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석정 시인 / 가을이 지금은 먼 길을 떠나려 하나니
운모(雲母)처럼 투명한 바람에 이끌려 가을이 지금은 먼 길을 떠나려 하나니 푸른 하늘의 대낮을 흰 달이 소리 없이 오고가며 밤이면 물결에 스쳐나려가는 바둑돌처럼 흰구름 엷은 사이사이로 푸른 별이 흘러갑데다
남국의 노란 은행잎새들이 푸른 하늘을 순례한다 먼 길을 떠나기 비롯하면 산새의 노래 짙은 숲엔 밤알이 쌓인 잎새들을 조심히 밟고 묵은 산장 붉은 감이 조용히 석양 하늘을 바라볼 때 가마귀 맑은 소리 산을 넘어 들려옵데다
어머니 오늘은 고양이 졸음 조는 저 후원의 따뜻한 볕 아래서 흰 토끼의 눈동자같이 붉은 석류알을 쪼개어먹으며 그리고 내일은 들장미 붉은 저 숲길을 거닐며 가을이 남기는 이 현란한 풍경들을 이야기하지 않으렵니까 가을이 지금은 먼 길을 떠나려 하나니……
촛불, 인문사, 1939
신석정 시인 / 고운 심장(心臟)
별도 하늘도 밤도 치웁다
얼어붙은 심장 밑으로 흐르던 한 줄기 가는 어느 난류가 멈추고 지치도록 고요한 하늘에 별도 얼어붙어 하늘이 무너지고 지구가 정지하고 푸른 별이 모조리 떨어질지라도
그래도 서러울 리 없다는 너는 오 너는 아직 고운 심장을 지녔거니
밤이 이대로 억만 년이야 갈리라구……
촛불, 인문사, 1939
신석정 시인 / 고원(故園)에 보내는 시
그 가난한 뜨락에 네 어린놈들처럼 나날이 자라나는 나무와 푸성귀들이 철철이 그들의 죄없는 표정을 아끼지 않는 한, 우리는 욕되지 않는 가난을 웃으며 이야기할 날을 기다려도 좋다.
우리 `난(蘭)'이와 나이가 거의 맞서는 이천 년이 훨씬 넘었을 벽오동(碧梧桐)남기나 은행(銀杏)남기나 멀구슬남기들이 인젠 고개와 어깨를 서로 맞대고 어우러져 그 가지 사이로 푸른 하늘을 뾰조롬히 자랑하고, 시나대숲에서는 고 작은 비비새들이 새끼를 부르고 있고나.
후박남기와 라일락을 잘 가꾸어 머지 않은 뒷날에는 탐스러운 꽃들이 피어, 푸르고 연연한 향기를 좁은 뜨락에 가득 채우도록 하고, 뒤란에 심은 찔레꽃도 잘 보살펴서 울타리를 삼고, 석류남기와 대추남기도 올들어 꽃이 무척 피었으니, 가을엔 어린놈들의 군입정이 그리 모자라지는 않겠구나.
매실남기와 산수유남기 사이 빈자리에는 파초를 한 그루만 심어 두어 철따라 그 뜰을 지나가는 빗소리를 머물게 하고, 적적한 밤에는`당시(唐詩)'라도 읽으면서 조용히 그 빗소리를 듣도록 하렴. 가을에는 은행남기를 스무 남은 개 구해 보내리니 모두 제자리 잡아 심어라. 은행남기들이 가을에 그 황금같이 노오란 잎새들을 휘날리는 것은 다시없는 `멋'이니라.
인제 네 어린놈들이 장성한 뒤, 내가 너의 할아버지처럼 길솟는 지팽이에 의지하고, 그 좁은 뜨락을 거닐 때, `가난'이 욕되지 않는 세월 속에서 흐드러지게 웃어 볼 날을 이 남기들과 푸성귀 속에 마련해 두자.
빙하(氷河), 정읍사, 1956
신석정 시인 / 그 꿈을 깨우면 어떻게 할까요?
어머니 산새는 저 숲에서 살지요? 해 저문 하늘에 날아가는 새는 저 숲을 어떻게 찾아간답디까? 구름도 고요한 하늘의 푸른 길을 밟고 헤매이는데…… 어머니 석양에 내 홀로 강가에서 모래성 쌓고 놀 때 은행나무 밑에서 어머니가 나를 부르듯이 안개 끼어 자욱한 강 건너 숲에서는 스며드는 달빛에 빈 보금자리가 늦게 오는 산새를 기다릴까요?
어머니 먼 하늘 붉은 놀에 비낀 숲길에는 돌아가는 사람들의 꿈 같은 그림자 어지럽고 흰 모래 언덕에 속삭이던 물결도 소몰이 피리에 귀기울여 고요한데 저녁바람은 그 무슨 이야기를 하는지 언덕의 풀잎이 고개를 끄덕입니다. 내가 어머니 무릎에 잠이 들 때 저 바람이 숲을 찾아가서 작은 산새의 한없이 깊은 그 꿈을 깨우면 어떻게 할까요?
촛불, 인문사, 1939
신석정 시인 / 꿈의 일부(一部)
바람이 몹시 불고 있었다.
내가 타고 있는 백마의 갈기도 바람에 몹시 날리고 있었다.
출발 직전 백마는 길게 목놓아 울었다.
잠시 지구를 떠나기로 작정했다.
내가 탄 백마는 무작정 달리고만 있었다.
동백꽃이 붉게 타는 어느 해안선을 돌고 있었다.
이윽고 로마궁전의 원주(圓柱)가 멀리 바라보였다.
그 뒤 나는 얼마나 달렸는지 모른다.
메콩강(江) 언덕을 달릴 때였다. 문득 총소리에 내가 깬 것은……
빙하(氷河), 정읍사, 1956
|
'◇ 시인과 시(근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은상 시인 / 비로봉(毘盧峰) 기일(其一) 외 4편 (0) | 2019.12.31 |
---|---|
신석정 시인 / 나랑 함께 외 4편 (0) | 2019.12.30 |
이은상 시인 / 기봉(起峰) 위에 서서 외 3편 (0) | 2019.12.29 |
이은상 시인 / 그대 대답하시오 외 3편 (0) | 2019.12.28 |
이호우 시인 / 청추(聽秋) 외 5편 (0) | 2019.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