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톨릭 관련>/◆ 성 경 관 련2079

[주원준의 히브리어 산책] 바알, 주인 [주원준의 히브리어 산책] 바알, 주인 주님(아돈)과 주인(바알)을 혼동해선 안돼… 하느님만이 진정한 주님 가톨릭신문 2016-09-25 [제3012호, 18면] 바알티. 예레 3,14에서 하느님께서 “내가 주인이다”고 선포하는 말씀이다. 위로 올려 쓴 e는 이 경우에 전혀 발음이 되지 않지만, 초보자를 위.. 2016. 9. 22.
[성경 속의 지도자들] 보잘것없는 사람을 위하는 지도자 엘리야 [성경 속의 지도자들] 보잘것없는 사람을 위하는 지도자 엘리야 역사의 중요한 고비마다 인간은 권력욕과 재물욕, 명예욕 때문에 하느님의 소리를 무시하였다. 더욱이 가짜 예언자와 탐욕스러운 지도자를 따르면서, 스스로는 하느님을 섬긴다고 착각하기도 한다. 열왕기에 등장하는 엘.. 2016. 9. 20.
[허규 신부와 떠나는 신약 여행] (15) 나다. 두려워하지 마라 [허규 신부와 떠나는 신약 여행] (15) 나다. 두려워하지 마라(요한 6,20) 예수님과 함께라면 두려울 것이 없어라 평화신문 2016. 09. 11발행 [1381호] ▲ 배를 탄 제자들이 풍랑을 맞아 불안해 하고 있을 때 예수님께서는 호수 위를 걸어 그들에게 다가가셨다. 제자들이 그 모습을 보고 두려워하자.. 2016. 9. 10.
[주원준의 히브리어 산책] 브리트, 계약 [주원준의 히브리어 산책] 브리트, 계약 ‘계약을 자르다’… 반으로 자른 짐승 사이 지나간 의례서 비롯 가톨릭신문 2016-09-11 [제3011호, 16면] 브리트는 히브리어로 계약을 뜻한다. 하느님께서 선조들에게 베푸신 큰 사랑을 표현하는 중요한 개념이다. 하지만 브리트는 고대 히브리인들과 .. 2016. 9. 9.
[성경의 세계] 판관 이야기 (7) [성경의 세계] 판관 이야기 (7) 열두 번째 판관은 단 지파 출신의 삼손이다. 40년간 이스라엘을 착취하던 필리스티아를 견제하며 20년간 판관으로 있었다. 부친은 마노아였고 모친은 알려지지 않고 있다. 어느 날 천사는 이들에게 나타나 아들의 탄생을 알린다. 그러면서 모태에서 하느님께.. 2016. 9. 7.
[성경의 세계] 판관 이야기 (6) [성경의 세계] 판관 이야기 (6) 아홉 번째 판관 입찬(Ibzan)은 자녀가 많았다. 30명의 아들과 30명의 딸이 있었다. 외동딸만 있던 입타완 대조적이다. 판관기는 60명 자녀들의 배우자를 일가 밖에서 데려왔다고 전한다(판관 12,9). 일가 밖이란 표현을 이방인으로 보는 시각도 있지만 대체로 타 .. 2016. 9. 6.
[성경, 문화와 영성] (20) 풍랑을 가라앉히신 예수님 (1) [성경, 문화와 영성] (20) 풍랑을 가라앉히신 예수님 (1) 복음서는 예수님에게서 일어난 일에 대한 기록이다. 특히 복음서는 예수님 사건을 기쁜 소식으로 전하며 그것의 현재적 의미를 해석한다. 따라서 복음사가는 예수님에게서 일어난 일의 의미를 찾는 예수님 사건의 해석자이다. 우리.. 2016. 9. 5.
[허규 신부와 떠나는 신약 여행] (14) 너희가 그들에게 먹을 것을 주어라 [허규 신부와 떠나는 신약 여행] (14) 너희가 그들에게 먹을 것을 주어라 (마르 6,37) 오병이어의 기적, 성찬례와 맞닿아 평화신문 2016. 09. 04발행 [1380호] ▲ 틴토레토 작, ‘빵과 물고기의 기적’ 일부, 1570년경, 스탠리,모스 컬렉션, 미국 뉴욕. 예수님의 수난과 죽음에 관련된 내용을 제외하.. 2016. 9. 5.
[주원준의 히브리어 산책] 벤, 아들 [주원준의 히브리어 산책] 벤, 아들 ‘내 아들’이란 지혜 지식 믿음을 계승하는 사람 뜻해 가톨릭신문 2016-09-04 [제3010호, 18면] 벤(단수형). 아들을 뜻하는 말이다. 히브리어 기초 단어로서, 매우 쓰임새가 넓다. 히브리어로 ‘벤’은 ‘아들’이고, 복수형은 ‘바님’이다. 아들은 아버지.. 2016. 9. 1.
[주원준의 히브리어 산책] 바트, 딸 [주원준의 히브리어 산책] 바트, 딸 죽을 위기 처한 아기, 모세를 건져낸 파라오의 딸 가톨릭신문 2016-08-28 [제3009호, 18면] 바트. 히브리어로 딸을 의미한다. 딸은 히브리어로 ‘바트’다. 바트는 손아래 여성들을 총칭하는 말이었다. 이번 기회에 ‘모세의 탄생 이야기’(탈출 2)에서 여성.. 2016. 8. 27.
[허규 신부와 떠나는 신약 여행] (13) 너희가 거저 받았으니 거저 주어라 [허규 신부와 떠나는 신약 여행] (13) 너희가 거저 받았으니 거저 주어라(마태 10,8) 제자들에게 복음 선포의 사명을 주시다 평화신문 2016. 08. 28발행 [1379호] 예수님과 열두 제자’, 12세기, 목판에 템페라, 카탈루냐 박물관, 스페인. 공관 복음 중에서 마태오 복음서는 다른 복음서에 비해 눈.. 2016. 8. 25.
[주원준의 히브리어 산책] 바이트, 집 [주원준의 히브리어 산책] 바이트, 집 ‘빵의 집’이란 뜻의 베들레헴, 주님 운명의 상징일까 가톨릭신문 2016-08-21 [제3008호, 18면] 히브리어로 집은 ‘바이트’다. 성읍과 신전이 생기기 전에 집이 있었다. 집은 사회의 유일한 기관(institution)이자, 살림과 전승의 공간이었다. 구약성경은 집.. 2016. 8.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