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및 지식>/◈ 생활정보&상식

비 오는 날, 저녁 6~8시를 주의하라

by 파스칼바이런 2020. 7. 28.

비 오는 날, 저녁 6~8시를 주의하라

이해나 헬스조선 기자 l 2020.07.20 11:03

 

 

 

 

20일 아침부터 비가 내리면서 빗길 안전 운전에 신경 쓰는 사람이 많다. 요즘 같은 7~8월에는 빗길 교통사고 위험이 높다. 지난 2015~2019년 빗길에서 발생한 교통사고는 총 7만6117건이고, 사망 1712명, 부상 11만7027명이 발생했다. 특히 7월은 연간 빗길 교통사고 중 가장 많은 건수(1만728건· 14%)가 발생하는 달이다(행정안전부 자료). 실제 7월 날씨별 교통사고 비율을 보면 비가 올 때가 69%로 가장 많다.

 

사고, 오후 4시부터 늘어 저녁 6~8시 최다

비 오는 날 교통사고 절반은 운전 중 휴대폰 사용,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 시청 등 '안전의무 불이행(55%·4만1876건)'이 원인인 경우가 가장 많고, 그다음으로 신호위반(13%· 9535건), 안전거리 미확보 (9%· 7009건) 순이었다.

도로별로는 특별광역시 도로(40%·3만470건), 시 도로(33%·2만5479건)가 가장 많고, 고속국도(2%·1826건)가 가장 낮았다.

 

시간대별로는 오후 4시부터 사고가 많아지기 시작해 자정 무렵까지 평균 6348건을 웃돌았다. 교통사고가 가장 많았던 시간대는 저녁 6~8시(15%·1만1178건)이다.

 

차간 안전거리 평소의 2배 이상으로 늘려야

빗길 교통사고를 예방하려면 휴대폰, DMB 시청은 피해야 한다. 자동차 정지거리도 길어지기 때문에 속도는 평소보다 20% 낮춘다. 차간 안전거리도 보통 때의 2배 이상으로 유지한다. 또 급제동, 급정지하지 않도록 주의하고 신호 준수 등 교통법규를 더 잘 지켜야 한다. 비가 오면 낮에도 전조등, 안개등을 모두 켜 시야를 확보하고 상대 차 운전자에게 내 위치를 알리는 것도 중요하다. 행정안전부 김종한 예방안전청책관은 "요즘처럼 비가 자주 내릴 때는 평소보다 감속 운행하고, 키 작은 어린이 보행자는 운전자가 쉽게 인지하기 어려워 눈에 띄는 밝은색 옷을 입고, 아이의 시야를 가리지 않는 투명 우산을 쓰는 것이 가장 좋다"고 말했다.

 

한편 교통사고를 당했을 때는 당장 심한 통증이 없어도 추후 나타날 수 있는 후유증을 주의해야 한다. 교통사고 후유증은 사고 후 짧게는 3~4일, 길게는 수개월 뒤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목 통증이 잘 생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자동차 사고로 진료받은 환자의 약 절반이 경추 염좌 및 긴장(목 통증)을 호소한다. 교통사고로 인한 충돌로 인해 몸이 흔들리면서 목뼈 역시 앞뒤로 흔들리며 주변 인대와 근육에 상처가 날 수 있기 때문이다. 심하면 목뼈 사이를 지나는 척추 신경도 손상을 입는다. 따라서 뚜렷한 증상이 없어도 병원에 가서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안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