ‘새들에게 설교하는 성 프란치스코’를 살펴보면, 새들에게 설교하는 프란치스코 성인과 그 뒤를 따르는 형제가 있다. 프란치스코 성인은 두 손을 들어 그의 주위에 모여든 흰 새들에게 설교를 하고 있는데 이는 그의 아름다운 신앙고백인 ‘태양의 찬가’에 나와있다. 구부정하게 허리를 굽혀 새들에게 조심스레 다가가는 성인의 온화한 모습에서는 겸손한 그의 인품이 드러나고 푸른 배경 속에 그려진 흰 새 한 마리가 설교를 들으려고 급히 날아드는 모습에서는 생동감과 위트가 넘친다. 당시 중세의 그림들이 평면적으로 처리된 것과 달리, 그가 걸치고 있는 넓은 옷은 그 속의 살과 피로 이루어진 몸뚱이가 느껴지도록 입체적으로 표현되었다.
또한 성인의 손 주위를 어두운 청색으로 처리하여 우리의 시선이 자연스럽게 그의 손으로 인도되도록 유도하는 장치 역시 기발하다. 특히 이 그림의 무성한 나무는, 당시 중세의 검은 실루엣으로 양식화되어 표현된 나무와 달리 세밀하게 관찰하고 묘사한 것으로 그 푸르른 생명력이 전해지는 듯하다. 배경처리 역시 혁신적인 것이다. 중세의 천상 공간을 상징했던 금빛 배경은 사라지고, 푸른빛의 현실적인 공간, 하늘이 등장하였다. 또한 이 공간은 세 개의 층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프란치스코 성인의 몸을 감싸는 짙은 푸른 공간은 연한 옷을 입은 성인의 몸을 돋보이게 해주고, 그 위의 연한 하늘색 공간은 넓게 열린 하늘, 그리고 그 위의 또 하나의 얇은 층의 푸른 공간은 화면을 조형적으로 정리해 줌으로써 그림의 구성을 더욱 견고하게 해주고 있다.
다음 작품은 파도바의 부유한 상인 엔리코 스크로베니의 의뢰를 받아 제작한 파도바 아레나의 스크로베니 경당 내부의 프레스코화로, 이 작은 가족 경당 측면 벽에는 ‘마리아와 요셉’, ‘요아킴과 안나’(성모의 양친), 그리고 ‘그리스도의 생애’ 장면이 그려졌다.
‘그리스도의 생애’ 중 ‘유다의 키스’라는 작품은 예수를 고발한 유다를 앞세워 경비병들과 군인들이 예수를 생포하는 장면을 그리고 있다. 이는 마르코 복음 14장에서 유다가 로마 군인들과 짜고 예수에게 다가가 “선생님!” 하며 입을 맞추자 군인들이 달려들어 체포하는 장면이다.
그림 전경 오른쪽의 분홍 옷의 남자는 다급히 손을 들어 사건을 저지시키려는 듯 보이고, 뒷모습을 보인 푸른 옷 차림의 남자는 견고하고 짧은 왼팔을 뻗어 한 남자의 옷자락을 잡아당기고 있다. 이 뒷모습의 남자 앞에는 머리에 후광이 있는 시몬 베드로가 “가지고 있던 칼을 뽑아, 대사제의 종을 내리쳐 오른쪽 귀를 잘라버렸다.”(요한 18,10)는 복음의 구절이 묘사되어 있다. 서양미술사에서 사람의 뒷모습이 등장한 것은 혁명적인 것으로, 이는 회화가 해왔던 서술적인 역할을 넘어 장면의 사실성과 드라마틱한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법이 시도된 것이다.
또한 조토를 시작으로 비현실적인 금빛 배경은 푸른 하늘로 대치되었고 거칠게 그려진 흙바닥 역시 매우 사실적이다. 한눈에 들어오는 노란 망토 차림의 유다는 가식적인 몸짓으로 예수를 끌어안고 있는데, 그의 손으로부터 흘러내리는 커다랗고 단순하고 아름다운 옷의 주름은 우리의 시선을 자연스럽게 이들에게로 인도하고, 분홍 옷의 남자와 노란 망토의 유다 그리고 등을 돌린 푸른 옷의 인물에게 은은하게 비추어지는 자연광은 몸에 입체감과 무게감을 강조하여 생명력을 불어넣는다.
그의 그림에서 공간을 연출하는 것은 건물이 아니라 사람들이다. 이같이 조형적인 조화와 통일성으로 그려진 그의 솔직한 그림은 강한 호소력을 갖는다. 단순한 형태와 구성, 선명하게 규정된 인물의 무리, 이야기의 단순성 등 이 모든 요소는 조토 이전에 볼 수 없었던 내적인 일관성과 힘을 갖는다.
하지만 이 그림의 절정은 예수님과 유다, 선과 악이 대립한 긴장감 넘치는 극적 드라마에 있다. 예수님과 배반자 유다의 얼굴은 극히 대조적인데, 예수님을 팔아넘긴 유다의 눈은 어둡고 깊이 그늘져 그 속마음을 읽을 수 없다. ‘마음의 창’인 눈을 이같이 불분명하게 그린 것은 그의 음흉하고 악한 마음을 반영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예수님의 얼굴은 깨끗하고 선명하다. 그의 맑은 눈은 유다의 거짓된 행동, 그의 양심과 비참한 최후까지 꿰뚫어보고 있다. 이 장면은 조형적인 표현을 넘어 인물의 내면 심리까지 절제된 드라마로 그려낸 화가 조토의 천재성을 여실히 보여준다.
조토 이후 그려지는 예수 그리스도는 더 이상 저 멀리 천상 옥좌에서 근엄한 자세로 세상에 군림하는 존재가 아니라 그를 저버린 인간을 위해 온갖 조롱과 고통을 감수하고 스스로를 희생한 ‘인간 예수’이다. 천상의 예수님이 지상으로 내려온 것이다. 인생의 이정표를 잃고 방황하는 현대인들이, ‘진정 삶에서 본질적인 문제는 무엇인지’, ‘어디로 가야 하는지’ 등의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고 이에 현명한 길을 찾는 것이 더욱 절실한 오늘날, 르네상스 작가 바사리의 표현대로 ‘자연의 제자 조토’는 그의 너그러우면서도 대담하며 생동감 넘치는 작품을 통해 우리가 나아가야 할 길을 제시해 준다. 인본주의를 바탕으로 한 ‘진정한 의미의 자연주의자’가 되라고, 삶 속의 사소한 것에 집착하지 말고 대자연 속에서 바로 내 안에 계신 하느님 안에서 그 해답을 찾으라고 말이다.
박혜원 소피아 - 화가. 벨기에 브뤼셀 리브르 대학교에서 서양미술사를 전공하고, 브뤼셀 왕립 미술학교 판화과를 졸업한 뒤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판화과를 졸업했다. 인천 가톨릭 대학교, 한양여대, 상명대학교 등에 출강하였고 2003년 평화방송 ‘함께 보는 교회미술’을 진행했다.
유다의 키스, 1304-1306년, / 조토 디본도네 / 프레스코, 파도바, / 아레나 스크로베니 경당, 이탈리아.
|
'<가톨릭 관련> > ◆ 성화 & 이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탕한 아들의 귀가 / 리오넬로 스파다 (0) | 2011.11.15 |
---|---|
산상설교 / 작자미상 (0) | 2011.11.15 |
성 요셉의 임종 / 유리화 (0) | 2011.11.15 |
성녀 마르가리타 / 라파엘로 (0) | 2011.11.15 |
성녀 마르가리타와 용 / 라파엘로 (0) | 2011.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