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톨릭 관련>/◆ 전례 & 미사783

전례야, 놀자 - 장신호 요한보스코 보좌주교 [전례야, 놀자!] 너희는 모두 이것을 받아먹어라 신자가 성체를 자기 손으로 직접 집어 모시지 않는 것은 무슨 의미입니까? 전례 규정은 “신자들이 직접 축성된 빵과 거룩한 잔을 들고 모시는 것은 허락되지 않는다. 신자들끼리 손에서 손으로 전달하는 것은 더더욱 안 된다.”(로마 미사.. 2017. 10. 21.
궁금해요 전례 - 한분도 베네딕토 신부 궁금해요 전례 (1) 일반 포도주는 미사주로 사용할 수 없나요? 미사를 거행할 때마다 사제는 빵과 포도주를 성체와 성혈로 축성합니다. 신자들은 성체를 모심으로써 그리스도와 하나가 되고, 생명의 양식으로 세상에 복음을 전하는 힘을 얻게 됩니다. 미사 중 봉헌시간은 성찬전례의 시작.. 2017. 10. 20.
[전례 생활] 평화의 인사 [전례 생활] 평화의 인사 평화의 인사는 일상적인 인사와 다르다 오늘날 성찬례를 거행하는 중에 주님의 현존을 확인하는 ‘전례 대화’는 모두 다섯 곳으로, 그 부분이 중요한 순간임을 드러낸다. 그중 마지막 다섯 번째가 바로 영성체 직전에 ‘평화의 인사’를 나누면서 하는 전례 대.. 2017. 9. 26.
[전례의 숲] 영성체 (1) [전례의 숲] 영성체 (1) 영성체는 성체 성혈, 곧 주님의 몸과 피로 변한 빵과 포도주를 먹고 마시는 예식입니다. 미사가 잔치, 곧 공동식사라면 영성체는 빠뜨릴 수 없는 본질 부분입니다. 음식을 먹지 않고 음료를 마시지 않는 식사는 정상이 아니고 식사라고 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전통.. 2017. 9. 18.
[겨자씨 한 알] 하느님 말씀에 응답하는 교회 공동체 [겨자씨 한 알] 하느님 말씀에 응답하는 교회 공동체 Q1 제1독서 후 바치는 화답송은 어떤 역할을 하고 있나요? 제1독서 후에는 화답송을 바칩니다. 화답송은 제1독서에서 들은 하느님의 말씀에 대해 교회 공동체가 응답하는 기도입니다. 말씀을 들려주신 하느님께 올리는 공동체의 찬미와.. 2017. 9. 17.
[전례 생활] 그 배필이신 성 요셉과 [전례 생활] 그 배필이신 성 요셉과 미사 전례문의 핵심에 해당하는 감사 기도의 내용은, 최후 만찬 때에 성자께서 성부께 감사의 찬미를 드리셨던 것을 본받아 하느님께 감사드리는 가운데 성령의 힘으로 성변화를 이루는 것이다. 또한 그렇게 이루어진 주님의 몸과 피를 성부께 봉헌하.. 2017. 8. 28.
[전례의 숲] 영성체 직접 준비 [전례의 숲] 영성체 직접 준비 “하느님의 어린양” 노래가 끝나면 영성체를 하기 전에 마지막 준비를 합니다. “영성체 전 기도”와 “하느님 어린양” 선포, 그리고 “겸손의 기도”입니다. 이 예식은 짧고 또 앞에 중요한 준비 예식들이 있었기 때문에 징검다리 예식으로 여기고 무심.. 2017. 8. 17.
[전례 톡톡] TV 미사 참례, 수많은 의문과 몇 가지 제안 [전례 톡톡] TV 미사 참례, 수많은 의문과 몇 가지 제안 TV 미사를 시청할 때마다 의구심이 들어요. 미사가 유명 인사들과 성당을 보여주는 구경거리로 전락되는 걸 보면 걱정스러워요. 더구나 세속화된 세상에서 이런 종류의 방송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요? 복음화나 신앙 체험 프로그램을 .. 2017. 8. 5.
[전례 생활] 너희와 많은 이를 위하여 [전례 생활] 너희와 많은 이를 위하여 미사의 감사 기도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주님께서 수난하시기 전날 저녁에 제자들과 함께 파스카 식사를 하시면서 성체성사를 세우셨음을 알려주는 대목이다. 이것을 ‘성찬 제정 보도문’ 또는 ‘성찬 제정문’이라고 한다. 그중에서도 특히 제.. 2017. 8. 4.
[겨자씨 한 알] 미사의 동작들에 숨어있는 의미 [겨자씨 한 알] 미사의 동작들에 숨어있는 의미 Q1 미사의 시작은 어디서부터일까요?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는 일은 늘 설레고 기쁩니다. 우리를 사랑하셔서 당신의 모든 것을 내어놓으신 예수님을 만나는 미사도 늘 설레고 기쁘겠지요. 그 시작은 어디서부터일까요? 성전입구에서 성수를 .. 2017. 7. 20.
[신학 산책2] (21) 복음 말씀을 듣기 전에 하는 행동에는 [신학 산책2] (21) 복음 말씀을 듣기 전에 하는 행동에는 어떤 의미가 있나요? “주님께서 여러분과 함께” “또한 사제와 함께”, “마태오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주님, 영광 받으소서~” 부스럭~~ 부스럭~~. 신자들의 태도가 제각각이다. 왼손을 가지런히 배 위에 얹고 오른손으로.. 2017. 7. 19.
[전례의 숲] 빵 나눔 예식 [전례의 숲] 빵 나눔 예식 평화 예식에 이어 빵 나눔, 또는 빵 쪼갬 예식이 뒤따릅니다. 사제는 성체를 쪼개어 작은 조각을 성작 안에 넣고 회중은 “하느님의 어린양” 노래를 하는 예식입니다. 이 예식에는 세 요소, 곧 성체를 쪼갬, 작은 성체 조각을 성혈에 섞음, “하느님의 어린양” .. 2017. 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