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영 시인 / 거대(巨大)한 뿌리
나는 아직도 앉는 법을 모른다 어쩌다 셋이서 술을 마신다 둘은 한 발을 무릎 위에 얹고 도사리지 않는다 나는 남(南)쪽식으로 도사리고 앉았다 그럴때는 이 둘은 반드시 이북(以北)친구들이기 때문에 나는 나의 앉음새를 고친다 팔․일오(八․一五) 후에 김병욱이란 시인(詩人)은 두 발을 뒤로 꼬고 언제나 일본여자처럼 앉아서 변론을 일삼았지만 그는 일본대학에 다니면서 사년(四年)동안을 제철회사에서 노동을 한 강자(强者)다 나는 이사벨 버드 비숍여사(女史)와 연애하고 있다 그녀는 천팔백구십삼(一八九三) 년에 조선을 처음 방문한 영국왕립지학협회회원(英國王立地學協會會員)이다 그녀는 인경전의 종소리가 울리면 장안의 남자들이 모조리 사라지고 갑자기 부녀자의 세계(世界)로 화하는 극적(劇的)인 서울을 보았다 이 아름다운 시간에는 남자로서 거리를 무단통행(無斷通行)할 수 있는 것은 교구꾼, 내시, 외국인(外國人)의 종놈, 관리(官吏)들 뿐이었다 그리고 심야(深夜)에는 여자는 사라지고 남자가 다시 오입을 하러 활보(闊步)하고 나선다고 이런 기이(奇異)한 관습(慣習)을 가진 나라를 세계 다른 곳에서는 본 일이 없다고 천하를 호령한 민비(閔妃)는 한 번도 장안외출(外出)을 하지 못했다고……
전통(傳統)은 아무리 더러운 전통(傳統)이라도 좋다 나는 광화문(光化門) 네거리에서 시구문의 진창을 연상하고 인환(寅煥)네 처갓집 옆의 지금은 매립(埋立)한 개울에서 아낙네들이 양잿물 솥에 불을 지피며 빨래하던 시절을 생각하고 이 우울한 시대를 패러다이스처럼 생각한다 버드 비숍여사(女史)를 안 뒤부터는 썩어빠진 대한민국이 괴롭지 않다 오히려 황송하다 역사(歷史)는 아무리 더러운 역사(歷史)라도 좋다 진창은 아무리 더러운 진창이라도 좋다 나에게 놋주발보다도 더 쨍쨍 울리는 추억(追憶)이 있는 한 인간(人間)은 영원하고 사랑도 그렇다
비숍여사(女史)와 연애를 하고 있는 동안에는 진보주의자(進步主義者)와 사회주의자(社會主義者)는 네에미 씹이다 통일(統一)도 중립(中立)도 개좆이다 은밀(隱密)도 심오(深奧)도 학구(學究)도 체면(體面)도 인습(因習)도 치안국(治安局)으로 가라 동양척식회사(東洋拓殖會社), 일본영사관(日本領事館), 대한민국관리(大韓民國官吏), 아이스크림은 미국놈 좆대강이나 빨아라 그러나 요강, 망건, 장죽, 종묘상(種苗商), 장전, 구리개 약방, 신전, 피혁점, 곰보, 애꾸, 애 못 낳는 여자, 무식(無識)쟁이, 이 모든 무수(無數)한 반동(反動)이 좋다 이 땅에 발을 붙이기 위해서는 ―제삼인도교(第三人道橋)의 물 속에 박은 철근(鐵筋)기둥도 내가 내 땅에 박는 거대한 뿌리에 비하면 좀벌레의 솜털 내가 내땅에 박는 거대한 뿌리에 비하면
괴기영화(怪奇映畵)의 맘모스를 연상시키는 까치도 까마귀도 응접을 못하는 시꺼먼 가지를 가진 나도 감히 상상(想像)을 못하는 거대한 거대한 뿌리에 비하면……
김수영 전집, 민음사, 1981
김수영 시인 / 거리 1
