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톨릭 관련>/◆ 전례 & 미사783

[전례] '인생'이라는 전례 [전례] '인생'이라는 전례 어떻게 하면 기쁨의 잔치인 전례에 ‘방관자’가 아닌 ‘주인공’으로 참례할 수 있을까요? 주님 공현 대축일에 묵상하는 동방 박사들의 이야기(마태 2,1-12)가 그 실마리를 제공해주는 듯합니다. 우리의 삶 자체가 하나의 아름다운 전례임을 일깨우기 때문입니.. 2017. 1. 28.
[전례] 따분한 전례? 따분한 내 인생? [전례] 따분한 전례? 따분한 내 인생? “전례는 교회의 활동이 지향하는 정점이며, 동시에 거기에서 교회의 모든 힘이 흘러 나오는 원천이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전례헌장」 10항의 말씀입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수년 전 수원교구 복음화국에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냉담의 주.. 2017. 1. 27.
[미사전례풀이] 8. 쪼개진 성체도 온전한 주님의 몸 [미사전례풀이] 8. 쪼개진 성체도 온전한 주님의 몸 평화신문 2017. 01. 22발행 [1398호] ▲ 성찬례를 거행하는 프란치스코 교황. ▨ 성체성사는 언제 만들어졌나 예수 그리스도는 수난 전날 제자들과 함께한 최후의 만찬 자리에서 성체성사를 세우고, 이 예식이 제자들을 통해 계속 이뤄지기.. 2017. 1. 27.
[신학 산책2] (8) 주일(主日): 미사 드리기 가장 좋은 날 [신학 산책2] (8) 주일(主日): 미사 드리기 가장 좋은 날 지난 주 글에서 일요일은 예수님의 부활에 근거한 주일(주님의 날)이며, 유다인들에게 토요일이 안식일인 것처럼, 그리스도인들에게도 주일은 육체적인 노동을 하지 않는 파공(罷 : 그칠 파, 工 : 일 공)의 의무가 있는 날이라고 하였.. 2017. 1. 21.
[신학 산책2] (7) 일요일(日曜日)? 주일(主日)? [신학 산책2] (7) 일요일(日曜日)? 주일(主日)? 우리는 대개 요일을 셀 때, ‘월, 화, 수, 목~’ 으로 세고, 그래서 일요일이 맨 마지막이다. 그런데 달력을 보면, 일요일부터 시작하여 ‘일, 월, 화, 수, 목~’ 으로 되어 있다. 예전에는 토요일은 반공휴일이라 하고, 일요일은 공휴일이라고 하.. 2017. 1. 20.
[신학 산책2] (6) 성모상(聖母像) 앞에서 절하면 우상 숭배인가요? [신학 산책2] (6) 성모상(聖母像) 앞에서 절하면 우상 숭배인가요? 많은 신자들은 성당에 가면, 입구에 있는 성모상 앞에서 인사를 하거나 잠시 머물며 기도를 한 후에 본당으로 들어간다. 성당 안에서도 성인들 모습의 조각상이나 성화들이 걸려 있는 경우 그 앞에서 기도를 바치기도 한다.. 2017. 1. 19.
[축일] 주님 공현 대축일, 주님 세례 축일 [축일] 주님 공현 대축일, 주님 세례 축일 아기 예수 경배와 세례에 담긴 구원의 신비 드러내 8일 주님 공현 대축일과 9일 주님 세례 축일을 맞아 두 축일의 유래와 의미를 살펴본다. 특히 주님 공현 대축일은 또 하나의 예수 성탄 대축일로 불릴 정도로 중요한 축일인 만큼 각별한 관심과 .. 2017. 1. 14.
[미사전례풀이] (7) 빵과 포도주에서 그리스도 현존하는 성체로 [미사전례풀이] (7) 빵과 포도주에서 그리스도 현존하는 성체로 미사 때 성작에 포도주를 붓고 물을 조금 섞는 것과 성체 한 부분을 떼어 성작 안에 넣는 것은 무슨 의미인가? 포도주와 물을 섞는 행위는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의 일치를 상징하며, 성체와 성혈을 섞는 것은 우리의 구원.. 2017. 1. 13.
[미사전례풀이] 6. 자신의 몸과 피를 봉헌하신 그리스도 [미사전례풀이] 6. 자신의 몸과 피를 봉헌하신 그리스도 평화신문 2017. 01. 01발행 [1396호] ▲ 예물을 봉헌하는 초등부 학생들. ▨ 미사 때 예물 봉헌의 참된 의미는 무엇인가? 예물 봉헌은 성찬 전례를 시작할 때 그리스도의 몸과 피가 될 예물을 제대에 가져가는 것이다. 곧 빵과 포도주와 .. 2017. 1. 10.
[신학 산책2] (5) 성가는 두 배의 기도입니다 [신학 산책2] (5) 성가는 두 배의 기도입니다 “성당에 울려 퍼지는 찬미가와 송가와 감미로운 노래들을 듣고 얼마나 눈물을 흘렸는지 모릅니다! 얼마나 큰 감동을 받았는지요! 그 노래들은 제 귀로 흘러들어 제 가슴에 진리를 퍼뜨렸습니다. 저는 신심의 약동으로 고양되었으며, 뺨 위로 .. 2016. 12. 28.
[펀펀(FunFun) 전례] (50) 구유에는 어떤 의미가 있나요? [펀펀(FunFun) 전례] (50) 구유에는 어떤 의미가 있나요? 인간 위해 낮은 곳에 임하신 주님 사랑·겸손 드러내 가톨릭신문 2016-12-25 [제3025호, 17면] 프란치스코 성인 영향으로 세계에 전파 요셉·마리아와 천사·동방박사 등 배치 민이: 신부님, 오늘은 구유에 대해 이야기해주신다고요? 티모: .. 2016. 12. 27.
[전례의 숲] 제물을 받아주시기를 비는 기도 [전례의 숲] 주님, 교회가 바치는 제물을 굽어보소서. 제물을 받아주시기를 비는 기도 주님의 몸과 피를 봉헌하는 기도를 바치고 나서, 사제는 다시 하느님께 이 제물을 받아주시라는 기도를 바칩니다. 이 기도는 봉헌의 주제를 가지고 있으면서 뒤에 연결되는 “일치를 위한 성령 청원”.. 2016. 12.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