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관련>/◆ 성 경 관 련2079 [성경의 세계] 유다인 [성경의 세계] 유다인 유다는 야곱의 넷째 아들 이름이다(창세 29,35). 그의 후손 다윗이 임금이 되면서 유다 지파는 왕족 가문이 된다. 이런 이유로 바빌론 유배 후에는 유다란 말이 히브리인을 대표하는 용어가 된다. 유다 가문이 통치하는 사람들이란 의미로 쓰인 것이다. 이후 이스라엘.. 2016. 2. 12. [성경 속 기도] (2) 아브라함의 기도 (상) [성경 속 기도] (2) 아브라함의 기도 (상) 모든 것 버리고 떠나라 “네” 평화신문 2016. 02. 07발행 [1351호] ▲ 아브라함은 하느님의 뜻에 따라 고향을 버리고 떠난다. 아브라함의 손님 환대 모습을 그린 세밀화. 출처=「성경 역사 지도」 “여러분은 살아오면서 어느 때 기도를 가장 열심히 하.. 2016. 2. 11. [성경의 세계] 십자가의 길 기도 [성경의 세계] 십자가의 길 기도 십자가의 길(Via Crucis) 기도는 고통의 길(Via Dolorosa) 기도라고도 한다. 예수님의 수난과 죽음을 묵상하기 때문이다. 보통은 사순시기 금요일 합동으로 바친다. 성경에 의하면 예수님께서는 돌무덤에 묻히셨다. 초대교회는 박해를 거치면서 무덤 위치를 잊어.. 2016. 2. 11. [성경의 세계] 라틴어 [성경의 세계] 라틴어 라틴어는 이탈리아 중부 지방 언어였다. 로마를 관통하는 테베레 강은 서쪽 바다로 흐르면서 넓은 평야 지대를 이룬다. 라티움(Latium) 지역이다. 로마는 이 지역을 중심으로 성장했으며 라틴어란 말은 이곳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이후 로마의 세력이 커지자 라틴어도.. 2016. 2. 10. [성경의 세계] 히브리어 [성경의 세계] 히브리어 구약성경은 이스라엘 민족의 경전이다. 경전을 기록한 글자는 고대 히브리어다. 자음만 있고 모음이 없다. 하지만 현대 히브리어는 모음이 있다. 후대에 만든 것이다. 오랜 유랑생활로 읽는 법을 잊었기에 통일된 발음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이스라엘은 기원전 6.. 2016. 2. 9. [성경의 세계] 아람어 [성경의 세계] 아람어 아람어는 예수님과 사도들이 사용했던 언어다. 당시 히브리 민중도 아람어를 사용했다. 신약성경은 그리스어로 쓰였지만 주인공들이 실생활에서 사용했던 말은 아람어였던 것이다. 히브리어는 유대교 경전과 전례용어로만 존재하고 있었다. 물론 처음부터 그랬던 .. 2016. 2. 8. [성경의 세계] 타나크 [성경의 세계] 타나크 우리가 구약성경이라 부르는 것을 유대교에서는 타나크(Tanakh)라 부른다. 구약성경 내용인 율법(토라 Torah)과 예언서(네비임 Neviim) 그리고 교훈서(케투빔 Ketubim)의 앞 글자를 합성해 만든 용어다. 유대교 경전(구약성경)은 대략 기원전 1000년부터 시작해 600여 년에 걸.. 2016. 2. 7. [성경의 세계] 마소라 사본 [성경의 세계] 마소라 사본 70인역 성경은 기원전 3세기 히브리어 성경을 희랍어로 번역한 것이다. 많은 유다인이 희랍어를 사용하며 살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 무렵 해외 거주 유다인들에게 히브리어는 더 이상 모국어가 아니었다. 예절 속의 글자였을 뿐 실생활에선 전혀 사용되지 않고 .. 2016. 2. 6. [성경의 세계] 예로니모 [성경의 세계] 예로니모 예로니모는 348년 오늘날의 유고슬라비아에서 태어났다. 정식 이름은 에우세비우스 소프로니우스 히에로니무스(Eusebius Sophronius Hieronymus)다. 영어는 제롬(Jerome)이다. 서방교회 4대 교부 중 한 분으로 추앙받고 있다. 예로니모 · 암브로시오 · 아우구스티노 · 그레.. 2016. 2. 5. [성경 속 기도] (1) 시작하며 [성경 속 기도] (1) 시작하며 기도 통해 하느님의 뜻 이해 - 우리는 기도를 통해 하느님 뜻을 알아듣고 이해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CNS 자료사진. 성경이 쓰인 목적은 “예수님께서 메시아시며 하느님의 아드님이심을 여러분이 믿고, 또 그렇게 믿어서 그분의 이름으로 생명을 얻게 하려는 .. 2016. 2. 4. [성경의 세계] 불가타 성경 [성경의 세계] 불가타 성경 불가타는 405년경 교부 예로니모(Hieronymus)가 완성한 라틴어 성경이다. 원래 구약성경 원문은 히브리어였고 신약성경 원문은 희랍어였다. 예로니모는 신구약 원문에서 라틴어 번역을 완성한 것이다. 이후 불가타는 서방 교회 공식 성경이 되었다. 오늘날 성경은 .. 2016. 2. 4. [안소근 수녀와 함께 떠나는 구약 여행] (56) 내 아들아, 아버지의 교훈을 들어라 [안소근 수녀와 함께 떠나는 구약 여행] (56) 내 아들아, 아버지의 교훈을 들어라(잠언 1,8) 하느님 지혜로 이끄는 성공 비결서, 잠언 - 루카 조르다노 작, ‘솔로몬의 꿈’, 1693년, 스페인 마드리드미술관 소장. 고전적 지혜. 구약 성경의 지혜 문학 가운데 가장 오래된 책인 「잠언」은 대대.. 2016. 2. 3. 이전 1 ··· 139 140 141 142 143 144 145 ··· 1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