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환 시인 / 국경의 밤
제 1 부
1
`아하 무사히 건넜을까, 이 한밤에 남편은 두만강을 탈없이 건넜을까?
저리 국경 강안(江岸)을 경비하는 외투 쓴 검은 순사가 왔다― 갔다― 오르명내리명 분주히 하는데 발각도 안 되고 무사히 건넜을까?'
소금실이 밀수출 마차를 띄워 놓고 밤새가며 속 태우는 젊은 아낙네 물레 젓는 손도 맥이 풀어져 파! 하고 붙는 어유(魚油) 등잔만 바라본다, 북국의 겨울밤은 차차 깊어 가는데.
2
어디서 불시에 땅 밑으로 울려 나오는 듯 `어―이' 하는 날카로운 소리 들린다. 저 서쪽으로 무엇이 오는 군호라고 촌민들이 넋을 잃고 우두두 떨 적에 처녀(妻女)만은 잡히우는 남편의 소리라고 가슴을 뜯으며 긴 한숨을 쉰다― 눈보라에 늦게 내리는 영림창 산림(山林)실이 화부(花夫)떼 소리언만.
3
마지막 가는 병자의 부르짖음 같은 애처러운 바람소리에 싸이어 어디서 `땅' 하는 소리 밤하늘을 짼다. 뒤대어 요란한 발자취 소리에 백성들은 또 무슨 변이 났다고 실색하여 숨죽일 때, 이 처녀(妻女)만은 강도 채 못 건넌 채 얻어맞은 사내 일이라고 문비탈을 쓸어안고 흑흑 느껴가며 운다― 겨울에도 한 삼동, 별빛에 따라 고기잡이 얼음장 긋는 소리언만,
4
불이 보인다 새빨간 불빛이 저리 강 건너 대안(對岸) 벌에서는 순경들의 파수막(把守幕)에서 옥서(玉黍)장 태우는 빨―간 불빛이 보인다. 까―맣게 타오르는 모닥불 속에 호주(胡酒)에 취한 순경들이 월월월 이태백을 부르면서.
5
아하, 밤이 점점 어두워 간다, 국경의 밤이 저 혼자 시름없이 어두워 간다. 함박눈조차 다 내뿜은 맑은 하늘엔 별 두어 개 파래져 어미 잃은 소녀의 눈동자같이 감박거리고 눈보라 심한 강 벌에는 외가지 백양이 혼자 서서 바람을 걷어 안고 춤을 춘다, 가지 부러지는 소리조차 이 처녀(妻女)의 마음을 핫! 핫! 놀래 놓으면서―.
6
전선이 운다, 잉―잉― 하고 국교(國交)하러 가는 전신줄이 몹시도 운다. 집도 백양도 산곡도 외양간 `당나귀'도 따라서 운다, 이렇게 춥길래 오늘따라 간도 이사꾼도 별로 없지. 얼음장 깔린 강바닥을 바가지 달아 매고 건너는 밤마다 밤마다 외로이 건너는 함경도 이사꾼도 별로 없지 얼음장 갈린 강바닥을 바가지 달아 매고 건너는 함경도 이사꾼도 별로 안 보이지, 회령서는 벌써 마지막 차 고동이 텄는데.
7
봄이 와도 꽃 한 폭 필 줄 모르는 강 건너 산천으로서는 바람에 눈보라가 쏠려서 강 한판에 진시왕릉 같은 무덤을 쌓아 놓고는 이내 안압지를 파고 달아난다, 하늘 땅 모두 회명(晦瞑)한 속에 백금 같은 달빛만이 백설로 오백 리, 월광으로 삼천 리, 두만강의 겨울밤은 춥고도 고요하더라.
8
그날 저녁 으스러한 때이었다 어디서 왔다는지 초조한 청년 하나 갑자기 이 마을에 나타나 오르명내리명 구슬픈 노래를 부르면서― `달빛에 잠자는 두만강이여! 눈보라에 깔려 우는 옛날의 거리여, 나는 살아서 네 품에 다시 안길 줄 몰랐다, 아하, 그리운 옛날의 거리여!' 애처로운 그 소리 밤하늘에 울려 청상과부의 하소연같이 슬프게 들렸다.
국경의 밤, 한성도서, 1924
|
'◇ 시인과 시(근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소월 시인 / 가는길 외 4편 (0) | 2019.07.17 |
---|---|
백석 시인 / 넘언집 범 같은 노큰마니 외 4편 (0) | 2019.07.16 |
김광균 시인 / 성호부근 외 1편 (0) | 2019.07.16 |
백석 시인 / 광원(曠原) 외 2편 (0) | 2019.07.15 |
신석정 시인 / 나의 꿈을 엿보시겠읍니까? 외 2편 (0) | 2019.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