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부호의 종류는?
Ⅰ. 마침표[終止符]
1. 온점(.), 고리점(。 ) --- (보통 마침표라고 하지만, 정식 명칭은 온점입니다.) 가로쓰기에는 온점, 세로쓰기에는 고리점을 씁니다. (가로쓰기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는 것을 말하고, 세로쓰기는 위에서 아래로 쓰는 것을 말한다. 한자는 대게 세로쓰기를 한다.).
(1) 서술, 명령, 청유 등을 나타내는 문장의 끝에 씁니다.
젊은이는 나라의 기둥입니다. 황금 보기를 돌같이 하라. 집으로 돌아가자. * 다만, 표제어나 표어에는 쓰지 않습니다. (표제어란 책의 제목이나 소제목 등을 말합니다) 압록강은 흐른다(표제어) --- (이미륵 씨가 독일어로 쓴 소설로 독일 교과서에 실리는 등 큰 반향을 일으켰습니다) 꺼진 불도 다시 보자(표어)
(2) 아라비아 숫자만으로 연월일을 표시할 적에 씁니다. 1919. 3. 1. (1919년 3월 1일)
(3) 표시 문자 다음에 씁니다. 1. 마침표 ㄱ. 물음표 가. 인명
(4) 준말을 나타내는 데 씁니다. 서. 1987. 3. 5.(서는 서기의 준말)
2. 물음표(?) 의심이나 물음을 나타냅니다.
(1) 직접 질문할 때에 씁니다. 이제 가면 언제 돌아오니? 이름이 뭐지?
(2) 반어나 수사 의문(修辭疑問)을 나타낼 때 씁니다. (수사의문 : 실제로 묻는 것이 아니라 말이나 글을 아름답고 정연하게 꾸미고 다듬기 위해 의문문 형식으로 쓴 글) 제가 감히 거역할 리가 있습니까? (반어) 이게 은혜에 대한 보답이냐? (반어, 수사의문의 성격도 있음) 남북통일이 되면 얼마나 좋을까? (수사의문)
(3) 특정한 어구 또는 그 내용에 대하여 의심이나 빈정거림, 비웃음 등을 표시 할 때, 또는 적절한 말을 쓰기 어려운 경우에 소괄호 안에 씁니다.
그것 참 훌륭한(?) 태도야. (사실은 훌륭한 태도가 아닌데 비웃는 표현) 우리 집 고양이가 가출(?)을 했어요. (가출이란 사람이 하는 것이다. 고양이에게 가출이란 표현을 쓰기가 적절할까라는 뜻)
[붙임 1] 한 문자에서 몇 개의 선택적인 물음이 겹쳤을 때에는 맨 끝의 물음에만 쓰지만, 각각 독립된 물음인 경우에는 물음마다 씁니다.
너는 한국인이냐, 중국인이냐? (답이 하나. 한국인이다. 또는 중국인이다.)는 언제 왔니? 어디서 왔니? 무엇하러? (답이 셋. 언제? 어디서? 무엇하러?) 의문형 어미로 끝나는 문장이라도 의문의 정도가 약할 때에는 물음표 대신 온점(또는 고리점)을 쓸 수도 있습니다.
이 일을 도대체 어쩐단 말이냐. (의문이라기보다 한탄) 그 사람도 그 일에 찬성하지 않을 거야. 혹 미친 사람이면 모를까. (의문의 정도가 약함)
3. 느낌표(!) 감탄이나 놀람, 부르짖음, 명령 등 강한 느낌을 나타냅니다.
(1) 느낌을 힘차게 나타내기 위해 감탄사나 감탄형 종결어미 다음에 씁니다. 앗! 아, 달이 밝구나!
(2) 강한 명령문 또는 청유문에 씁니다. 지금 즉시 대답해! 부디 몸조심하도록!
(3) 감정을 넣어 다른 사람을 부르거나 대답할 적에 씁니다. 춘향아! (그냥 부르는 것이 아니라 사랑의 감정이 실림) 도련님!
