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 잘 자면, 혈당 조절 잘 된다" 국내 연구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l 2020.07.28 10:04
잘 때 분비되는 '멜라토닌' 호르몬이 당뇨병 환자의 췌장 베타세포를 보호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췌장 베타세포는 혈당 상승을 감지하고 혈당을 떨어뜨리는 호르몬 '인슐린'을 생산, 분비해 혈당량을 조절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부산백병원 내분비대사내과 박정현 교수팀은 배양된 췌장 베타세포에 고혈당과 이상지질혈증의 스트레스를 가한 후, 멜라토닌을 투여했다. 그 결과, 사멸되던 베타세포를 효율적으로 보호해 베타세포가 인슐린 분비 능력을 보존하고 회복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됐다.
아울러, 스트레스로 인해 가속화된 베타세포의 노화도 강력하게 억제한다는 사실이 입증됐다. 멜라토닌이 신체 내 다른 세포의 노화에도 직접적으로 관여 할 수 있다는 가능성도 보였다.
멜라토닌은 낮보다는 밤에 많은 분비가 이뤄지고, 노화에 따라 분비가 급격하게 감소되는 대표적인 호르몬이다. 현재는 수면유도를 위한 보조제로서만 의학계에서 제한적으로 사용되지만, 항암치료 보조제, 항노화를 위한 약물로서의 가능성에 대해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박정현 교수는 “적절한 취침 시간과 수면의 질이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은 경험적으로 잘 알려져 있지만, 이번 연구는 수면 시 뇌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이 신체에 좋은 효과를 직접적으로 매개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며 “향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베타세포뿐 아니라, 몸 전체를 구성하는 다른 세포들의 노화도 직접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결과적으로, 적절한 취침 시간을 지키고 수면의 질이 좋으면 멜라토닌 호르몬이 잘 분비되고, 이것이 베타세포를 보호해 혈당 조절에 도움을 준다는 것이다.
이번 연구는 내분비췌장 관련 권위 학술지인 ISLET 인터넷 판 7월호에 게재됐다. |
'<정보 및 지식> > ◈ 건 강 관 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걸음걸이는 건강의 잣대 '보폭을 늘려 걷자' (0) | 2020.08.05 |
---|---|
혈액검사로 무증상 치매 조기 진단한다 (0) | 2020.08.05 |
고기 먹을 때 '채소·과일' 곁들이면 혈압 낮아져 (0) | 2020.08.04 |
난 늙었다고?…나이 인식 따라 뇌 능력 달라져(연구) (0) | 2020.08.03 |
곰팡이·세균 활기치는 장마철… 주의할 피부질환 4가지 (0) | 2020.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