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시인과 시(근대)

오상순 시인 / 해바라기 외 1편

by 파스칼바이런 2020. 2. 18.

오상순 시인 / 해바라기

 

 

해바라기!

 

너는 무삼 억겁(億劫)의 어둠에 시달린 족속(族屬)의 정령(精靈)이기에

빛과 열(熱)과 생명(生命)의 원천(源泉)! 또 그 모체(母體) 태양(太陽)이 얼마나 그리웁고 핏줄기 땡기었으면

너 자신(自身) 이글이글 빛나는 화려(華麗)한 태양(太陽)의 모습을 닮아

그 뉘 알 길 없는 영겁(永劫)의 원풀이를 위함인가

저 모양 색신(色身)을 쓰고 나타났으리……

 

태양(太陽)이 꺼진 밤이면 청상(靑孀)스럽게도

목고개를 힘없이 떨어뜨리고

몽마(夢魔)처럼 그 속모를 침울(沈鬱)한 향수(鄕愁)에 사로잡혀

죽은 듯 무색(無色)하다가도

 

저 멀리 먼동이 트기 시작하면

미몽(迷夢)에서 깨어나듯 기적(奇蹟) 같이 생동(生動)하여

홀연(忽然)! 활기(活氣) 띠우고 찬란히 빛나며

 

태양(太陽)이 가는 방향(方向)의 뒤를 곧장 따라

고개 틀어 돌아가기에 바쁘면서도

얼굴은 노상 다소곳이 숙으려 수집은 요조(窈窕)인 양

한(限)없이 솟아오르는 그리움과 반가움의 심정(心情) 주체 못하는고녀!

 

오! 너는 무삼 뜻 있어

인간(人間)의 생리(生理)와 표정(表情)과 꼭같은

그 속모르게 수집고 은근하고 향기롭고 화려(華麗)하고

아아 황홀(恍惚)한 미소(微笑)! 넘쳐 흐르도록 발산(發散)하여

영원(永遠)히 불타는 태양(太陽)의 입맞춤과

포옹(抱擁)을 사뭇 유혹(誘惑)하고 강요(强要)하는 것이뇨

 

빛과 사랑과 생명(生命)에 주린 넋! 불붙는 정열(情熱)을 다하여

태양(太陽)을 겨누어 속에서 복받쳐 샘솟고 해일(海溢)처럼 부풀어 오르는

사랑의 겁화(劫火) 다 쏟아 연소(燃燒)해 버리는

신(神)과도 같은 사랑과 정열(情熱)과 창조의욕(創造意慾)의 결정체(結晶體)!

너 해바라기의 비장(悲壯)한 운명(運命)의 미(美)여!

 

이윽고

거룩한 태양(太陽)의 씨앗을 받아

부풀어 터지도록 가슴에 품어 안고

한 찰나(刹那) 한 순간(瞬間)인 듯 짧고 긴 세월(歲月)의

화려(華麗)하고 찬란(燦爛)하던 그 화판(花瓣)도 이파리도

하나 둘 시들어 땅에 떨어지면

태양(太陽)의 분신(分身)인양 그 호사(豪奢)스럽던 빛깔도 열(熱)도 어느덧 사라져

태고(太古) 설화(說話)의 옛일인 듯 그 자취 찾을 길 없고

여위고 뼈마른 어느 거인(巨人)의 짝지 모양

불붙어 다한 정열(情熱)의 잔재(殘滓) ― 그 상징적(象徵的) 결정체(結晶體)

너 영원(永遠)히 비밀(秘密)한 생명(生命)의 역사(歷史)를 새긴 기념비(記念碑)!

올연(兀然)히 창공(蒼空)을 꿰뚫어 버티고

 

이제 나의 지극(至極)한 염원(念願)과 목적(目的)을 달성(達成)했다는 듯

나의 일은 이미 끝났다는 듯

애낌 없고 남김 없이 자족(自足)하여

대오(大悟) 철저(徹底)한 고승(高僧)의 그것과도 같이

뽀얗게 서리 앉은 머리 경건(敬虔)히 숙여

엄연(嚴然)하고 고고(孤高)하고 태연(泰然)한 너 해바라기의

줄기찬 자세(姿勢)여!

 

오! 불보다 태양(太陽)보다 빛보다 어둠보다

생명(生命)보다도 또 죽음보다도

더 두렵고 심각(深刻)한 너 해바라기의

속 모를 사랑의 연원(淵源)이여!

불멸(不滅)의 정열(情熱)이여!

 

오! 해바라기

너 정녕

태초(太初) 생명(生命)과 그 사랑을 더불어

영원(永遠) 상념(想念)의 원천(源泉)인 절대(絶對) 신비(神秘)한 대자연(大自然)!

생명(生命)의 핵심(核心)! 그 권화(權化)요 화신(化身)이 아니런가!

