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시인과 시(근대)

임화 시인 / 현해탄 외 1편

by 파스칼바이런 2019. 9. 4.

임화 시인 / 현해탄

 

 

이 바다 물결은

예부터 높다.

 

그렇지만 우리 청년들은

두려움보다 용기가 앞섰다,

산불이

어린 사슴들을

거친 들로 내몰은 게다.

 

대마도를 지나면

한 가닥 수평선 밖엔 티끌 한점 안 보인다.

이곳에 태평양 바다 거센 물결과

남진해 온 대륙의 북풍이 마주친다.

 

몽블랑보다 더 높은 파도,

비와 바람과 안개와 구름과 번개와,

아세아의 하늘엔 별빛마저 흐리고,

가끔 반도엔 붉은 신호등이 내어걸린다.

 

아무러기로 청년들이

평안이나 행복을 구하여,

이 바다 험한 물결 위에 올랐겠는가?

 

첫번 항로에 담배를 배우고,

둘째번 항로에 연애를 배우고,

그 다음 항로에 돈맛을 익힌 것은,

하나도 우리 청년이 아니었다.

 

청년들은 늘

희망을 안고 건너가,

결의를 가지고 돌아왔다.

그들은 느티나무 아래 전설과,

그윽한 시골 냇가 자장가 속에,

장다리 오르듯 자라났다.

 

그러나 인제

낯선 물과 바람과 빗발에

흰 얼굴은 찌들고,

무거운 임무는

곧은 잔등을 농군처럼 굽혔다.

 

나는 이 바다 위

꽃잎처럼 흩어진

몇 사람의 가여운 이름을 안다.

 

어떤 사람은 건너간 채 돌아오지 않았다.

어떤 사람은 돌아오자 죽어갔다.

어떤 사람은 영영 생사도 모른다.

어떤 사람은 아픈 패배에 울었다.

― 그 중엔 희망과 결의와 자랑을 욕되게도 내어 판 이가 있다면, 나는 그것을 지금 기억코 싶지는 않다.

 

오로지

바다보다도 모진

대륙의 삭풍 가운데

한결같이 사내다웁던

모든 청년들의 명예와 더불어

이 바다를 노래하고 싶다.

 

비록 청춘의 즐거움과 희망을

모두 다 땅속 깊이 파묻는

비통한 매장의 날일지라도,

한번 현해탄은 청년들의 눈앞에,

검은 상장(喪帳)을 내린 일은 없었다.

 

오늘도 또한 나젊은 청년들은

부지런한 아이들처럼

끊임없이 이 바다를 건너가고, 돌아오고,

내일도 또한

현해탄은 청년들의 해협이리라.

 

영원히 현해탄은 우리들의 해협이다.

 

삼등 선실 밑 깊은 속

찌든 침상에도 어머니들 눈물이 배었고,

흐린 불빛에도 아버지들 한숨이 어리었다.

어버이를 잃은 어린 아이들의

아프고 쓰린 울음에

대체 어떤 죄가 있었는가?

나는 울음소리를 무찌른

외방 말을 역력히 기억하고 있다.

 

오오! 현해탄은, 현해탄은,

우리들의 운명과 더불어

영구히 잊을 수 없는 바다이다.

 

청년들아!

그대들의 조약돌보다 가볍게

현해(玄海)의 물결을 걷어찼다.

그러나 관문해협 저쪽

이른 봄 바람은

과연 반도의 북풍보다 따사로웠는가?

정다운 부산 부두 위

대륙의 물결은

정녕 현해탄보다도 얕았는가?

 

오오! 어느 날

먼먼 앞의 어느 날,

우리들의 괴로운 역사와 더불어

그대들의 불행한 생애와 숨은 이름이

커다랗게 기록될 것을 나는 안다.

1890년대의

1920년대의

1930년대의

1940년대의

19××년대

........

모든 것이 과거로 돌아간

페허의 거칠고 큰 비석 위

새벽 별이 그대들의 이름을 비출 때,

현해탄의 물결은

우리들이 어려서

고기떼를 좇던 실내[川]처럼

그대들의 일생을

아름다운 전설 가운데 속삭이리라.

 

그러나 우리는 아직도

이 바다 높은 물결 위에 있다.

 

- 출전: <시집 『현해탄』, 1938년)

 

 


 

 

임화 시인 / 깃발을 내리자

 

 

노름꾼과 강도를

잡던 손이

위대한 혁명가의

소매를 쥐려는

욕된 하늘에

무슨 깃발이

날리고 있느냐

 

동포여!

일제히

깃발의 내리자

 

가난한 동포의

주머니를 노리는

외국 상관(商館)의

늙은 종들이

광목과 통조림의

밀매를 의논하는

폐 왕궁의

상표를 위하여

우리의 머리 위에

국기를 날릴

필요가 없다

 

동포여

일제히

깃발을 내리자

 

살인의 자유와

약탈의 신성이

주야로 방송되는

남부조선

더러운 하늘에

무슨 깃발이

날리고 있느냐

 

동포여

일제히

깃발을 내리자

 

 


 

임화 시인 / (1908∼1953) 약력

본명 인식(仁植). 서울에서 태어나 보성중학을 중퇴했으며, 1926년 성아(星兒)라는 필명으로 습작품을 발표했다. 1927년 <조선지광>에 '화가의 시'로 등단. 1929년에 「네거리의 순이」「우리 오빠와 화로」 등의 단편 서사시를 발표하였다. 1930년대 중반 사회 정세가 악화되면서 낭만적 경향의 시를 썼으며,

대표적 마르크스주의 문학비평가로 활약했다. 해방 직후 조선문학가동맹의 결성을 주도했으며, 1947년 월북후 미제의 간첩이라는 죄명으로 1953년 사형을 당했다. 시집으로 『현해탄』(1938)과 『찬가』(1947) 평론 집 <문학의 논리>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