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시인과 시(근대)

신동엽 시인 / 너는 모르리라 외 4편

by 파스칼바이런 2019. 8. 31.

신동엽 시인 / 너는 모르리라

 

 

너는 모르리라

그 날 내 왜

넋나간 사람처럼 고가(古家) 앞

서 있었던가를

 

너는 모르리라

진달래 피면 내 영혼 속에

미치는 두 마리

짐승의 울음

 

너는 모르리라

산을 열 굽이 넘고도

소경처럼 너만을 구심(求心)하는

해와 동굴(洞窟)과 내 사랑

 

너는 모르리라

문명된 하늘 아래 손넣고 광화문 뒷거리 걸으며

내 왜 역사 없다

벌레 삥·····니까렸는가를

 

하여

넌 무덤 속 가서도 모를 것이다

너 안 보는 자리서

찬 돌 쓸어안으며

그 숱한 날 얼마나 통곡했는가

 

그리하여

넌 할미꽃 밑에서도 모를 것이다

그 날 왜 내

눈물먹은 네 진주에 손대지

안했는가를.

그리고 그것은 몰라야 쓴다.


戀蒐탁?京鄕新聞), 1962

 

 


 

 

신동엽 시인 / 너의 무덤에서

 

 

  온 종일

  한가한 공동묘지엔

  흔건히 지쳐

  해가 딩굴다

 

  함부로 갈큇발이

  헤비고 간

  가난한 애장 우에

  계절은 땀을 흘리며

  거기 나물 뜯던 언덕을

  아련히 기어가는 하오(下午).

 

  각시풀 다듬던 연한

  너의 뼈마디는

  지층을 적시며

  오늘도 산화(酸化)하는가.....

  정(貞)이.

 

  정(貞)이

  밤마다 새푸랗니

  놀래였나

  지표가 구겨졌다.

 

 


 

 

신동엽 시인 / 노래하고 있었다

 

 

  노래하고 있었다.

  달리는 열차 속에

  창가 기대앉아

  지나가는 풍경

  바라보고 있노라면,

 

  잔잔한 물결

  양털 같은 세월 위서

  너는 노래하고 있었다.

 

  죄없는 사람

  가로수 밑 걸으며

  또각또각 구둣소리

  눈녹아 하늘로 번질 때

 

  하늘은 바람  

  대지(大地) 위 고요

 

  노래하고 있었다.

  창가 기대앉아

  지나가는 들녘

  바라보고 있노라면,

 

  가로수 위

  구름 위

  보이지 않는 영화로운

  미래(未來)로의 소리로,

 

  거대한 신(神)은

  소맷깃 뿌리며

  부처님 같은 얼굴로

 

  내 괴로움 위서

  노래하고 있었다.


신동엽전집, 창작과비평사, 1975

 

 


 

 

신동엽 시인 / 눈 날리는 날

 

 

  지금은 어디 갔을까.

 

  눈은 날리고

  아흔 아홉 굽이 넘어

  바람은 부는데

  상여집 양달 아래

  콧물 흘리며

  국수 팔던 할멈.

 

  그 논길을 타고

  한 달을 가면, 지금도

  일곱의 우는 딸들

  걸레에 싸안고

  대한(大寒)의 문 앞에 서서 있을

  바람 소리여

 

  하늘은 광란······

  까치도 쉬어 넘던

  동해 마루턱

  보이는 건 눈에 묻은 나,

  나와 빠알간 까치밥.

 

  아랫도리 걷어올린

  바람아,

  머릿다발 이겨 붙여 산막(山幕) 뒤꼍

  다숩던

  얼음꽃

  입술의 맛이여.

 

  눈은 날리고

  아흔 아홉 굽이 넘어

  한(恨),

  한은 쫓기는데


  상여집 양달 아래

  트렁크 끌르며

  쉐탈 갈아입던 여인……

 

아사녀(阿斯女), 문학사, 1963

 

 


 

 

신동엽 시인 / 눈동자

 

 

  묻지 말고 이대로 보내 주옵소서

  잊어버리고만 싶은 눈동자여

 

  말곳 하면, 잘못

  꿈 깨어져 버릴

  깨끗한 얼굴

 

  눈물 감추우며

  제발 이대로 돌아가게

  못본 척 해주소서

 

  내 목숨 다 주고도

  떠나기 싫은 눈동자여.

 

 


 

 

신동엽 시인(1930년-1969년)

신동엽(申東曄,)은 1930년 8월 18일 충남 부여읍 동남리에서 1남 4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1943년 부여초등학교를 수석으로 졸업했고, 국가에서 숙식과 학비를 지원해 주는 전주사범학교에 입학했다.1949년 부여 주변에 있는 국민학교 교사로 발령을 받았으나 3일 만에 교사직을 그만두고 단국대 사학과에 입학했다. 1950년 한국 전쟁이 일어나자 고향으로 내려가 그해 9월 말까지 부여 민족청년회 선전부장으로 일하다 국민방위군에 징집됐다.

1953년 단국대를 졸업한 뒤 서울 성북구 돈암동에 자취방을 얻어 친구의 도움으로 돈암동 네 거리에 헌책방을 열었다. 신동엽은 이때 이화여고 3학년이던 부인 인병선을 만났다. 1957년 인병선과 결혼한 뒤 고향으로 낙향하여 충남 보령군 주산농업고등학교 교사로 부임하였다. 1958년 각혈을 동반한 폐결핵을 앓게 되면서 학교를 그만두고, 서울 돈암동 처가에 아내와 자녀를 올려 보낸 뒤 고향 부여에서 요양하며 독서와 글쓰기에 빠진다. 1959년 독서와 문학 습작에 몰두하다 장시 〈이야기하는 쟁기꾼의 대지(大地)〉를 석림(石林)이라는 필명으로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어 문단에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