오래간만에 거리에 나와보니 나의 눈을 흡수하는 모든 물건 그 중에도 빈 사무실에 놓인 무심한 집물 이것저것
누가 찾아오지나 않을까 망설이면서 앉아있는 마음 여기는 도회의 중심지 고개를 두리번거릴 필요도 없이 태연하다 ―일은 나를 부르는 듯이 내가 일 우에 앉아있는 듯이 그러나 필경 내가 일을 끌고 가는 것이다 일을 끌고 가는 것은 나다
헌 옷과 낡은 구두가 그리 모양수통하지 않다 느끼면서 나는 옛날에 죽은 친구를 잠시 생각한다
벽 우에 걸어놓은 지도가 한없이 푸르다 이 푸른 바다와 산과 들 우에 화려한 태양이 날개를 펴고 걸어가는 것이다
구름도 필요없고 항구가 없어도 아쉽지 않은 내가 바로 바라다보는 저 허연 석회천정― 저것도 꿈이 아닌 꿈을 가리키는 내일의 지도다
스으라*여 너는 이 세상을 점(點)으로 가리켰지만 나는 나의 눈을 찌르는 이 따가운 가옥과 집물과 사람들의 음성과 거리의 소리들을 커다란 해양의 한 구석을 차지하는 조고마한 물방울로 그려보려 하는데 차라리 어떠할까 ―이것은 구차한 선비의 보잘것 없는 일일 것인가.
* 조지 스으라 (1859-1891): 프랑스 화가(畵家)
김수영 전집, 민음사, 1981
김수영 시인 / 거리 2
돈을 버는 거리의 부인이여 잠시 눈살을 펴고 눈에서는 독기(毒氣)를 빼고 자유로운 자세(姿勢)를 취하여보아라
여기는 서울 안에서도 가장 번잡(繁雜)한 거리의 한 모퉁이 나는 오늘 세상에 처음 나온 사람 모양으로 쾌활(快活)하다 피곤(疲困)을 잊어버리게 하는 밝은 태양(太陽) 밑에는 모든 사람에게 불가능(不可能)한 일이 없는 듯하다 나폴레옹만한 호기(豪氣)는 없어도 나는 거리의 운명(運命)을 보고 달콤한 마음에 싸여서 어디로 가야 할지 모르는 마음― 무한히 망설이는 이 마음은 어둠과 절망(絶望)의 어제를 위하여 사는 것이 아니고 너무나 기쁜 이 마음은 무슨 까닭인지 알 수는 없지만 확실(確實)히 어리석음에서 나오는 것은 아닐텐데 ―극장(劇場)이여 나도 지나간 날에는 배우(俳優)를 꿈꾸고 살던 때가 있었단다
무수(無數)한 웃음과 벅찬 감격(感激)이여 소생(蘇生)하여라 거리에 굴러다니는 보잘것 없는 설움이여 진시왕(秦始王)만큼은 강하지 않아도 나는 모든 사람의 고민(苦憫)을 아는 것 같다 어두운 도서관(圖書館) 깊은 방(房)에서 육중(肉重)한 백과사전(百科辭典)을 농락하는 학자(學者)처럼 나는 그네들의 고민(苦憫)에 대하여만은 투철(透徹)한 자신(自信)이 있다 지이프차를 타고 가는 어느 젊은 사람이 유쾌(愉快)한 표정(表情)으로 활발(活潑)하게 길을 건너가는 나에게 인사를 한다 옛날의 동창생(同窓生)인가 하고 고개를 기웃거려보았으나 그는 그사람이 아니라 ○○부의 어마어마한 자리에 앉은 과장(課長)이며 명사(名士)이다
사막(沙漠)의 한 끝을 찾아가는 먼 나라의 외국사람처럼 나는 어디로 가야할지 모르겠다
지금은 이 번잡(繁雜)한 현실(現實) 우에 하나하나 환상(幻想)을 붙여서 보지 않아도 좋다 꺼먼 얼굴이며 노란 얼굴이며 찌그러진 얼굴이며가 모두 환상(幻想)과 현실(現實)의 중간(中間)에 서서 있기에 나는 식인종(食人種)같이 잔인(殘忍)한 탐욕(貪慾)과 강렬(强烈)한 의욕(意慾)으로 그중의 하나하나를 일일이 뚫어져라 하고 들여다보는 것이지만 나의 마음은 달과 바람모양으로 서늘하다
