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톨릭 관련>/◆ 전례 & 미사783

[미사 전례 풀이] (26) 조상 제사, 우상숭배 아닌 문화적 풍속 [미사 전례 풀이] (26) 조상 제사, 우상숭배 아닌 문화적 풍속 가톨릭평화신문 2017. 05. 28발행 [1416호] ▨ 하느님께 드리는 제사인 미사는 조상들의 기일에 드리는 제사와 어떻게 다른가? 미사는 본질적으로 제사다. 그렇지만 우리가 가정에서 기일에 조상들을 기억하며 드리는 제사와는 형.. 2017. 5. 29.
[전례 생활] 부활 성야 미사의 ‘성대한 알렐루야’ [전례 생활] 부활 성야 미사의 ‘성대한 알렐루야’ 우리는 얼마 전 전례주년의 절정인 예수 부활 대축일을 지냈다. 그 전날 밤에는 교회 전례에서 가장 장엄하게 거행하는 부활 성야 미사를 봉헌하였다. 성대하게 거행한 이 성야 미사에서 노래한 ‘알렐루야’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2017. 5. 27.
[미사 전례 풀이] (25) 방송 미사로 주님과 일치할 수 있나? [미사 전례 풀이] (25) 방송 미사로 주님과 일치할 수 있나? 가톨릭평화신문 2017. 05. 21발행 [1415호] ▨ 교중 미사는 어떤 미사인가? 교구장 주교와 본당 주임 사제가 연중 모든 주일과 의무 대축일에 모든 신자를 위해 미사 예물 없이 의무적으로 봉헌하는 미사를 교중 미사(백성을 위한 미사.. 2017. 5. 21.
[능동적인 미사 참여와 전례 활성화를 위한 나눔] 그리스도교의 입문 성사 I [능동적인 미사 참여와 전례 활성화를 위한 나눔] 그리스도교의 입문 성사 I “사람들은 그리스도교 입문 성사들을 통하여 어둠의 권세에서 해방되고 그리스도와 함께 죽고 함께 묻히고 함께 부활하여 우리를 하느님의 자녀로 삼아 주시는 성령을 받아, 주님의 죽음과 부활의 기념제를 .. 2017. 5. 20.
[전례의 숲] 주님의 기도 [전례의 숲] 주님의 기도 초 세기에는 감사기도가 끝나면 곧바로 빵 나눔과 영성체를 하였습니다. 4세기부터 거룩한 주님의 몸과 피를 합당하게 모시기 위한 준비 예식들이 생겼습니다. 오늘날 영성체 준비 예식은 주님의 기도로 시작합니다. 이 기도는 감사기도를 종합하고 영성체를 준.. 2017. 5. 19.
[미사 전례 풀이] (24) 주일 미사 빠졌는데 어쩌나… [미사 전례 풀이] (24) 주일 미사 빠졌는데 어쩌나… 가톨릭평화신문 2017. 05. 14발행 [1414호] ▨ 직장 일로 주일 미사 참여가 어려울 때에 어떻게 해야 하나? 성직자가 없거나 그 밖에 불가항력적인 중대한 이유로 부득이 주일에도 일해야 하는 경우, 교회는 주일 미사 참여의 의무를 관면한.. 2017. 5. 15.
[빛과 소금] 삶과 기억으로의 성체성사 [빛과 소금] 삶과 기억으로의 성체성사 어린이, 청소년 시기의 미사 초등학교 저학년에서 고학년이 되고, 또 중학생이 되면, 많은 것들이 달라진다. 점점 어려워지는 공부는 물론이고 감당해야 할 학습량도 늘어나고, 자신의 적성과 진로를 찾으며 미래를 위해 고민해야 하는 쉽지 않은 .. 2017. 5. 10.
[미사 전례 풀이] (23) 최후의 만찬, 미사 전례의 기원 [미사 전례 풀이] (23) 최후의 만찬, 미사 전례의 기원 평화신문 2017. 05. 07발행 [1413호] ▨ 예수 시대에도 지금과 똑같은 미사 전례가 있었나? 예수 시대에 지금과 같은 미사 전례가 있었던 것은 아니다. 그러나 미사가 예수 그리스도의 최후 만찬에 기원을 두고 있다는 점에서 그 시대와 깊.. 2017. 5. 9.
[능동적인 미사 참여와 전례 활성화를 위한 나눔] 파스카 성삼일 [능동적인 미사 참여와 전례 활성화를 위한 나눔] 파스카 성삼일 (1) 파스카 성삼일은 예수 그리스도의 수난과 죽음, 부활에 관한 파스카 신비를 기리는 3일의 기간이며, 주님 만찬 미사로 시작해 파스카 성야에 절정을 이루며 부활 주일 저녁기도로 끝난다. ‘파스카 성삼일’이란 명칭은.. 2017. 5. 3.
[미사 전례 풀이] (22) 미사에 종치는 관습, 12세기 무렵 시작 [미사 전례 풀이] (22) 미사에 종치는 관습, 12세기 무렵 시작 평화신문 2017. 04. 30발행 [1412호] ▨ 성찬 전례 때 복사가 종을 치는 것은 어떤 의미이고, 어디서 유래했나? 미사 때 복사는 필요에 따라 종을 치는데, 이는 신자들에게 빵이 예수님의 몸으로 변하고 포도주가 예수님의 피로 변하.. 2017. 5. 3.
[전례 생활] 독서자의 예절 [전례 생활] 독서자의 예절 독서자가 미사 전례 중에 독서대에서 말씀을 선포하는 것은 하느님의 말씀이신 그리스도를 선포하는 것이다. 성자께서는 특별히 이러한 선포의 전례 행위를 통하여 전례 중에 말씀으로 현존하신다. 그러므로 미사 중에 말씀을 선포하는 독서자의 임무는 매우 .. 2017. 5. 2.
[능동적인 미사 참여와 전례 활성화를 위한 나눔] 부활 시기 [능동적인 미사 참여와 전례 활성화를 위한 나눔] 부활 시기 예수 부활 대축일부터 성령 강림 대축일까지 50일 동안의 전례상 시기를 부활 시기라고 한다. 유대인들의 축제력에서 중요한 축제는 일정 기간 동안 계속되었는데, 마찬가지로 옛 그리스도인들도 그리스도의 파스카 신비를 파.. 2017. 5.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