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훈 시인 / 눈밤
소리없이 내리는 눈, 한 치[寸], 두 치 마당 가뜩 쌓이는 밤엔
생각이 길어서 한 자[尺]외다, 한 길[丈]이외다.
편편(片片)이 흩날리는 저 눈송이처럼
편지나 써서 온 세상에 뿌렸으면 합니다.
그날이 오면, 한성도서주식회사, 1949
심훈 시인 / 돌아가지이다
돌아가지이다, 돌아가지이다. 동요(童謠)의 나라, 동화(童話)의 세계(世界)로 다시 한 번 이몸이 돌아가지이다.
세상 티끌에 파묻히고 살 길에 시달린 몸은 선잠 깨어 고사리 같은 손으로 어루만지던 엄마의 젖가슴에 안기고 싶습니다, 품기고 싶습니다. 그 보드랍고 따뜻하던 옛날의 보금자리 속으로 엉금엉금 기어들고 싶습니다.
그러나 이를 어찌하오리까 엄마의 젖꼭지는 말라 붙었고 제 입은 계집의 혀를 빨았습니다 엄마의 젖가슴은 식어 버리고 제 염통에는 더러운 피가 괴었습니다.
바람이 부더이다, 바람은 차더이다. 온 세상이 거칠고 쓸쓸하더이다. 가는 곳마다 차디 찬 바람을 등어리에 끼얹어 주더이다.
오오 와다오, 포근한 잠아! 하염없는 희망을 덮고 끊임없이 근심스러운 마음 위에 한 번 다시 그 잠이 와주려무나. `자장자장 잘두 잔다 얼뚱아기 잘두 잔다 자장골에 들어가니 그 골에는 잠두 많어 센둥이두 자드란다 검둥이두 자드란다' 엄마도 이 노래를 부르시다가 꼬박꼬박 졸음이 와서 내 이마에다 이마뚝도 하셨었지.
노곤한 봄날 낮잠 주무시는 할아버지의 은실 같은 수염을 뽑아 가지고 개나리 회초리에 파리를 매어 `잠자리 종조옹 파아리 종조옹 이리 오면 사느니라 저리 가면 죽느니라……'
고초 자지 달랑거리고 논둑 건너 밭이랑 넘어 나비 같이 돌아다니던 귀여운 어린 천사(天使)야 아아 지금은 어디로 갔느냐?
함박눈이 울 안을 덮고 밭 전(田) 자 들창에 달빛이 물들 때 언니하고 자릿속에서 듣던 할머니의 까치 이야기는 어쩌면 그렇게도 재미가 있었을까요? 여우한테 물려 간 까치 새끼가 가엾고 불쌍해서 울었었지요 찾아다 달라고 떼를 쓰며 울었었지요.
아아 옛날의 보금자리에 이 몸을 포근히 품어 주소서. 하루도 열두번이나 거짓말을 시키고도 얼굴도 붉히지 말라는 세상이외다. 사람의 마음도 돈으로 팔고 사는 알뜰히도 더러운 세상이외다. 돌아가지이다, 돌아가지이다. 동요(童謠)의 나라, 동화(童話)의 세계(世界)로 한 번만 다시 돌아가지이다.
그날이 오면, 한성도서주식회사, 1949
심훈 시인 / 동우(冬雨)
저 비가 줄기줄기 눈물일진대 세어 보면 천만(千萬) 줄기나 되엄즉허이, 단 한 줄기 내 눈물엔 벼개만 젖지만 그 많은 눈물비엔 사태(沙汰)가 나지 않으랴. 남산(南山)인들 삼각산(三角山)인들 허물어지지 않으랴.
야반(夜半)에 기적(汽笛) 소리! 고기에 주린 맹수(猛獸)의 으르렁대는 소리냐 우리네 젊은 사람의 울분(鬱憤)을 뿜어 내는 소리냐 저력(底力) 있는 그 소리에 주춧돌이 움직이니 구들장 밑에서 지진(地震)이나 터지지 않으려는가?
하늘과 땅이 맞붙어서 멧돌질이나 하기를 빌고 바라는 마음 몹시도 간절하건만 단 한 길[丈] 솟지도 못하는 가엾은 이몸이여 달리다 뛰면 바단들 못 건너리만 걸음발 타는 동안에 그 비가 너무나 차구나!
그날이 오면, 한성도서주식회사, 1949
심훈 시인 / 마음의 낙인(烙印)
마음 한복판에 속 깊이 찍히진 낙인(烙印)을 몇 줄기 더운 눈물로 지어보려 하는가 칼끝으로 도려낸들 하나도 아닌 상처(傷處)가 가시어질 것인가 죽음은 홍소(哄笑)한다 머리맡에 쭈그리고 앉아서……
자살(自殺)한 사람의 시집(詩集)을 어루만지다 밤은 깊어서 추녀 끝의 풍경(風磬) 소리, 내 상여(喪輿)머리에 요령(搖鈴)이 흔들리는듯. 혼백(魂魄)은 시꺼먼 바닷속에 잠겨 자맥질하고 허무(虛無)히 그림자 악어(鰐魚)의 입을 벌이고 등어리에 소름을 끼얹는다.
○
쓰라린 기억(記憶)을 되풀이하면서 살아가는 앞길은 행복(幸福)이란 도깨비가 길라잡이 노릇을 한다. 꿈 속에 웃다가 울고 울다가 웃는 어릿광대들 개미떼처럼 뒤를 따라 쳇바퀴를 돌고 도는걸……
○
`캄풀' 주사(注射) 한 대로 절맥되는 목숨을 이어 보듯이 젊은이여 연애(戀愛)의 한 찰나(刹那)에 목을 매달려는가? 혈관(血管)을 토막토막 끊으면 불이라도 붙을상 싶어도 불 꺼져 재만 남은 화로(火爐)를 헤집는 마음이여!
○
모든 것이 모래밭 위의 소꼽장난이나 아닌 줄 알았더면 앞장을 서서 놈들과 겯고 틀어나 볼 것을 길거리로 달려나가 실컷 분(憤)풀이나 할 것을 아아 지금엔 희멀건 허공(虛空)만이 내 눈 앞에 티어 있을 뿐……
그날이 오면, 한성도서주식회사, 1949
|
'◇ 시인과 시(근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장환 시인 / 이 세월도 헛되이 외 3편 (0) | 2019.10.19 |
---|---|
황순원 시인 / 가두로 울며 헤매는 자여 외 2편 (0) | 2019.10.18 |
오장환 시인 / 영원한 귀향 외 3편 (0) | 2019.10.18 |
심훈 시인 / 광란(狂亂)의 꿈 외 3편 (0) | 2019.10.17 |
오장환 시인 / 어머니 서울에 오시다 외 4편 (0) | 2019.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