그네, 마지막으로 돈을 버는 거리의 부인이여 잠시 눈살을 펴고 찌그러진 입술을 펴라 그네의 얼굴이 나의 눈앞에서 어린아이들이 가지고 노는 도르라미 모양으로 세찬 바람에 매암을 돌기 전에
도회의 흑점(黑點)― 오늘은 그것을 운운(云云)할 날이 아니다 나는 오늘 세상에 처음 나온 사람 모양으로 쾌활(快活)하다 ― 코에서 나오는 쇠냄새가 그리웁다 내가 잠겨있는 정신(精神)의 초점(焦點)은 감상(感傷)과 향수(鄕愁)가 아닐 것이다 정적(靜寂)이 나의 가슴에 있고 부드러움이 바로 내가 따라가는 것인 이상 나의 긍지(矜持)는 애드발룬보다는 좀 더 무거울 것이며 예지(叡智)는 어느 연통(煙筒)보다도 훨씬 뾰죽하고 날카로울 것이다
암흑(暗黑)과 맞닿는 나의 생명(生命)이여 거리의 생명(生命)이여 거만(倨慢)과 오만(傲慢)을 잊어버리고 밝은 대낮에라도 겸손(謙遜)하게 지내는 묘리(妙理)를 배우자
여기는 좁은 서울에서도 가장 번거로운 거리의 한 모퉁이 우울(憂鬱) 대신에 수많은 기폭을 흔드는 쾌활(快活) 잊어버린 수많은 시편(詩篇)을 밟고 가는 길가에 영광(榮光)의 집들이여 점포(店鋪)여 역사(歷史)여 바람은 면도날처럼 날카러웁건만 어디까지 명랑(明朗)한 나의 마음이냐 구두여 양복(洋服)이여 노점상(露店商)이여 인쇄소(印刷所)여 입장권(入場券)이여 부채(負債)여 여인(女人)이여 그리고 여인(女人) 중에도 가장 아름다운 그네여 돈을 버는 거리의 부인들의 어색한 모습이여
킴淪堀뿌리, 민음사, 1974
김수영 시인 / 거미
내가 으스러지게 설움에 몸을 태우는 것은 내가 바라는 것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나는 그 으스러진 설움의 풍경마저 싫어진다.
나는 너무나 자주 설움과 입을 맞추었기 때문에 가을바람에 늙어가는 거미처럼 몸이 까맣게 타버렸다.
킴淪堀뿌리, 민음사, 1974
김수영 시인 / 거미잡이
폴리호(號) 태풍(颱風)이 일기 시작하는 여름밤에 아내가 마루에서 거미를 잡고 있는 꼴이 우습다
하나 죽이고 둘 죽이고 넷 죽이고
……
야 고만 죽여라 고만 죽여 나는 오늘 아침에 서약(誓約)한 게 있다니까 남편은 어제의 남편이 아니라니까 정말 어제의 네 남편이 아니라니까
현대문학 68, 현대문학사, 1960
|
'◇ 시인과 시(근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영랑 시인 / 가야금 외 5편 (0) | 2019.10.28 |
---|---|
김수영 시인 / 거대(巨大)한 뿌리 외 4편 (0) | 2019.10.28 |
박세영 시인 / 소곡이제(小曲二題) 외 2편 (0) | 2019.10.28 |
김수영 시인 / PLASTER 외 3편 (0) | 2019.10.27 |
박세영 시인 / 산천에 묻노라 외 2편 (0) | 2019.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