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3위 한국 순교 성인화 / 혜화동 성당 내 문학진 (토마스)
1976년 9월 당시 박희봉(이시도로)주임신부는 문학진 (토마스)교수에게 '103위 순교복자성화'를 의뢰하였다. 작가는 10개월에 걸쳐 전례, 역사, 복식 등 전문가(오기선 신부, 유홍렬 박사, 석주선 선생) 등의 폭넓은 자문과 한국적 주체성을 살려 한 분 한 분의 표정을 특색있게 나타냈다.
시대와 신분이 각각 다른 순교자들이 평등한 위치에서 천국의 개선을 기다리며 기쁨에 가득차 있는 모습은 보는 이로 하여금, 평화와 감동을 안겨준다. 배경의 산세는 아름다운 도봉산의 일부로서 향토 내음을 살짝 풍기고 있다. 이 성화는 1977년 7월 15일, 김수환 추기경의 제막과 축성으로 그 모습을 드러내게 되었다. 그후, 1984년 5월 6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103위 순교복자' 모두 성인품에 오르게 되었다. 이 작품이 여의도 103위 시성식장에 나들이 다녀옴으로써 화면 곳곳에 박락현상이 생긴 것을 8월 문학진 화백이 직접 방문하여 전면적으로 화면 보수를 하였다.
제작과정에서 순교복자들의 배치를 대성당의 '79위 복자 성화도'(1926년, 프랑스인 쥬스타니안 제작)를 참조하였으나 대부이신 박갑성 교수(당시 서강대 재직)께서 "외국인이 중앙에 있으면 주체성이 좀 부족해 보인다."고 하신 의견을 받아들여, 중앙의 외국인 자리에 김대건 신부를 모시고 김대건 신부의 자리에는 외국인을 옮겨놓게 되었다. 당시 이는 '쿠테타'(Coup d' E' tat)라고 표현될 정도로 큰 사건이었고 한국 천주교회가 자생적인 것처럼, 성미술에 있어서도 주체성을 찾으려고 노력한 하나의 큰 결실이었다. [혜화동성당 홈페이지에서]
한국 천주교회는 1784년 창설이후, 200여 년의 역사 안에서 크고 작은 박해가 끊이지 않았다. 특히 4대 박해로 불리는 1801년 신유(辛酉)박해, 1839년 기해(己亥)박해, 1846년 병오(丙午)박해, 1866년 병인(丙寅)박해를 통하여 1만명 이상이 순교하였다. 이렇게 모진 박해에도 불구하고 자생교회(自生敎會)의 전통을 지닌 한국 천주교회는 하느님의 은총으로 불사조와 같은 신앙의 생명력에 의해 심산유곡에 교우촌을 이루고 훗일 신앙자유의 날을 맞이하였다. 그리고 1984년에는 순교한 선인들 가운데서 거룩한 성덕으로 성인의 반열에 올라 세계에서 공경을 받는 103위 성인의 영광을 안게 되었다.
눈물로 씨뿌리던 사람들이 기쁨으로 곡식을 거두리이다. - 시편 126.5 -
|
'<가톨릭 관련> > ◆ 성화 & 이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 제오르지오(George) / 노프고로드(Novgorod)화파 (0) | 2011.12.04 |
---|---|
모든 고통 받는 자들의 기쁨인 성모 / 러시아. 17세기 (0) | 2011.12.04 |
광야의 예언자 엘리야 / 1464-68년, 디에릭 보우츠 (0) | 2011.12.04 |
그리스도 이콘 / 1250년경, 작가미상, 목판에 템페라 (0) | 2011.12.04 |
라자로의 소생 / 1890년, 유화 (0) | 2011.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