(4) 물음의 말로써 놀람이나 항의의 뜻을 나타내는 경우에 씁니다. 이게 누구야! (물음 또는 놀람) 내가 왜 나빠! (항의)
[붙임] 감탄형 어미로 끝나는 문장이라도 감탄의 정도가 약할 때에는 느낌표 대신 온점(또는 고리점)을 쓸 수도 있습니다. 개구리가 나온 것을 보니, 봄이 오긴 왔구나.
Ⅱ. 쉼표[休止符]
1. 반점(,), 모점(、 )--- (보통 쉼표라고 하지만, 정식 명칭은 반점입니다.) 가로쓰기에는 반점, 세로쓰기에는 모점을 씁니다. 문장 안에서 짧은 휴지(하던 것을 그침, 즉 잠시 쉼)를 나타냅니다.
(1) 같은 자격의 어구가 열거될 때에 씁니다. 근면, 검소, 협동은 우리 겨레의 미덕입니다. (근면, 검소, 협동이 같은 자격) 충청도의 계롱산, 전라도의 내장산, 강원도의 설악산은 모두 국립공원입니다.
* 다만, 조사로 연결될 적에는 쓰지 않습니다. 매화와 난초와 국화와 대나무를 사군자라고 합니다. (매화 난초 국화 뒤에 조사 '와'가 연결되고 있음)
(2) 짝을 지어 구별할 필요가 있을 때에 씁니다. 닭과 지네, 개와 고양이는 상극이다. (닭과 지네 / 개와 고양이가 짝을 지었음)
(3) 바로 다음의 말을 꾸미지 않을 때에 씁니다. 슬픈 사연을 간직한, 경주 불국사의 무영탑 ('간직한'이 경주를 꾸미지 않고' 무영탑'을 꾸밈) 성질 급한, 철수의 누이동생이 화를 내었습니다.
(4) 대등하거나 종속적인 절이 이어질 때에 절 사이에 씁니다. 콩 심으면 콩 나고, 팥 심으면 팥 난다. (콩 심으면 콩 나고 + 팥 심으면 팥 난다 : 2개의 절이 연결됨) 흰 눈이 내리니, 경치가 더욱 아름답다.
(5) 부르는 말이나 대답하는 말 뒤에 씁니다. 애야, 이리 오너라. 예, 지금 가겠습니다.
(6) 제시어 다음에 씁니다. 빵, 이것이 인생의 전부이더냐? (제시어 : 빵) 용기, 이것이야말로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젊은이의 자산이다.
(7) 도치된 문장에 씁니다. 이리 오세요, 어머님. (정식 문장은 "어머님, 이리 오세요.") 다시 보자, 한강수야. (정식 문장은 "한강수야, 다시 보자.)
(8) 가벼운 감탄을 나타내는 말 뒤에 쓴다. 아, 깜빡 잊었구나.
(9) 문장 첫머리의 접속이나 연결을 나타내는 말 다음에 씁니다. 첫째, 몸이 튼튼해야 된다. 아무튼, 나는 집에 돌아가겠다.
* 다만, 일반적으로 쓰이는 접속어(그러나, 그러므로, 그리고, 그런데 등) 뒤에는 쓰지 않음을 원칙으로 합니다.
그러나 너는 실망할 필요가 없습니다.
(10) 문장 중간에 끼어든 구절 앞뒤에 씁니다. 나는 솔직히 말하면, 그 말이 별로 탐탐하지 않소. 나는 미소를 띠고, 속으로는 화가 치밀었지만, 그들을 맞았습니다. (정식 문장은 "는 미소를 띄고, 그들을 맞았다."인데 나의 심리 상태를 보충하기 위해 '화가 치밀었지만'을 중간에 덧붙였습니다.)
피하기 위하여 한 부분을 줄일 때에 씁니다. 여름에는 바다에서, 겨울에는 산에서 휴가를 즐겼습니다. (정식으로 쓰면 "여름에는 바다에서 휴가를 즐기고, 겨울에는 산에서 휴가를 즐겼다.")
