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시인과 시(근대)

조지훈 시인 / 흙과 바람 외 4편

by 파스칼바이런 2019. 8. 19.

조지훈 시인 / 흙과 바람

 

 

흙으로 빚어졌음 마침내 흙으로 돌아가리

바람으로 불어넣었음 마침내

바람으로 돌아가리

멀디 먼 햇살의 바람사이

햇살속 바람으로 나부끼는 흙의 티끌

홀로서 무한영원

별이되어 탈지라도

말하리

말할 수 있으리

다만 너

살아 생전

살의살 뼈의 뼈로 영혼 깊이 보듬어

후회없이

후회없이

사랑했었노라고

 

 


 

 

조지훈 시인 / 풀잎 단장(斷章)

 

 

무너진 성터 아래 오랜 세월을 풍설(風雪)에 깎여 온 바위가 있다.

아득히 손짓하며 구름이 떠 가는 언덕에 말없이 올라서서

한 줄기 바람에 조찰히 씻기우는 풀잎을 바라보며

나의 몸가짐도 또한 실오리 같은 바람결에 흔들리노라.

아 우리들 태초의 생명의 아름다운 분신으로 여기 태어나,

고달픈 얼굴을 마주 대고 나직이 웃으며 얘기하노니

때의 흐름이 조용히 물결치는 곳에 그윽이 피어오르는 한떨기 영혼이여.

 

 


 

 

조지훈 시인 / 완화삼(玩花衫)

- 목월(木月)에게

 

 

차운산 바위 위에 하늘은 멀어

산새가 구슬피 울음 운다.

 

구름 흘러가는

물길은 칠백 리(七百里)

 

나그네 긴 소매 꽃잎에 젖어

술 익는 강마을의 저녁 노을이여.

 

이 밤 자면 저 마을에

꽃은 지리라.

 

다정하고 한 많음도 병인 양하여

달빛 아래 고요히 흔들리며목어(木魚)를 두드리

 

 


 

 

조지훈 시인 / 사모

 

 

사랑을 다해 사랑하였노라고

정작 할 말이 남아있음을 알았을때

당신은 이미 남의 사람이 되어 있었다

 

불러야 할 뜨거운 노래를가슴으로 죽이며

당신은 멀리로 잃어지고 있었다.

하마 곱스런 웃음이 사라지기 전

두고 두고 아름다운 여인으로 잊어 달라지만

남자에게서 여자란 기쁨 아니면 슬픔

 

다섯 손가락 끝을 잘리 핏물 오선을 그려

혼자라도 외롭지 않을 밤에 울어보리라

울어서 멍든 눈흘김으로

미워서 미워지도록 사랑하리라

 

한 잔은 떠나버린 너를 위하여

또 한 잔은 너와의 영원한 사랑을 위하여

그리고 또 한 잔은 이미 초라해진 나를 위하여

마지막 한잔은 미리 알고 정하신 하나님을

위하여

 

 


 

 

조지훈 시인 / 빛을 찾아가는 길

 

 

돌부리 가시밭에 다친 발길이

아물어 꽃잎에 스치는 날은

푸나무에 열리는 과일을 따며

춤과 노래도 가꾸어보자

 

빛을 찾아가는 길의 나의 노래는

슬픈 구름 걷어가는 바람이 되라

 

 


 

조지훈(趙芝薰) 시인 / 1920∼1968

본명은 동탁(東卓). 지훈은 호. 경북 영양에서 출생. 엄격한 가풍 속에서 조부로부터 한문을 배우고, 독학으로 검정 고시에 합격한 후 혜화 전문 학교 문과를 졸업하였다. 오대산 월정사의 불교 전문 강원의 강사를 지냈으며, 광복 후 조선 문화 건설 협회 회원 및 명륜 전문 강사를 거쳐 사망 때까지 고려대 교수로 재직하였다. 1939년에 <문장>지에 [고풍 의상] [승무] [봉황수]등이 추천되어 문단에 데뷔하였다.

1946년에 동기생인 박목월, 박두진과 함께 <청록집>을 간행하여 이후 <청록파> 시인으로 불리게 되었다. 그의 초기 시는 민족적 정서와 자연 등을 소재로 삼았고, 후기에는 현실과 역사에 대한 관심을 나타냈다. 1957년 아시아 자유 문학상을 수상하였고, 1962년 고려대 민족 문화 연구소 소장에 취임하여 <한국 문화사 대계>를 기획, <한국 문화사 시설> <신라 가요 연구 논고> <한국 민족 운동사>등의 논조를 남겼으나, 그 완성을 보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다. 시집으로 <풀잎 단장> <조지훈 시선> <역사 앞에서>등과 수필, 평론집으로 <창에 기대어> <시와 인생> <돌의 미학>, 역서로 <채담>이 있다. 서울 남산에 조지훈 시비가 건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