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규동 시인 / 바다의 기록(記錄)
□ 파도(波濤) 소리
비끼인 구름 사이에서도 벌들이 속삭이는 한밤.
빈대와 모기와 바람 한점 들 리 없는 서울의 더위에 견디던 몸이 깊은 밤 파도 소리에 잠을 이루지 못한다.
네살 짜리가 '아버지, 기차가 이렇게 쿵쿵거려서 어떻게 내려!' 천막밑까지 와서 철석거리는 파도 소리를 아직도 대천행(大川行) 기차(汽車) 속인 줄 알고 이런 잠꼬대를 하는 바다의 첫날밤이었다…….
□ 저녁 바다
해는 천막(天幕) 등뒤에서 떠올랐다가 수평선(水平線)에 진다.
붉은 석양 노을에 물드는 바다의 잔등 우물 쭈물 하다가는 저녁밥이 늦는다.
바람이 거세어 담배 불을 붙이지 못하는 언덕―
때마침 어두움이 내려온 바닷가를 양키부부(夫婦)가 아득한 추억(追憶) 속에서처럼 말없이 걷는다.
□ 아침의 풍속(風俗)
아침 여섯시만 되면 시골 아주머님들이 삼십리 길을 걸어 충청도(忠淸道) 사투리와 함께 김치와 조개를 팔러 온다.
물이 나간 사장은 아침의 운동객(運動客)을 즐겁게 하는 '그라운드' 경쾌(輕快)한 걸음걸이로 나타나는 버스 회사(會社) 사장(社長)의 골프가 멋진 격식(格式)을 갖춘다.
차츰 선명해지는 바다 저쪽의 조고만 섬들. 하늘은 쾌청(快晴)―남서풍(南西風)이 불고, 해안(海岸)에 모여 앉은 천막촌(天幕村)이 깃발처럼 퍼덕거린다.
□ 바다의 마음
바다에서는 누구나 다 조금씩 흥분(興奮)해 있는가 보다. 나이 먹은 아주머니들도 여학생(女學生)들처럼 수다스러웁다.
파도를 안고 뛰어들었다가 파도에 밀려 쫓겨 나오는 여인(女人)들의 웃음 소리
문득 잃어버렸던 청춘(靑春)이 복바쳐 올라 그 아무라도 붙잡고 소리쳐 외치고 싶은 마음의 충동(衝動)을 이기지 못한다.
□ 조개껍질 이야기
조개 가루 하얗게 비낀 모래불, 조수(潮水)가 밀려나간 아침과 저녁 분홍빛, 남빛, 초록빛 '러브레타'처럼 화려한 드레스를 입은 소녀(少女)들이 바다의 패물인 구멍 뚫린 조개껍질을 줍는다.
집에 돌아가면 엄마와 동생 또는 마음속의 귀한 사람에게 바다의 선물을 뵈여 주리라.
차츰 잔잔해지는 바다 물결 갑자기 구리빛 바위들이 푸른 요를 뚫고 머리를 치켜 든다.
오전(午前) 십일시(十一時) 젖가슴처럼 부풀어 오른 '비―취파라솔'이 점점(點點)히 늘어 앉았다.
□ 서정해안(抒情海岸)
시원한 해풍(海風), 푸른 바다가 하도 신기하여 아침 저녁 짠물에 세수하고 머리를 감는다.
온화(溫和)한 날씨 쨍쨍한 햇빛에 피부가 익어가고, 잠을 청하지 않아도 저절로 잠이 들어 버리는 바다의 일과(日課)들
이 바다를 찾아 오는 수많은 해수욕객(海水浴客)들 모양 떠들기 위함이 아니었거니 둥근 수평선(水平線)을 향하여 예민(銳敏)한 소년(少年)처럼 하얀 편지를 쓰는 것이다.
밤마다 쳐다 보는 총총한 별빛―아 내가 언제 저런 별을 사랑했던 것일까.
넓은 하늘에 뿌려진 보석(寶石)의 아름다운 빛을 쳐다 보며 새삼스러이 내가 걸어 온 가느다란 반생을 생각해 볼 때 회한(悔恨)과 쓰라림의 무성한 잡초(雜草)뿐― 너무나 초조하고 안타까운 생애의 추억 때문에 초생달이 어둑 침침한 밤 바닷가에 앉아 나부끼는 외로움을 견딘다.
현대의 신화, 위성문화사, 1958
김규동 시인 / 밤의 신화(神話)
북소리. 나팔소리. 다채로운 행진곡이 울려 오는 소리에 잠을 깬 나는 눈을 비비며 밖으로 나갔다.
텅빈 대낮의 거리를 요란하게 울리며 오는 것은 북을 치며 걸어오는 코끼리와 그 옆에 서서 피리와 나팔을 부는 광대들이었다.
코끼리가 어떻게 저런 음악을 연주하나? 나는 창피한 줄 모르고 아이들처럼 서서 당당히 행진해 오는 코끼리를 구경하였다.