(12) 문맥상 끊어 읽어야 할 곳에 씁니다. 갑돌이가 울면서, 떠나는 갑순이를 배웅했습니다. (우는 것은 누구? 갑돌이다. 만약 반점이 없으면 우는 것이 갑순이가 된다.) 경희가, 내가 제일 좋아하는 친구입니다. (반점이 없으면 경희와 내가 함께 좋아하는 친구라는 의미가 되고, 반점이 있으니까 내가 제일 좋아하는 친구는 경희라는 의미가 됩니다.) 남을 괴롭히는 사람들은, 만약 그들이 다른 사람에게 괴롭힘을 당해 본다면, 남을 괴롭히는 일이 얼마나 나쁜 일인지 깨달을 것입니다. (깨달을 사람은 누 구? 남을 괴롭히는 사람들이 된다. 만약 반점이 없다면 이 문장을 풀이하기가 얼마나 어려울 것인가?) 숫자를 나열할 때에 씁니다. 1, 2, 3, 4
(14) 수의 폭이나 개략의 수를 나타낼 때에 씁니다. 5, 6 세기 6, 7 개
(15) 수의 자릿점을 나타낼 때에 씁니다. 1,234,567 (백이십삼만사천오백육십칠. 세 자리로 끊어서 반점을 찍습니다.)
2. 가운뎃점(·) 열거된 여러 단위가 대등하거나 밀접한 관계임을 나타냅니다.
(1) 쉼표로 열거된 어구가 다시 여러 단위로 나누어질 때에 씁니다.
철수·영이, 영수·순이가 서로 짝이 되어 윷놀이를 하였습니다. 공주·논산, 천안·아산·천원 등 각 지역구에서 2 명씩 국회의원을 뽑습니다. 시장에 가서 사과·배·복숭아, 고추·마늘·파, 조기·명태·고등어를 샀습니다.
(2) 특정한 의미를 가지는 날을 나타내는 숫자에 씁니다.
3·1 운동 8·15 광복
(3) 같은 계열의 단어 사이에 씁니다.
경북 방언의 조사·연구 (경북방언의 조사와 경북 방언의 연구라는 의미이다.) 충북·충남 두 도를 합하여 충청도라고 합니다. 동사·형용사를 합하여 용언이라고 합니다.
3. 쌍점( : )
(1) 내포되는 종류를 들 적에 씁니다. 문장 부호 : 마침표, 쉼표, 따옴표, 묶음표 등 문방사우 : 붓, 먹, 벼루, 종이
(2) 소표제 뒤에 간단한 설명이 붙을 때에 씁니다. 일시 : 1984년 10월 15일 10시 마침표 : 문장이 끝남을 나타냅니다.
(3) 저자명 다음에 저서명을 적을 때에 씁니다. 정약용 : 목민심서, 경세유표 주시경 : 국어 문법, 서울 박문서관, 1910.
(4) 시(時)와 분(分), 장(章)과 절(節) 따위를 구별할 때나, 둘 이상을 대비할 때에 씁니다. 오전 10 : 20 (오전 10시 20분) 요한 3 : 16 (요한복음 3장 16절) 대비 65 : 60 (65대 60)
4. 빗금( / )
(1) 대응, 대립되거나 대등한 것을 함께 보이는 단어와 구, 절 사이에 씁니다. 남궁만/남궁 만 백이십오 원/125원 착한 사람/악한 사람 맞닥뜨리다/맞닥트리다
(2) 분수를 나타낼 때에 쓰기도 합니다. 3/4 분기 3/20
Ⅲ. 따옴표[引用符]
1. 큰따옴표(" "), 겹낫표(『 』)
가로쓰기에는 큰따옴표, 세로쓰기에는 겹낫표를 씁니다. 대화, 인용, 특별 어구 따위를 나타냅니다.
(1) 글 가운데서 직접 대화를 표시할 때에 씁니다. "전기가 없었을 때는 어떻게 책을 보았을까?" "그야 등잔불을 켜고 보았겠지."
(2) 남의 말을 인용할 경우에 씁니다. 예로부터 "민심은 천심이다."라고 하였다. "사람은 사회적 동물이다."라고 말한 학자가 있다.
2. 작은따옴표(' '), 낫표 (「 」)
가로쓰기에는 작은따옴표, 세로쓰기에는 낫표를 씁니다.
