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톨릭 관련>/◆ 성화 & 이콘

메두사의 뗏목 / 테오도로 제리코

by 파스칼바이런 2011. 11. 25.
메두사의 뗏목 / 테오도로 제리코

 

메두사의 뗏목 / 테오도로 제리코

1819년, 캔버스에 유화, 491x716cm, 파리 루브르 박물관

 

권용준(한국디지털대학교 문화예술학과 교수)

 

생명과 삶에 대한 아무런 희망도 없이 죽어야 할 운명에 처한 사람들이 있다. 대양의 위협적인 파도 속에 떠있는 위태로운 뗏목에 의지한 사람들. 주위를 둘러보아야 끝없이 펼쳐진 망망대해이며 하늘에서 내리쬐는 뜨거운 태양일뿐이다. 먹을 것도 마실 것도 없이 무기력하게 죽음을 기다려야 하는 운명. 무작정 바다를 떠다닌 것이 벌써 며칠인가. 갈증과 배고픔, 견딜 수 없는 피로, 열사병과 썩어가는 시체의 역겨운 냄새, 살인에 대한 두려움과 동료에 대한 불신이 어쩔 수 없이 맞이해야 할 죽음 자체보다 더욱 큰 두려움이다. 이 순간 국가는 무엇이며 정부는 나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가? 그톨록 기도하고 애원하며 매달렸던 신은 지금 어디 계신 것인가?

 

프랑스 낭만주의를 대표하는 화가 제리코(Theodore Gericault, 1791-1824년)의 ‘메두사의 뗏목(The Raft of the Medusa)’이 전하는 메시지이다. 이 그림은 당시 사회적으로 파문을 불러일으킨 한 사건과 관련이 있다.

1816년 여름, 프랑스는 아프리카 식민지 개척을 위해 군함 메두사호를 대서양에 띄우게 된다. 이 배에는 군인과 당시 식민지였던 세네갈로 향하는 이주민들 등 400여 명이 타고 있었다. 식민지 개척에 참여하는 것은 막대한부를 보장받는 일이었기에 그 경쟁은 실로 대단한 것이었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황금에 눈이 어두우면 무슨 짓을 저지르지 못하랴. 가장 흔하고 단순한 방법이 매관매직이다. 이 메두사호의 함장 자리 역시 마찬가지였다. 25년간 배를 타지 않은 퇴역 장교 뒤 쇼마레(Du Chaumareys)라는 인물이 뇌물을 주고 함장 자리를 샀던 것이다.

 

출항한 지 며칠 되지 않은 7월 2일 배는 침몰하였다. 배가 항로를 벗어나 암초에 부딪혀 좌초한 것이다. 함장의 무능함과 미숙함은 곧바로 수많은 사람들이 희생되는 파멸로 이어졌다. 구명정은 6척뿐. 절반도 못 되는 사람들만이 구조될 수 있는 상황이다. 함장과 관료들은 나머지 사람들의 운명을 내팽개치고 자신들의 목숨만을 도모했다. 이 와중에 150여 명의 인간이 부서진 배의 잔해로 뗏목을 만들어 몸을 실었다.

 

먹을 것도 마실 것도 없고 방향을 잡을 키조차 없이 이 뗏목은 그렇게 십여 일 이상을 바다에 표류하게 되고, 살기 위한 본능은 곧 살인과 식인으로 이어졌던 것이다. 그러나 신은 결코 이들을 버리지 않으셨다. 함께 출항한 아르귀스호가 병들고 지칠 대로 지쳐빠져 나뒹굴고 있는 이들의 눈앞에 홀연히 나타난 것이다. 표류 15일째다. 아무런 희망도 기력도 없이 죽음을 기다리는 이들에게 구원 곧 삶과 생명이라는 생소한 단어가 새겨지는 순간이다. 구조된 사람들은 10명. 나머지는 모두 어디로 간 것인가?

 

이 사건이 세상에 알려졌을 때 사람들은 경악했다. 이기심과 사리사욕에 눈이 멀어 정부의 관료를 매수한 사회의 부패상이 어떤 결과를 초래한 것인가? 그 행위는 무고한 사람들을 집단으로 학살한 것과 다를 것이 무엇인가? 국가와 정부는 합법적 행위와 이상적 자유주의를 실현한다는 숭고한 사명을 저버린 것은 아닌가?

 

제리코는 역사의 경종을 울리고자 이 사건을 그림으로 남기기로 하였다. 무엇보다도 극적인 장면을 연출하려고 죽음의 나락에서 삶의 희망으로 인간의 감정이 전이되는 순간을 소재로 삼기로 했다. 지쳐빠지고 아무런 기력도 없이 죽음을 기다리던 사람들이 꿈틀거리며 구원이라는 믿기지 않는 말에 귀를 기울이는 순간이다. 마치 구원이라는 정상을 향해 험한 언덕을 기어올라야 하는 운명에 처한 사람들처럼 보인다.

 

뗏목의 좌측과 전경에는 시체들이 있다. 중앙에는 다리가 나무 사이에 끼여 떠내려가지 못한 시체가 옷을 뒤집어쓰고 있다. 그림 좌측에는 하반신이 뗏목 사이에 빠져 질질 끌려 다니는 시체가 있다. 처참한 죽음이다. 뗏목 우측에는 죽은 아들의 시체를 붙잡고 삶의 희망을 상실한 채 망연자실한 노인이 있다. 삶의 희망을 부르짖으며 애써 일어서는 젊은이들과는 대조적이다. 뗏목 가운데에는 피 묻은 도끼가 보이는데, 살인과 식인의 증거이다. 돛 쪽의 한 사람은 뒤를 돌아보며 희망찬 외침을 하고 있으며, 다른 이는 두 손을 모아 하느님께 구원에 대한 감사기도를 드린다.

 

돛의 뒤쪽에는 검고 큰 파도가 밀려오고 있다. 이는 그 하늘의 모습과 더불어 죽음의 상징이다. 그러나 그림의 우측에는 파도도 없고 하늘도 검지 않다. 구도상 이 그림이 죽음에서 삶으로 전이되는 희망과 꿈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인간의 운명이 이처럼 늘 불안하고 공포로 가득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안정된 삼각형 구도가 암시하고 있다.

 

이처럼 제리코는 그리스도교의 윤리와 이성을 저버린 반인륜적인 사건을 재현하면서 인간의 실존을 재고하는 계기를 마련하였으며, 궁극적으로는 비참하고 잔혹한 현실을 고발하기보다는 인간에 대한 긍정적이고 낙관적인 희망의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이 그림은 현실에서 인간이 갖는 극단적인 감정 곧 기쁨과 환희, 사랑과 증오, 죽음, 고통, 광기, 자살과 연관된 인간 행위를 여과 없이 표현하는 ‘낭만주의 격정’을 불러일으킨 역사적인 작품이다.

 


 

권용준 안토니오 - 프랑스 파리 10대학교(Nanterre)에서 샤갈에 관한 논문으로 예술사 석사, 파리 3대학교(Sorbonne)에서 아폴리네르의 조각비평에 관한 연구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디지털대학교 문화예술학과 교수이며, 미술비평가로도 활약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