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남수 시인 / 마을
외로운 마을이 나른나른 오수(午睡)에 조을고
넓은 마을에 솔개미 바람개비처럼 도는 날......
뜰 안 암탉이 제 그림자 쫓고 눈알 대록대록 겁을 삼킨다
초롱불, 삼문사, 1940
박남수 시인 / 종소리
나는 떠난다. 청동의 표면에서 일제히 날아가는 진폭의 새가 되어, 광막한 하나의 울음이 되어, 하나의 소리가 되어.
인종은 끝이 났는가. 청동의 벽에 ‘역사’를 가두어 놓은 칠흑의 감방에서.
나는 바람을 타고 들에서는 푸름이 된다. 꽃에서는 웃음이 되고, 천상에서는 악기가 된다.
먹구름이 깔리면 하늘의 꼭지에서 터지는 뇌성이 되어, 가루 가루 가루의 음향이 된다.
박남수 시인 / 하관(下官)
무덤을 파고 너는 관 속에 누워 있다. 둘레에 가까웠던 사람들이 애통하며 관 위에 꽃을 던진다. 흙도 뿌린다. 눈썹에 가리인 눈물을 통하여, 나는 너의 모습을 지우고 있다. 맑은 눈으로 볼 수가 없어서 눈물로 너의 마지막 모습을 지우고 있다. 이제 우리는 이승과 저승으로 갈리었다. 누구의 만남도, 결국은 이렇게 갈리기 위하여 있었겠지만, 눈물의 투명을 통하여 자꾸 흔들어 지우면서, 우리는 어처구니없는 거리를 만들고 있다. 흙을 덮고 나면 그뿐, 저 넓은 품에서 너를 다시 찾기는 어려우리라. 안녕, 안녕.
박남수 시인 / 훈련
팬티 끈이 늘어나 입을 수가 없다. 불편하다. 내 손으로 끈을 갈 재간이 없다. 제 딸더러도 끈을 갈아 달라기가 거북하다. 불편하다. 이제까지 불편을 도맡았던 아내가 죽었다. 아내는 요 몇 해 동안, 나더러 설거지도 하라 하고, 집 앞길을 쓸라고도 하였다. 말하자면 미리 연습을 시키는 것이었다. 그런데 성가시게 그러는 줄만 여기고 있었다.
빨래를 하고는 나더러 짜달라고 하였다. 꽃에 물을 주고, 나중에는 반찬도 만들어보고 국도 끓여보라고 했다. 그러나 반찬도 국도 만들어보지는 못하였다. 아내는 벌써 앞을 내다보고 있었다. 팬티 끈이 늘어나 불편할 것도 불편하면서도 끙끙대고 있을 남편의 고충도.
박남수 시집 <그리고 그 이후> 1933
|
'◇ 시인과 시(근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화 시인 / 눈물의 해협 외 1편 (0) | 2019.07.26 |
---|---|
김경린 시인 / 국제열차(國際列車)는 타자기(打字機)처럼 외 3편 (0) | 2019.07.26 |
임화 시인 / 낮 외 2편 (0) | 2019.07.25 |
박남수 시인 / 봄의 幻覺 외 3편 (0) | 2019.07.25 |
김광섭 시인 / 가는 길 외 1편 (0) | 2019.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