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 탐구 - 고지혈증이란 무엇인가?
고지혈증이란 혈액 속에 지방 성분이 높은 상태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총콜레스테롤이 240mg/dl 을 넘거나 중성지방이 200mg/dl 이상일 때 고지혈증이라고 한다.
고지혈증이라서 어떤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이런 혈중 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방의 증가가 동맥경화, 고혈압, 심혈관계 질환 등의 위험요인이 되기 때문에 문제가 되는 것이다.
○ 음식물 : 음식물은 고칠 수 있는 위험인자 중에서 가장 큰 몫을 차지한다. 콜레스테롤, 포화지방, 고량의 칼로리가 포함된 음식에 콜레스테롤이 많다.
○ 유전적요인 :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유전자가 혈중의 콜레스테롤치를 결정하는 중요한 인자가 된다. 만약 이런 유전적 소인이 의심되면 가족 모두 검사를 해보아야 한다.
○ 나이와 성별 : 콜레스테롤은 나이가 많을수록 증가하며 보통 남자에서는 20~50세까지는 증가하고 그 이후부터는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여자는 20세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지만 남자보다는 낮은 수치로 폐경 전까지 유지된다. 폐경 후에는 남자들보다 콜레스테롤치가 더 높다. 이것은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 감소되면서 HDL(좋은 콜레스테롤)이 감소하기 때문인데 임신과 피임약들이 혈중 콜레스테롤치를 증가시키기도 한다.
○ 비 만 : 비만인 사람은 콜레스테롤치가 더 높은 반면 좋은 역할을 하는 콜레스테롤인 HDL 수치는 낮다.
○ 운동부족 : 운동부족은 결과적으로 비만을 초래하여 콜레스테롤의 양이 증가된다. 유산소 운동은 HDL 을 증가시킨다.
○ 흡 연 : 이것은 관상동맥질환의 아주 중요한 원인이 되며 흡연은 총 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고 HDL을 감소시킨다.
○ 스트레스 : 고 콜레스테롤은 스트레스와 관련이 있는데 이것에 대한 정확한 기전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과학자들은 스트레스, 긴장 등이 혈중으로 축적되어 있는 지방을 분비하도록 만든다고 한다.
○ 약 물 : 어떤 종류의 약물은 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콜레스테롤이 높아 병원에 갈 때는 자신이 복용하고 있는 약물을 의사에게 알려주어야 한다.
콜레스테롤이 200mg/dl 이하의 이상적인 수치에 있으면 5년에 한번씩 검사하도록 하고 경계선에 있을 경우에는 LDL 과 HDL를 산출하고 허혈성 심장질환의 위험인자를 고려하여 치료 방침을 결정해야 한다. 즉 LDL 이 160mg/dl 이상이고 위험인자를 두 가지 이상 갖고 있으면 경계선 영역 이라도 적극적으로 치료해야 한다. 콜레스테롤이 240mg/dl 이상이면 반드시 치료가 필요하며 치료 방법은 의사와 상의하여 결정한다. 일반적으로 약물 요법은 3개월 정도의 식이요법 후에도 고지혈증이 계속될 때 하지만 콜레스테롤이 300mg/dl 이상이고 중성 지질이 500mg/dl 이상하거나 허혈성 심장질환의 위험인자를 2개이상 갖고 있으면 약물요법을 병행하는 것이 좋다. 약물요법이전에 항상 식이요법과 운동요법이 병행해야 하는데 식사는 하루 세끼 규칙적으로하며 과식은 피하고 골고루 먹어야 한다. 합병증을 막기 위해선 반드시 싱겁게 식사를 해야 하며 비만인 사람은 정상체중을 유지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
'<정보 및 지식> > ◈ 건 강 관 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성호르몬이 부족할 때 나타나는 증상 (0) | 2011.11.17 |
---|---|
중년기 건강관리 (0) | 2011.11.17 |
잇몸이 나빠지면 생길 수 있는 각종 질환 (0) | 2011.11.12 |
곰팡이 균에 의해 발생하는 발톱 질환 (0) | 2011.11.12 |
오십견을 예방하는 12가지 운동법 (0) | 2011.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