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톨릭 관련>/◆ 전례 & 미사

14 미사의 구조 - 성찬 전례 / 감사기도의 구조와 내용 (1)

by 파스칼바이런 2013. 3. 17.

 

- 감사기도의 구조와 내용 (1) -

 

 

감사기도의 기본 구조는 유다인의 축복기도(베라카)와 거의 같으나(감사, 구원 역사 나열, 간청기도, 영광송) 나름대로 만들었다. 감사기도의 본질적인 요소는 감사(대화와 감사송), 환호(거룩하시도다), 연결기도, 축성기원 성령 청원기도(Epiclesis), 성찬제정과 축성문, 기념 환호(신앙의 신비여), 기념과 봉헌, 일치기원 성령 청원기도, 전구, 마침 영광송으로 이루어진다.

 

감사기도는 예수님의 최후만찬을 그대로 따르는 기도이기에 예수님의 인격을 따라 바치는 대사제의 기도이다. 그러므로 감사기도는 본성상 오직 사제 홀로 바치도록 되어 있고, 신자들은 믿음 안에서 침묵을 지키며 감사기도에 규정되어 있는 개입을 통하여 사제와 일치하여 기도를 바친다. 신자들의 개입 부분은 감사송 대화에서 응답, 거룩하시도다, 축성 다음의 환호, 마침 영광송 다음의 아멘 환호이다.

 

대화

 

감사송 전에 삽입되어 있는 "주님께서 여러분과 함께"로 시작하는 사제와 신자들의 대화는 그 모임 가운데 그리스도가 현존하고 있다는 의식을 다시 한번 상기시켜 주면서 곧 시작될 감사기도를 합당하게 하도록 준비시켜 준다. 즉 감사기도의 중요성, 내용(우리 주 하느님께 감사드리는 기도라는 것), 임하는 자세(지금은 가장 중요하게 착심해야 할 부분이기에 마음을 드높이자! 즉 진실로 감사, 찬미의 마음으로 임해야 한다는 것)를 알리며 성대히 권고 한다.

 

감사송

 

감사기도의 첫 부분으로 찬미와 감사의 의미가 담겨 있으며 전례력에 따라 구세사의 특징을 진술한다. 그러므로 시기에 따라 감사송은 변한다. 그러나 감사송의 구조는 모두 동일하다. 서론 부분에서는 구원의 절대적 조건을 드러내고, 본론에서는 감사의 이유와 동기(하느님의 구원 역사, 하느님 존재의 내용)를 설명하며, 결론에서는 거의 변함이 없이 감사와 찬미의 마음을 일으키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환호(거룩하시도다)

 

이사 6, 3과 마르 11, 9~11에서 따온 것으로 지상적인 것만이 아니라 우주적인 감사의 노래이다. 특히 감사기도에 모든 신자들이 참여하도록 잘 표현되어 있다. 이 노래는 메시아이신 예수님께 대한 환호로서 예수님께서 수난과 부활을 통해 우리를 구원하시기 위해 예루살렘으로 입성하신 것과 마찬가지로 우리도 곧 성찬 예식에 들어감을 의미한다. 3번 반복해서 부르는 것은 최상급을 의미하므로 더 없이 거룩함을 나타낸다. 이 부분은 노래를 통한 행동적 참여이기에 노래로 부를 때 더욱 의미가 드러난다.

 

연결기도

 

'거룩하시도다'를 부른 후 미사 핵심 부분인 성체 축성 부분에 곧바로 들어가기가 어색해서 "거룩하신 아버지, 아버지께서는 모든 거룩함의 샘이시옵니다"라는 기도를 덧붙인 것이다. 이 기도의 첫 문장은 하느님 아버지께 향하고 있다. 왜냐하면 미사는 그리스도를 향하여 드리는 기도가 아니고, 성부를 향하여 드리는 기도이므로 처음 부르는 말은 감사기도 양식에 따라 형식은 다르지만 모두 성부를 지칭하고 그 다음에 그리스도에 의한 구원과 성령을 기념한다.

 

축성기원 성령 청원기도

 

제대에 놓인 빵과 포도주를 그리스도의 몸과 피가 되게 해달라고 성령께 청하는 기도문이다. 여기서 한 가지 생각할 점은 성사나 교회의 존속 등 모든 은혜는 하느님 자신의 은혜인 성령에 의한 것이기에 미사 전례에서도 가장 중요한 성 변화 때 성령의 작용을 빈다는 점이다. 전례학의 전문 용어로 성령의 도움을 청하는 이 기도를 '에피클레시스'(Epiclesis)라고 한다.

 

사제는 이 기도시 안수와 십자 표시를 하는데, 안수는 하느님의 능력을 내려주는 표시(성령을 내려주는 표시)이며, 십자 표시는 축성의 전형적 표시이다. 서방 교회는 성령을 불러 청해 놓고 성찬 제정 말을 통해 성체를 축성한다고 하고, 동방교회는 바로 이 '축성기원 성령 청원기도'(Epiclesis) 자체만으로 축성된다고 하여 '성찬 제정과 축성문' 다음에 놓고 있다.

 

<가톨릭신문, 2004년 6월 2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