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환자, 발 관리 '이렇게' 하세요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ㅣ 2020.12.30 10:56
상처가 잘 아물지 않는 당뇨발(당뇨병성 족부궤양) 환자는 큰 일교차를 주의, 발 온도를 최대한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게 중요하다. 최근 이를 뒷받침하는 국내 동물 실험 결과가 나왔다.
서울백병원 정형외과 이영 교수팀은 당뇨 궤양이 있는 실험용 쥐 18마리를 두 그룹으로 나눠 한 그룹은 일교차를 4도(21℃±2℃)로, 다른 그룹은 일교차를 10도(21℃±5℃)로 유지시켜 18일간 관찰했다. 그리고 궤양 발생 후 3일과 6일 차 상처 크기를 분석한 결과, 일교차가 컸던 그룹이 5~10%p가량 상처 회복 속도가 느렸다. 9일부터 18일까지는 회복속도가 비슷하게 진행됐다. 또한 상처 회복 후 동일 면적당 신생혈관을 분석했더니, 일교차가 작은 그룹은 평균 5.1개가 생성된 반면 일교차가 큰 그룹이 4.1개로 적게 생성됐다.
연구팀은 급격한 체온변화는 말초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지 못해 초기 염증단계에서 상처 회복 속도를 떨어뜨리고, 신생 혈관을 생성하는 물질에도 악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
당뇨발은 당뇨환자의 15~25%에서 발생한다. 평범한 상처도 잘 회복되지 않아 괴사로 이어진다. 당뇨발 치료 후에도 30%는 재발하고, 1~3%가량 다리를 절단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2019년 당뇨병성 족부궤양으로 진료받은 사람은 1만5287명으로 2015년(1만3944명)보다 10%가량 증가했다. 의료비용도 2011년 3400억에서 2016년 5500억 정도로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영 교수는 “이번 연구는 국제적으로도 처음으로 일교차와 당뇨발 환자의 창상 악화에 대한 인과성을 밝힌 보고”라며 “상처 치유에 온도변화가 악영향을 미치는 만큼 심·뇌혈관질환 환자뿐만 아니라 당뇨발 환자도 겨울철 실내·외 온도 변화에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당뇨병성 족부궤양을 예방하려면 발에 굳은살이나 티눈, 상처가 없는지 수시로 확인해야 한다. 문제가 발견되면 조기에 의료진을 찾는다. 이영 교수는 "평소에는 발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땀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의 양말을 신고 발에 너무 꽉 끼거나, 높은 굽, 딱딱한 밑창의 신발을 피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발이 너무 습하면 세균 번식이 쉽고, 너무 건조하면 갈라져 상처가 생길 수 있음으로 적당한 습도 조절도 중요하다.
이번 연구 결과는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최근호에 게재됐다. |
'<정보 및 지식> > ◈ 건 강 관 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이어트 콜라’의 배신, 심장질환 위험 20% 높여 (연구) (0) | 2021.01.08 |
---|---|
혈압 측정, 양팔 다 해야 하는 이유 (0) | 2021.01.08 |
양팔 혈압 차 크면 심혈관질환 위험 증가(연구) (0) | 2021.01.07 |
잡동사니 많은 방, 건강에도 해롭다 (0) | 2021.01.07 |
음식 냄새 덜 맡으면 살 빠진다? (연구) (0) | 2021.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