(1) 따온 말 가운데 다시 따온 말이 들어 있을 때에 씁니다. "여러분! 침착해야 합니다.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이 있다.'고 합니다."
(2) 마음속으로 한 말을 적을 때에 씁니다. '만약 내가 이런 모습으로 돌아간다면 모두들 깜짝 놀라겠지.'
[붙임] 문장에서 중요한 부분을 두드러지게 하기 위해 드러냄표 대신에 쓰기도 합니다.
지금 필요한 것은 '지식'이 아니라 '실천'입니다. '배부른 돼지'보다는 '배고픈 소크라테스'가 되겠습니다.
Ⅳ. 묶음표[括弧符]
1. 소괄호( ( ) )
(1) 언어, 연대, 주석, 설명 등을 넣을 적에 씁니다. 커피(coffee)는 기호 식품이다. 3ㆍ1 운동(1919) 당시 나는 중학생이었습니다. (1919년에 삼일운동이 일어났다는 뜻이다) '무정(無情)'은 춘원(6.25때 납북)의 작품입니다. 니체(독일의 철학자)는 이렇게 말했다.
(2) 특히 기호 또는 기호적인 구실을 하는 문자, 단어, 구에 씁니다. (1) 주어
(ㄱ) 명사
(가) 소리에 관한 것
(3) 빈 자리임을 나타낼 적에 씁니다. 우리나라의 수도는 ( )이다. (시험 출제 같은 경우에 쓰이며. 소괄호 안은 응시자가 채워야 합니다.)
2. 중괄호( { } )
여러 단위를 동등하게 묶어서 보일 때에 씁니다.
주격 조사 { 이 가 (주격조사에는 이와 가가 있다는 뜻이다.)
국토 국가의 삼요소 {국민 주권 (국가의 삼요소가 국토, 국민, 주권 이라는 뜻이다.)
3. 대괄호(〔 〕)
(1) 묶음표 안의 말이 바깥 말과 음이 다를 때에 씁니다. 나이[年歲] 낱말[單語] 手足[손발] (한자는 연세, 단어, 수족임)
(2) 묶음표 안에 또 묶음표가 있을 때에 씁니다다. 명령에 있어서의 불확실[단호(斷乎)하지 못함]은 복종에 있어서의 불확실[모호(模糊)함]을 낳습니다.
Ⅴ. 이음표[連結符]
1. 줄표( ― )
이미 말한 내용을 다른 말로 부연하거나 보충함을 나타냅니다.
(1) 문장 중간에 앞의 내용에 대해 부연하는 말이 끼여들 때 씁니다. 그 신동은 네 살에―보통 아이 같으면 천자문도 모를 나이에―벌써 시를 지었습니다. ('보통 아이 같으면 천자문도 모를 나이'는 '네 살'을 설명하는 말임)
(2) 앞의 말을 정정 또는 변명하는 말이 이어질 때 씁니다. 어머님께 말했다가―아니 말씀드렸다가―꾸중만 들었습니다. 이건 내 것이니까―아니, 내가 처음 발견한 것이니까―절대로 양보할 수가 없습니다.
2. 붙임표(-)
(1) 사전, 논문 등에서 합성어를 나타낼 적에, 또는 접사나 어미임을 나타낼 적에 씁니다.
겨울-나그네 불-구경 손-발 휘-날리다 슬기-롭다 -(으)ㄹ걸
(2) 외래어와 고유어 또는 한자어가 결합되는 경우에 씁니다. 나일론-실 디-장조 빛-에너지 (나일론 디 에너지는 서양외래어, 실 장조 빛은 고유어 또는 한자어) 염화-칼륨 (염화는 한자어, 칼륨은 서양외래어)
3. 물결표( ∼ )
(1) '내지'라는 뜻에 씁니다. 9월 15일 ∼ 9월 25일
(2) 어떤 말의 앞이나 뒤에 들어갈 말 대신 씁니다. 새마을 : ∼ 운동 ∼ 노래 ('새마을 운동' '새마을 노래' 인데 '새마을' 대신 ~을 쓴 것임) -가(家) : 음악∼ 미술∼ ('음악가' '미술가'인데 음악, 미술 대신 ~을 쓴 것임)
Ⅵ. 드러냄표[顯在符]
1. 드러냄표(˚, ˙)
˙이나 ˚을 가로쓰기에는 글자 위에, 세로쓰기에는 글자 오른쪽에 씁니다. 문장 내용 중에서 주의가 미쳐야 할 곳이나 중요한 부분을 특별히 드러내 보일 때 씁니다.
