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관련>/◆ 전례 & 미사783 [능동적인 미사 참여와 전례 활성화를 위한 나눔] 미사의 구조 [능동적인 미사 참여와 전례 활성화를 위한 나눔] 미사의 구조(시작 예식, 말씀 전례) 시작 예식 미사를 시작하고 이끌고 준비하는 특성을 지닌 ‘시작 예식’의 목적은, 한자리에 모인 신자들이 공동체의 일치를 이루고, 믿음으로 하느님 말씀을 듣고 성찬 전례를 합당하게 거행할 수 있.. 2017. 3. 13. [빛과 소금] 전례의 아름다움 [빛과 소금] 전례의 아름다움 어떻게 하면 전례를 잘 거행할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믿음과 삶의 일치 안에서 전례를 아름답게 거행할 수 있을까? 무엇이 전례를 아름답게 하는가? 사목자만이 아니라 전례에 관심이 있는 신자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깊이 고민해 보았을 이 같은 물음에 만.. 2017. 3. 12. [미사전례풀이] 13. 성체, 더 자주 날마다 영해야 [미사전례풀이] 13. 성체, 더 자주 날마다 영해야 평화신문 2017. 02. 26발행 [1403호] ▨ 영성체를 일 년에 몇 번 해야 하는 규정이 있나? 교회는 신자들에게 적어도 일 년에 한 번, 가능한 한 부활시기에 고해성사로 준비하고 성체를 모실 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교회는 신자들에게 주일과 의무.. 2017. 3. 9. 사순시기 전례와 신앙생활 사순시기 전례와 신앙생활 수난과 파스카 신비 새기며 부활의 기쁨 맞이할 준비를 가톨릭신문 2016-02-07 [제2981호, 7면] 재의 수요일인 2월 10일을 시작으로 올해도 예수 부활 대축일을 준비하는 참회와 보속의 기간인 사순시기가 시작된다. 사순시기는 대림시기와 함께, 예수 그리스도의 신.. 2017. 3. 3. [미사전례풀이] 12. 영성체, 하루 두 번까지만 [미사전례풀이] 12. 영성체, 하루 두 번까지만 평화신문 2017. 02. 19발행 [1402호] ▲ 삽화=문채현 ▨ 영성체는 미사 때만 할 수 있나? 성체성사는 교회가 봉헌하는 미사성제 안에서 이뤄진다. 따라서 영성체는 미사 때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미사 밖에서도 영성체를 할 수 있다. 병자나.. 2017. 3. 3. [미사전례풀이] 11. 성체, 모시는 방법 달라도 효과는 같아 [미사전례풀이] 11. 성체, 모시는 방법 달라도 효과는 같아 평화신문 2017. 02. 12발행 [1401호] ▲ 첫 영성체에서 입으로 성체를 받아 영하는 어린이와 손으로 성체를 받아 영하는 신자. 성체를 영하는 방식은 다르지면 영성체의 효과는 같다. ▨ 성체를 손으로 받아서 영하는 것과 입으로 직접.. 2017. 3. 2. [진리를 찾아서] 삶의 원천인 전례 [진리를 찾아서] 삶의 원천인 전례 삶에서 제대한 지 30년이 지났지만 지금도 겨울이면 자주 떠오르는 곳이 군 복무를 했던 곳이다. ‘인제’ 가면 언제 오나 ‘원통’해서 못 살겠다던 노래 가사에 등장하는 곳으로 눈 치우는 넉가래를 적어도 몇 개 부러뜨려야 제대할 수 있다는 강원도 .. 2017. 2. 27. [능동적인 미사 참여와 전례 활성화를 위한 나눔] 네 형제를 어떻게 하였느냐? [능동적인 미사 참여와 전례 활성화를 위한 나눔] 네 형제를 어떻게 하였느냐? 미사가 끝나면 수많은 사람들이 영화관을 빠져 나가듯 빠르게 사라져버립니다. 많은 신자들에게 있어 미사에 함께 참례했던 사람들은 별로 중요하지 않은 듯 보입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전례헌장」.. 2017. 2. 25. [빛과 소금] 엠마오의 두 제자와 성찬례, “가서 전하시오!” [빛과 소금] 엠마오의 두 제자와 성찬례, “가서 전하시오!” 엠마오의 두 제자가 걸었던 영적 여정의 마지막 단계는 주님 부활의 기쁜 소식을 전하는 그리스도인의 사명과 관계가 있다. 주님의 말씀으로 타올랐던 뜨거운 마음과 ‘눈이 열려’ 주님의 현존을 알아보았던 놀라운 체험을 .. 2017. 2. 24. [능동적인 미사 참여와 전례 활성화를 위한 나눔] 미사 전례 [능동적인 미사 참여와 전례 활성화를 위한 나눔] 미사 전례 미사는 천주교 신자들이 하느님께 바치는 공적인 예배입니다. 미사는 예수님의 최후 만찬에 그 근거를 두고 있습니다. 미사는 예수 그리스도의 수난과 죽음, 부활과 승천을 기념하는 것이고, 이 행위로써 기념하는 신비가 우리.. 2017. 2. 23. [신학 산책2] (11) 제대와 감실, 어느 것어 더 중요한가요? [신학 산책2] (11) 제대와 감실, 어느 것어 더 중요한가요? 성당에 들어가면 중앙에 놓여 있는 제대, 앞쪽 벽에 걸려 있는 십자가, 감실 등 여러 부분들이 눈에 띈다. 그래서인지 성당에 들어갈 때 어떤 신자는 성당 앞쪽 벽에 걸려 있는 십자가를 향해 인사를 하고, 어떤 신자는 한쪽에 있는 .. 2017. 2. 22. [신학 산책2] (10) 신부님이 미사 때 입으시는 제의(祭衣) 색깔은 왜 다른가요? [신학 산책2] (10) 신부님이 미사 때 입으시는 제의(祭衣) 색깔은 왜 다른가요? 미사를 드릴 때 보면, 때때로 사제가 입는 제의(祭衣)* 색깔이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무엇일까? 미사는 항상 같은 것처럼 보이는데, 사제가 그냥 가끔 다른 색으로 갈아입는 것일까? 언뜻 보기에.. 2017. 2. 21. 이전 1 ··· 25 26 27 28 29 30 31 ··· 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