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톨릭 관련>/◆ 성 경 관 련2079

[성경의 세계] 재의 수요일 [성경의 세계] 재의 수요일 재의 수요일은 사순절이 시작되는 첫날이다. 교회는 미사 때 재축성과 머리에 얹는 예식을 거행한다. 재는 수난 주일 축성했던 성지 가지를 태운 것이다. 재의 수요일은 이 예절에서 생겨난 이름이다. 사제는 재를 뿌리며 ‘사람은 흙에서 왔으니 흙으로 돌아.. 2015. 12. 31.
[성경의 세계] 에페소 공의회 [성경의 세계] 에페소 공의회 에페소 공의회는 역사상 세 번째 열린 공의회다. 첫 공의회는 325년 콘스탄티누스 황제의 주선으로 니케아(Nicaea)에서 열렸다. 아리우스파를 단죄하며 성부와 성자의 동일성을 믿을 교리로 선언한 공의회였다. 두 번째는 381년에 열린 제1차 콘스탄티노플 공의.. 2015. 12. 30.
[성경의 세계] 에페소 [성경의 세계] 에페소 오늘날 에페소는 터키 이즈미르(Izmir)시의 셀축 지역에 속한다. 이즈미르는 묵시록에 등장하는 스미르나의 현대식 이름으로 터키인은 에페스(Efes)라 부른다. 청동기 때부터 사람이 살았으며 이곳을 아파사스라 불렀다. 대지의 여신이란 뜻이다. 에페소는 여기서 유.. 2015. 12. 29.
[성경의 세계] 다마스쿠스 [성경의 세계] 다마스쿠스 - 다마스쿠스의 바라다 강 다마스쿠스는 기원전 3천 년경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한 곳이다. 가장 오래된 도시로 꼽히고 있다. 물론 더 오래된 도시도 있지만 계속해서 사람이 거주한 곳으로는 다마스쿠스가 유일하다는 것이다. 그만큼 지리적 여건과 환경이 특별.. 2015. 12. 28.
[성경 속 도시] (73) 엔 게디 [성경 속 도시] (73) 엔 게디 사울에게 쫓긴 다윗의 은신처 평화신문 2015. 12. 25발행 [1345호] ▲ 엔 게디의 청동기 시대 신전 유적, 사해 연안. 출처=「성경 역사 지도」 사해에 위치한 엔 게디는 오늘날 많은 관광객이 찾아오는 휴양지이다. 관광객은 물론 성지 순례자들도 이곳에 들러 사해 .. 2015. 12. 27.
[성경의 세계] 시리아 [성경의 세계] 시리아 시리아는 시대에 따라 경계가 달라지긴 했지만, 남쪽은 이스라엘 북쪽은 터키다. 동쪽에는 이라크가 버티고 서쪽에는 지중해가 있다. 사방이 적에게 노출된 지형이다. 그만큼 전쟁이 잦았던 국가다. 다윗 시대에는 아람(Aram)이라 불렀다(2사무 8,5). 이들이 사용했던 .. 2015. 12. 27.
[안소근 수녀와 떠나는 구약 여행] (51) 하느님 앞에서 죄를 짓지 않는 한 [안소근 수녀와 떠나는 구약 여행] (51) 하느님 앞에서 죄를 짓지 않는 한 (유딧 5,17) 이스라엘의 ‘논개’ 유딧 평화신문 2015. 12. 25발행 [1345호] ▲ 믿음이 강한 유딧은 적장 홀로페르네스가 잠든 틈을 타 목을 베고 고향으로 돌아온다. 그림은 크리스토파노 알로리 작, ‘홀로페르네스의 머.. 2015. 12. 26.
[성경의 세계] 아시리아 [성경의 세계] 아시리아 아시리아는 기원전 10세기 전후 오리엔트의 강자로 등장한 나라다. 아시리아란 말은 그들의 수호신 아슈르(Assur)에서 유래되었다. 신전이 있던 도시 역시 아슈르라 했는데 티그리스 강 상류에 있었다. 훗날 아시리아는 이 지역을 아슈르의 땅이라 부르며 신성시했.. 2015. 12. 26.
[성경의 세계] 유향과 몰약 [성경의 세계] 유향과 몰약 유향과 몰약은 동방박사들이 아기 예수님께 바친 예물이다(마태 2,11). 박사는 희랍어 마코이(makoi)의 번역이며 라틴어는 마구스(magus)다. 마술을 뜻하는 영어단어 매직(magic)의 어원이기도 하다. 다니엘서에 의하면 마코이는 꿈을 해몽하거나 별을 보고 나라의 길.. 2015. 12. 25.
[성경의 세계] 사마리아 여인 [성경의 세계] 사마리아 여인 바빌론 유배에서 돌아온 유다인들은 사마리아인을 멸시했다. 순수 유다인이 아니라는 것이 이유였다. 솔로몬 이후 이스라엘은 남북으로 갈라졌고 사마리아는 북쪽의 수도였다. 기원전 722년 북쪽을 침공한 아시리아는 사마리아의 강력한 저항을 체험한다. .. 2015. 12. 24.
[성경 속 도시] (72) 로도스 [성경 속 도시] (72) 로도스 지친 바오로 사도, 귀환길에 들러 평화신문 2015. 12. 20발행 [1344호] ▲ 로도스 기사단이 쌓은 성벽이 그대로 남아있는 로도스 섬 전경. 지중해는 예로부터 유럽과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세 대륙을 잇는 중요한 통로였다. 성경에는 바오로 사도가 그리스도의 복음을.. 2015. 12. 23.
[성경의 세계] 임마누엘 [성경의 세계] 임마누엘 임마누엘은 하느님(el)께서 우리와(manu) 함께 계신다(im)는 뜻이다. 히브리어였던 이 말을 희랍어로 음역한 것이 임마누엘(immanuel)이다. 하지만 주님께서 우리와 함께 계신다는 의미는 이스라엘에 국한된 것이었다. 선민이었던 그들만의 특권이었고 이방인에게는 원.. 2015. 12.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