˙˙˙˙
한글의 본 이름은 훈민정음입니다.
˚ ˚˚˚ ˚˚˚ ˚˚˚ 중요한 것은 왜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느냐 하는 문제입니다.
( ˙˙˙˙는 '훈민정음' 위에, ˚ ˚˚˚ 와 ˚˚˚ ˚˚˚는 '왜 사느냐'와 '어떻게 사느냐' 위에 쓴 것임)
[붙임] 가로쓰기에서는 밑줄( ,~~~~)을 치기도 합니다. 다음 보기에서 명사가 아닌 것은?
Ⅶ. 안드러냄표[潛在符]
1. 숨김표(××, ㅇ ㅇ )
알면서도 고의로 드러내지 않음을 나타낸다.
(1) 금기어나 공공연히 쓰기 어려운 비속어의 경우, 그 글자의 수효만큼 쓴다.
배운 사람 입에서 어찌 ㅇㅇㅇ란 말이 나올 수 있느냐? (000은 심한 욕설 따위의 비속어) 그 말을 듣는 순간 ××란 말이 목구멍까지 치밀었다. (XX는 심한 욕설 따위의 비속어)
(2) 비밀을 유지할 사항일 경우, 그 글자의 수효만큼 쓴다. 육군 ㅇㅇ부대 ㅇㅇㅇ이 작전에 참가하였다. (00은 군사비밀이므로 숨긴 것임) 그 모임의 참석자는 김××씨, 정××씨 등 5명이었다. (x x은 개인 신상이므로 숨긴 것임)
2. 빠짐표(□)
글자의 자리를 비워 둠을 나타낸다.
(1) 옛 비문이나 서적 등에서 글자가 분명하지 않을 때에 그 글자의 수효만큼 쓴다. 大師爲法主□□賴之大□薦(옛 비문) (□□은 무슨 자인지 해독이 안 된 문자가 2자라는 뜻, □□□라고 썼다면 해독이 안된 문자가 3자)
(2) 글자가 들어가야 할 자리를 나타낼 때 쓴다. 훈민정음의 초성 중에서 아음(牙音)은 □□□의 석 자다. (시험 출제에 쓰는 것임, □□□은 답이 3음절이라는 뜻, □□□□라고 썼다면 답이 4음절)
3. 줄임표(……)
(보통 …로 줄여서 쓰는데, ……로 쓰는 것이 원칙이다.) (1) 할 말을 줄였을 때에 쓴다. "어디 나하고 한 번……." 하고 철수가 나섰다.
(2) 말이 없음을 나타낼 때에 쓴다. "빨리 말해!" "……."
문장부호가 아주 많은 것 같지만 사실 그래야 19개밖에 안 됩니다. 익히고 나면 별로 어렵지 않습니다. 최소한 교과서 학습활동의 예문으로 나온 문장부호는 알아두셔야 합니다. 위와 같은 문장부호를 잘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편리함이 있습니다.
1) 대화 부분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2) 대화글에서 말하는 사람이 누구인지 분명해집니다. 3) 의미가 더욱 확실해져 읽기가 쉽습니다. 4) 글의 내용을 이해하기 쉽습니다. |
'<정보 및 지식> > ◈ 생활정보&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 정도의 생활의 지혜는 필수!!! (0) | 2011.11.17 |
---|---|
고양이에 관한 상식 (0) | 2011.10.11 |
숨어있는 다시마의 놀라운 效能 (0) | 2011.09.08 |
더덕의 효능 (0) | 2011.08.30 |
궁합이 안 맞는 음식 & 요리 (0) | 2011.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