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톨릭 관련>/◆ 가톨릭 산책

[글로벌칼럼] (108) 평화를 위한 10일 기도

by 파스칼바이런 2022. 8. 20.

[글로벌칼럼] (108) 평화를 위한 10일 기도

윌리엄 그림 신부

가톨릭신문 2022-08-21 [제3307호, 6면]

 

 

평화 주시는 주님께 기도하고

그분 도구가 되도록 노력해야

 

 

8월 6일부터 15일까지 일본교회는 ‘평화를 위한 10일 기도’를 한다. 8월 6일은 1945년 일본 히로시마에 원자폭탄이 떨어진 날이고, 8월 15일은 당시 일본의 히로히토 천왕이 연합군에 항복한 날이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대부분의 공공행사가 축소되기 전까지, 매년 평화를 위한 10일 기도 중에는 미사와 기도회, 강의, 세미나, 행진 등 평화와 정의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행사가 열렸다.

 

이 10일 기도의 초점은 역사가 아니라 오늘날 세계에 닥치고 있는 정의와 평화에 대한 위협에 맞춰져 있다. 올해에는 특히 이러한 위협이 많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현재 진행 중인 전쟁이 바로 명백한 위협의 예다. 아시아에서는 미얀마 군부가 소수민족인 로힝야에 대한 집단 학살을 계속 이어가고 있다. 중국은 한 미국 정치인의 대만 방문을 구실로 대만 침공을 연습하고 있다. 그리고 동북아시아에는 또 다른 난제가 항상 있어왔다. 바로 북한의 김정은이 어떻게 나올 것인가이다.

 

그렇다면 올해의 평화를 위한 10일 기도에는 어떤 의미가 있을까? 지금과 같은 폭력의 시대에 평화를 기도하기 위해 따로 시간을 내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 일본주교회의 의장 기쿠치 이사오 대주교는 올해 평화를 위한 10일 기도 메시지의 주제를 프란치스코 교황의 부활 메시지를 인용해 ‘평화는 가능합니다; 평화는 의무입니다’라고 정했다. 그 누구도 평화를 지키는 것이 의무라는 것은 부인하지 못할 것이다. 하지만 이것이 가능할까?

 

스탠리 큐브릭 감독의 1968년 영화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는 공포에 떨고 있는 남아프리카 초원 유인원의 모습으로 시작한다. 이 유인원들은 다른 종족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물리적 접촉 없이 서로에 대해 으르렁거리기만 했다. 하지만 한 부족이 다른 동물을 죽이는 수단인 뼈를 발견했고, 이로 인해 기술이 생겼다. 거의 동시에 이 새로운 기술은 종족 간 폭력을 일으키는 무기가 됐다. 바로 전쟁이 시작된 것이다.

 

영화에서 보여준 것이 우리의 진화에서 폭력의 근원이 된 것인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기록과 추측을 더듬어보면 상대방에 대한 폭력은 언제나 우리와 함께 있어 왔다.

 

그러면서도 우리는 평화를 갈구한다. 인류의 경험과는 상당히 동떨어진 평화를 염원하는 것은 우리의 현실을 넘어서라는, 하느님께서 섭리로 내려주신 의무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역사를 통해서 인류가 평화를 이루었다면 그것은 우리의 노력 때문이 아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가 얻는 평화는 하느님께서 주신 것이며, 우리가 얻을 평화도 하느님께서 주시는 것이다. 이를 인정하며 우리는 기도해야 한다.

 

물론 기도만으로는 평화를 얻을 수 없다. ‘중독으로부터 회복을 위한 12단계’는 중독에 맞서 무력함을 수용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 이는 폭력이라는 중독 앞에 무력한 우리 인류의 모습과 같다. 이 12단계 프로그램은 ‘우리보다 위대한 힘’의 도움과 우리가 이 힘에 의지할 때만 중독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강조한다. 그리고 이 프로그램에서는 하느님 혹은 ‘우리보다 위대한 힘’에 의존한다는 조건에서만 회복 과정에 나설 수 있다.

 

아마도 우리는 “모든 것을 하느님께 의탁하는 것처럼 기도하고, 모든 것이 당신에게 의존하는 것처럼 일하라”는 아우구스티노 성인의 명언을 “모든 것을 하느님께 의탁하는 것처럼 기도하고, 모든 것을 의존하며 하느님과 함께 일하라”라고 바꿔야 할 것이다.

 

그리고 우리는 절대 이루지 못할 평화를 가져다주실 것을 하느님께 기도하고, 평화를 위한 주님의 일에 도구가 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윌리엄 그림 신부(메리놀 외방전교회)

윌리엄 그림 신부는 메리놀 외방전교회 사제로서 일본 도쿄를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다. 일본 주교회의가 발행하는 주간 가톨릭신문 편집주간을 지내기도 했다. 현재는 아시아가톨릭뉴스(UCAN) 발행인으로 여러 매체에 칼럼을 기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