내가 입가에 미소를 띄우자 어진 코끼리의 둥그런 눈이 껌벅거리며 웃음을 감추지 못하면서 더욱 신이 나서 또 다른 악기에 떡떡 장단이 들어 맞게 북을 쳐대었다.
이 거창한 행진의 뒤를 따르는 것은 아이들뿐― 아이들은 바지가 흘러내린 것도 모르고 어른의 걸음걸이로 또 달달거리면서 행진의 뒤를 따랐다. 코를 훌적거리는 아이들의 얼굴에는 숨가쁨과 무한한 호기심이 빗기었다.
검은 가로수와 초연 냄새―
나는 어찌된 영문인지를 몰라서 오늘이 무슨 날인가 곰곰히 생각해 보았으나 아무 생각도 나지 않았다.
가족도 동료도 다 어디론가 사라져 버리고 나만 혼자 이 거리에 나와 선 지금― 그러면 가족은 어찌된 것일까? 사랑하는 아들아! 너는 어디에 있느냐? 네가 좋아하는 코끼리가 나팔을 불면서 오고 있구나!
나는 비로소 오늘이 무슨 날인가를 알게 되었다. 그렇다. 전쟁이 지금 바로 끝난게로나. 지금까지 나는 잠을 자고 있었나보다. 그러면 나의 혈육들은 어찌 되었을까. 그 수많은 자동차와 사람과 세기의 문명은 어찌된 것일까.
그러자 이해 못한 행진의 배경이라도 장식하는듯 코끼리의 음악대가 걸어오던 저쪽 서편 하늘가에서 푸른 광선이 공중에 번쩍거렸다. 그것은 마지막으로 폭발하는 인간의 무기라 하였다. 그것은 바로 전쟁의 종언을 고하는 신호등이란 것을 순간 나는 깨달았다.
코끼리의 악대가 지나가자 나는 어디로 가야할지를 몰랐다. 남루한 옷을 입은 아이들은 줄곧 코끼리와 광대를 따라 뜨거운 아스팔트 위를 쉬지도 않고 따라가고 있었는데…….
현대의 신화, 위성문화사, 1958
김규동 시인 / BOILER사건(事件)의 진상(眞狀)
어둠과 BOILER― 뭇 물체(物體)의 형상(形象)을 헤아릴 길 없었음은 암흑(暗黑)했다는 까닭 이외(以外)엔 아무것도 없었을 것이다.
사람과 사람들과 인간(人間)과 인간(人間)들 속에서 시인(詩人)은 침전(沈澱)으로 굳어간 육체(肉體)를 BOILER의 어느 경사면(傾斜面)에 누이고 성좌(星座)와의 회화(會話)를 최후(最後)로 사랑하였다.
높아가는 고압전선(高壓電線)의 울음소리는 안개 어린 밤의 묘지(墓地)의 인광(燐光)처럼 배주(背柱)에 스며들고, 굶주려 넘어지는 생명(生命)들과 수없는 임종(臨終)의 눈 나리는 새벽. 향락(享樂)의 극치(極致)와 극치(極致)의 마찰(摩擦)에서 일어나는 뿌연 암모니아의 빛깔. 폐문(肺門)이 부은 바다와 하늘과 해쓱해진 산천(山川)과 태양(太陽). 그리고 다가오는 25시(時). 광선(光線)! '모든 운명(運命)의 전말(顚末)을 똑똑히 보라' 기관장(機關長)의 비명(悲鳴)과 그에 따르는 기관사(機關士)들의 아우성.
폭발(爆發)! 아―크등(燈)의 밝음 속에 시인(詩人)은 예감(豫感)을 육안(肉眼)으로 체험(體驗)했다. BOILER엔 오! BOILER엔 모세혈관(毛細血管) 같은 무수한 절망(絶望)의 선(線)이 서려 있었던 것을―
죽음과 시체(屍體)의 시체(屍體)들의 시체(屍體)속에 시인(詩人)은 끄슬은 머리와 떨어진 팔다리의 상처(傷處) 그대로를 지니고 쓰러졌을 뿐,
태양(太陽)의 음악(音樂)과 바다의 광선(光線) 오! 새로운 바다의 광선(光線)과 태양(太陽)의 음악(音樂)만이 또다시 흐르기 시작(始作)한다.
'아무런 일도 없었다.'
나비와 광장, 산호장, 1955
|
'◇ 시인과 시(근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춘수 시인 / 갈대 외 2편 (0) | 2019.09.15 |
---|---|
김기림 시인 / 감상풍경(感傷風景) 외 2편 (0) | 2019.09.14 |
김춘수 시인 / 처용단장(處容斷章) 외 3편 (0) | 2019.09.14 |
김기림 시인 / 가거라 새로운 생활로 외 2편 (0) | 2019.09.13 |
김규동 시인 / 두만강 외 3편 (0) | 2019.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