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톨릭 관련>19534

[땀의 순교자' 최양업 토마스 신부] (제46화) [땀의 순교자' 최양업 토마스 신부] (제46화) ‘지극히 겸손하고 순종한’ 사제 가톨릭신문 2022-07-17 [제3303호, 12면] 2022. 7. 19.
[글로벌칼럼] (106) 핵발전에 반대하는 필리핀교회 [글로벌칼럼] (106) 핵발전에 반대하는 필리핀교회 셰이 컬린 신부 가톨릭신문 2022-07-17 [제3303호, 6면] 지진·화산활동 활발한 필리핀 치명적 결과 불러올 수 있어 재생에너지원에 비해 비싸 환경·경제 지키는 데 취약 필리핀 발랑가교구장 루페르토 산토스 주교가 바타안 핵발전소 재가동은 국민과 환경에 큰 위험을 준다며 반대하고 나섰다. 필리핀주교회의는 핵발전을 반대한다. 산토스 주교는 지난달 초 라디오 베리타스 방송을 통해 “국민들은 강력하게 목소리를 내며 반대한다”면서 “핵발전으로 생길 수 있는 위험이 혜택보다 훨씬 더 크다”고 지적했다. 최근 필리핀 대통령으로 취임한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주니어는 자신의 아버지 마르코스 시니어 전 대통령이 건설한 핵발전소 재가동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2022. 7. 18.
[더 쉬운 사회교리 해설] 177. 복음과 사회교리 [더 쉬운 사회교리 해설] 177. 복음과 사회교리 (「간추린 사회교리」 415항) 대중매체는 인간 공동체의 건설과 유지에 이용돼야 한다 가톨릭신문 2022-07-17 [제3303호, 18면] 친교의 도구로 대중화된 게임 건강한 성장의 동력인지 살피고 일상에서의 친교 의미 성찰해야 바오로: 제 친구가 프로게이머가 되려 하는데 주변에서 많이 걱정하고 있어요. 마리아: 성공 확률도 낮고, 굉장히 열악한 환경이라고 하던데요? 미카엘: 하지만 성공한 프로게이머도 있고 엄연히 각광받는 직업이에요! 베드로: 좋아하는 게임을 계속할 수 있으니 좋은 일 아닐까요? 스텔라: 게임에 소질이 있는지, 이 길이 인생을 걸 만한 직업인지와 공부나 생업을 해야 하는데 그게 싫어서 현실도피를 하는지 잘 식별해 봐야 해요. 이 신부.. 2022. 7. 18.
[말씀묵상] 연중 제16주일·농민 주일-기도와 실천 [말씀묵상] 연중 제16주일·농민 주일 - 기도와 실천, 균형을 갖춘 신앙인이 돼야 합니다 제1독서 창세 18,1-10ㄴ / 제2독서 콜로 1,24-28 복음 루카 10,38-42 가톨릭신문 [제3303호, 19면] 공동체 위한 봉사 강조하시면서도 균형 맞출 영적 생활 바라신 주님 사랑 실천에는 기도가 전제돼야 아돌프 치머만 ‘그리스도 곁의 마리아와 마르타’. ■열심히 기도했다면, 이웃사랑 실천의 장으로 나아가야 합니다! 때로 감사한 마음으로, 때로 안쓰러운 눈길로 결코 만만치 않은 공동생활을 해나가고 계시는 수녀님들을 바라봅니다. 다양한 수녀회 이름 아래, 각기 다른 카리스마를 지닌 많은 수녀님들이, 제각각 다른 삶의 방식을 살아가고 계십니다. 각자 주어진 자리에서, 각자의 고유한 방식으로, 주님의 딸.. 2022. 7. 17.
