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및 지식>/◈ 건 강 관 련

혈전 걱정돼 얀센·AZ 접종 후 아스피린 복용, 효과는?

by 파스칼바이런 2021. 6. 21.

혈전 걱정돼 얀센·AZ 접종 후 아스피린 복용, 효과는?

이금숙 헬스조선 기자 l 2021.06.11 19:00

 

 

 

 

아스트라제네카에 이어 혈전 위험이 있는 얀센 백신 접종이 10일부터 시작됐다. 접종 후 발생하는 '혈전'이 걱정 돼, 접종 후 아스피린을 일주일 간 복용하라는 조언이 네티즌들 사이에서 퍼지고 있다. 아스피린은 혈소판 응집을 억제해 혈전을 예방하는 약이다. 심근경색 등을 경험한 사람이 재발 방지를 목적으로 매일 복용한다. 그런데, 심혈관질환 병력도 없는 사람이 오로지 코로나 백신 접종 후 혈전이 걱정돼 아스피린을 복용할 필요가 있을까?

 

인하대병원 심장내과 신성희 교수는 "백신 접종 후 혈전 위험을 줄이기 위해 아스피린을 복용하는 것은 효과가 알려진 게 없다"며 "아스피린이 원래 갖고 있는 출혈·위장장애 등의 부작용 위험만 높아진다"고 말했다. 그는 "아스피린을 임의로 복용하면 면역 반응을 방해해 항체 형성에 문제가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런 이유로 전문가들은 백신 접종 후 필요 없이 약을 복용하지 말라고 권고한다.

 

대한백신학회 마상혁 부회장 역시 "효과가 없으므로 아스피린을 임의 복용할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다만 원래 아스피린을 복용하던 사람은 백신 접종 여부와 상관없이 계속 복용해야 한다. 마상혁 부회장은 “평소 혈전 질환이 있어도 백신 접종을 해야 한다”며 “혈전 질환과 백신 부작용으로 생기는 혈전은 기전이 다르다”고 말했다.

 

백신 부작용으로 알려진 혈전은 혈소판 감소로 발생하며, 주로 정맥에 발생한다. 흔히 혈소판이 응집해 동맥에 발생하는 혈전과는 다른 것이다. 백신으로 인한 ‘혈소판감소성 혈전증’은 일반 혈전증과 치료 방법도 다르다. 동맥에 생긴 일반 혈전증은 혈전 용해제를 사용하거나 혈전 제거술, 스텐트 시술 등을 통해 치료한다. 정맥에 생긴 혈소판감소성 혈전은 항응고제를 사용해 치료한다. 치료제로는 리바록사반, 에독사반, 아픽사반, 다비가트란 등 경구용 항응고제 또는 아가트로반 같은 주사제형의 항응고제를 사용한다. 헤파린은 사용하지 않는다. 중증 혈전이라면, 이틀 동안 매일 체중 1kg당 1g의 면역글로불린(IVIG)를 투약한다. 얀센 백신 접종 후 혈소판감소성 혈전증으로 사망 사례가 발생했던 미국은 위의 진료지침을 따른 이후,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사망자가 발생하지 않았다.

 

백신 접종 후 발생하는 혈소판감소성 혈전증은 100만 명 당 1명 꼴로 희귀하게 발생하지만, 증상을 알아두긴 해야 한다. 백신 접종 후 4~28일 내 아래와 같은 증상이 있는지 살펴보자

 

질병관리청이 공개한 백신 접종 후 혈소판감소성 혈전증 의심 증상은 ▲진통제 효과가 없는 지속적이고 심한 두통 ▲마비 ▲발작 ▲흐릿한 시력 ▲흉통 ▲호흡곤란 ▲복통 ▲사지의 부종·발적·창백 ▲접종 부위가 아닌 위치에 생긴 작은 멍이나 자반 ▲비정상적인 출혈이 발생할 때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