[정수용 신부의 사제의 눈] 철 지난 낙수효과론 [정수용 신부의 사제의 눈] 철 지난 낙수효과론 정수용 신부(CPBC 보도주간) 가톨릭평화신문 2022.07.10 발행 [1670호] 추경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달 16일 ‘새 정부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했습니다. 고물가 시대에 새 정부의 경제 정책은 어떤 방향으로 나갈지 많은 이들이 궁금해했습니다. 단연 논란으로 이어진 사안은 법인세율 인하 관련 내용이었습니다. 법인세는 말 그대로 법인의 소득에 부과하는 세금입니다. 주식회사와 같이 법인 형태로 사업하는 경우, 사업에서 생긴 소득에 세금을 매기는 것입니다. 쉽게 말해 기업에 부과하는 소득세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정부 발표를 보면, 현행 최고 세율 25%를 적용받는 구간을 22%로 낮추겠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돈을 많이 버는 기업 세금을 깎아 주면 .. 2022. 7. 17.
[영화의 향기 with CaFF] (170) 기브 뎀 [영화의 향기 with CaFF] (170) 기브 뎀 죽음에서 돌아온 아버지가 남긴 것 가톨릭평화신문 2022.07.10 발행 [1670호] 신학을 배울 때 인간이 받은 가장 소중한 선물, 첫째가는 선물이 생명이며, 그다음에 받은 선물이 자유의지라는 말을 들었다. 주어진 생명이 없다면 그다음은 의미도 없고, 아니 있을 수도 없기 때문이다. 함께 주어진 자유의지로 인해 하나하나의 생명이 꽃피워지고 함께 사는 공동체가 만들어지는데, 모순되게도 주어진 자유의지로 인해 누군가의 생명이 선택되는 상황이 생기고 그로 인해 모든 기회가 차단되기도 한다. 태아를 생명으로 볼 것인지 아닌지에 대한 격돌에 쉼표, 느낌표를 갖게 하는 영화를 만났다. 자녀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한 노인이 삶을 마감한다. 하지만 곧 다시 살아나.. 2022. 7. 16.
[신 김대건·최양업 전] (55) 입국해 바로 한양으로 [신 김대건·최양업 전] (55) 입국해 바로 한양으로 드디어 조선 땅 밟은 최양업 신부, 성사 베풀고 사목 시작 가톨릭평화신문 2022.07.10 발행 [1670호] ▲ 최양업은 압록강을 건너 입국해 바로 한양으로 향했다. 이때 귀국길을 도운 안내자로 추정되는 인물이 셋 있는데, 그중에서도 최방제의 형 최형이 가장 가능성이 높다. 사진은 가톨릭평화방송 TV 드라마 ‘탁덕 최양업’ 중 최양업 신부(왼쪽)와 안내자가 한양으로 향하는 모습. 귀국 길을 안내한 밀사 제3대 조선대목국장 페레올 주교는 파리외방전교회 홍콩대표부장 리브와 신부에게 쓴 편지에서 “올해 초에 최 토마스 신부가 무사히 입국했다”고 보고하고 있다. 다블뤼 신부도 최양업 신부가 1850년 1월께 입국해 자신에게 와서 병자성사를 주었다고 가족.. 2022. 7. 16.
[신원섭의 나무와 숲 이야기] (9) 숲에서 배우는 자연 경외의 태도 [신원섭의 나무와 숲 이야기] (9) 숲에서 배우는 자연 경외의 태도 나무 한 그루도 하느님의 창조물 가톨릭평화신문 2022.07.10 발행 [1670호] 숲에 간다는 것은 나와 자연과 하나 됨을 의미한다. 마치 아이가 엄마 품에 안기듯이 자연의 포근함에 나를 떠맡기는 셈이다. “Mother nature”, 자연을 경외하는 영어 표현이다.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그야말로 한마디로 잘 설명한 표현이다. 그런데 언제부턴가 우리는 마치 자연 위에 군림하고 자연을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주인인 양 의식하고 행동해 왔다. 자연을 정복하고 자연과 싸워 이기는 것이 인간의 능력을 높이는 것이라는 생각이 팽배해 왔다. 이와 같은 생각과 태도가 지극히 잘못된 것임에도 우리는 아직 인간 중심적 사고를 고집하고 행동함을 볼 수.. 2022. 7. 15.
[가톨릭교회의 거룩한 표징들] (9) 성경 속 수의 의미 ③ [가톨릭교회의 거룩한 표징들] (9) 성경 속 수의 의미 ③ 7은 온전함·8은 부활·12는 완성을 의미 가톨릭평화신문 2022.07.10 발행 [1670호] ▲ 성경에서 숫자 7은 3(하느님의 세계)과 4(자연)의 합으로 온전한 수이다. 8은 새로움과 부활을 의미하는 숫자이며, 12는 이스라엘 민족의 수로 완성을 의미한다. ‘7’ 곧 ‘일곱’은 성경에서 ‘온전함’, ‘완성’을 뜻한다. 셋은 삼위일체이신 ‘하느님의 세계’를, 넷은 ‘자연’을 의미한다. 따라서 셋과 넷을 더한 일곱은 하느님 나라와 우주 만물을 합친 ‘완성’을 상징한다. 곧 7은 모자람도 남음도 없는 다 갖춘 수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7을 ‘행운의 수’로 여기고 있다. 성경은 하느님께서 6일 동안 천지 창조 사업을 모두 마치시고, 이렛날에 복.. 2022. 7. 15.
[부온 프란조(Buon pranzo)!] 7. 프란치스코 교황과 요리 ② [Buon pranzo!] 7. 프란치스코 교황과 요리 ② “저는 할머니에게 신앙의 기쁨을 유산으로 받았습니다” 가톨릭평화신문 2022.07.10 발행 [1670호] ▲ 지난해 7월 21일 바티칸 성 베드로 광장에서 첫 세계 조부모와 노인의 날을 맞아 일반 알현 중 한 노인이 감격에 겨워하자 프란치스코 교황이 눈물을 닦아주고 있다. 2013년 3월 13일, 콘클라베의 개표 상황이 ‘위험스럽게(베르골리오 자신의 표현)’ 흐르고 있을 때 가까이에 있던 브라질 상파울루대교구장 클라우디오 우메스(Claudio Hummes) 추기경은 베르골리오를 감싸 안으며 제266대 교황으로 피선되는 그에게 “가난한 사람을 잊지 말기를!” 하고 청했다. 그리하여 교회 역사상 처음으로 ‘가난한 성인이자 평화의 사도’인 아시시의 .. 2022. 7. 14.
[교구 수도회 영성을 찾아서] 마리아의 전교자 프란치스코 수녀회(상) [교구 수도회 영성을 찾아서] 마리아의 전교자 프란치스코 수녀회(상) 삼위일체의 사랑… 보편적 선교에 투신 가톨릭신문 2022-07-10 [제3302호, 4면] 창립자 복자 마리 드 라 빠시옹. 마리아의 전교자 프란치스코 수녀회는 복자 마리 드 라 빠시옹(Marie de la Passion, ‘수난의 마리아’, 1839~1904)이 창립한 국제 수도회다. 세계 선교를 목적으로 설립된 최초의 여자 수도회로서 교황 비오 9세의 인가를 받아 1877년 1월 6일에 창립됐다. 수녀회 회헌은 첫 머리에서 이렇게 말한다. “하느님은 사랑이시다. 하느님은 모든 사람이 구원되어 당신의 백성을 이루기를 원하신다. 이 때문에 성부는 우리 모두가 성령을 통하여 그리스도 안에서 변모되도록 우리를 부르신다.” 회헌이 이르듯, .. 2022. 7. 14.
[홍성남 신부의 톡 쏘는 영성] 작은 죄들 [홍성남 신부의 톡 쏘는 영성] 작은 죄들 가톨릭신문 2022-07-10 [제3302호, 15면] 목구멍에 걸린 생선가시처럼 마음을 불편하게 하는 작은 죄 인간은 실수를 통해 성숙해가는 불완전한 존재임을 기억해야 큰 죄는 아닌데 마음은 찜찜한 죄들, 보통 소죄, 작은 죄라고 합니다. 고해성사를 볼 정도는 아닌데 마음은 불편하게 하는 이런 죄책감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자주 듣는 질문입니다. 어떤 분들은 “살다보면 그럴 수도 있지 않은가”하면서 그냥 넘어가라고 합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그렇게 하기가 어렵습니다. 작은 죄로 인한 죄책감은 마치 생선가시 같아서 목구멍에 걸리면 쉽게 넘어가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런 경우에는 친한 친구에게 털어놓는 것이 좋습니다. 마치 방 안에 쌓인 쓰레기를 덜어버리듯이 버리.. 2022. 7.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