 

공초오상순시선(空超吳相淳詩選), 자유문화사, 1963

 

 


 

 

오상순 시인 / 허무혼(虛無魂)의 선언(宣言)

 

 

물아

쉬임 없이 끝없이 흘러가는

물아

너는 무슨 뜻이 있어

그와 같이 흐르는가

이상스레 나의

애를 태운다

끝 모르는 지경(地境)으로 나의 혼(魂)을

꾀어 간다

나의 사상(思想)의 무애(無碍)와 감정(感情)의 자유(自由)는

실로 네가 낳아준 선물이다

오―그러나 너는

갑갑다

너무도 갑갑해서 못 견디겠다.

 

구름아

하늘에 헤매이는

구름아

허공(虛空)에 떠서 흘러가는

구름아

형형(形形)으로 색색(色色)으로

나타났다가는 슬어지고

슬어졌다가는 나타나고

슬어지는 것이 너의 미(美)요―생명(生命)이요

멸(滅)하는 순간(瞬間)이 너의 향락(享樂)이다

오―나도 너와 같이 죽고 싶다

나는 애타는 가슴을 안고 얼마나 울었던고

슬어져가는 너의 뒤를 따라……

오―너는 영원(永遠)의 방랑자(放浪者)

설움 많은 `배가본드'

천성(天性)의 거룩한 `데카당'

오―나는 얼마나 너를 안고

몸부림치며 울었더냐

오―그러나 너는

너무도 외롭고 애닯다

그리고 너무도

반복(反覆)이 무상(無常)타.

 

흙아

말도 없이 묵묵(黙黙)히 누워 있는

흙아 대지(大地)야

너는 순하고 따뜻하고

향기(香氣)롭고 고요하고 후중(厚重)하다

가지가지의 물상(物相)을 낳고

일체(一切)를 용납(容納)하고

일체(一切)를 먹어 버린다

소리도 아니내고 말도 없이……

오―나의 혼(魂)은 얼마나

너를 우리`어머니'라 불렀던가

나의 혼(魂)은 살찌고 기름지고

따뜻한 너의 유방(乳房)에

매어 달리고자

애련(哀憐)케도 너의 품 속에

안기려고 애를 썼던고

어린 애기 모양으로……

그러나 흙아 대지(大地)야

이 이단(異端)의 혼(魂)의 아들을 안아주기에

너는 너무도 갑갑하고 답답하고

감각(感覺)이 둔(鈍)하지 아니한가.

 

바다야

깊고 아득하고 끝없고

위대(偉大)와 장엄(莊嚴)과 유구(悠久)와 원시성(原始性)의 상징(象徵)인

바다야

너는 얼마나

한(限)없는 보이지 아니하는 나라로

나의 혼(魂)을 손짓하여 꾀이며

취(醉)케 하고 미치게 하였던가

오―그러나

너에게도 밑이 있다

밑바닥에 지탱되어 있는

너도 드디어

나의 혼(魂)의 벗은 될 수 없다

 

별아

오―미(美)의 극(極)

경이(驚異)와 장엄(莊嚴)의 비궁(秘宮)

깊은 계시(啓示)와 신비(神秘)의 심연(深淵)인

별의 바다야

오―너는 얼마나 깊이

나의 혼(魂)을 움직이며 정화(淨化)하며

상(傷)해 메어지려 하는 나의 가슴을

어루만져 주었던가

너는 진실로 나의 연인(戀人)이다

애(愛)와 미(美)와 진(眞) 그것이다

그러나

별아 별의 무리야

나는 싫다

항상 변함 없는 같은 궤도(軌道)를 돌아다니며 있는

아무리 많다 하여도 한(限)이 있을 너에게 염증(厭症)이 났다.

 

사람아

인간(人間)아

너는 과시(果是) 지상(地上)의 꽃이다 별이다

우주(宇宙)의 광영(光榮)―그 자랑이요

생명(生命)의 결정(結晶)―그 초점(焦點)이겠다

그리고 너는 정녕 위대(偉大)하다

하늘에까지 닿을

`바벨'의 탑(塔)을 꿈꾸며 실로 싸우며 있다

절대(絶對)의 완성(完成)과 원만(圓滿)과 행복(幸福)을 끊임없이 꿈꾸며

쉬임없이 동경(憧憬)하고 추구(追求)하는

인자(人子)들아

너희들은

자연(自然)을 정복(征服)하고 신(神)들을 암살(暗殺)하였다 한다

정녕 그러하다

오―그러나

준엄(峻嚴)하고 이대(異大)한 파멸(破滅)의 `스핑스'

너를 확착(攫捉)할 때

너의

검은 땅도

붉은 피도

일체(一切)의 역사(役事)도

끔찍한 자랑도

그 다 무엇인가……

 

세계(世界)의 창조자(創造者) 된 신(神)아

우주자체(宇宙自體) 일체(一切) 그것인 불(佛)아

전지(全智)와 전능(全能)은

너희들의 자만(自慢)이다

그러나

너희도 `무엇'이란 것이다

적어도 `신(神)'이요 `불(佛)'이다

그만큼 너희도 또한

우상(偶像)이요 독단(獨斷)이요 전제(專制)다

그러나 오 그러나

일체(一切)가 다 소용이 없다

그러므로 나는 참(斬)하는 것이다

너희들까지도

허무(虛無)의 검(劍) 가지고

허무(虛無)의 칼!

오!

허무(虛無)의 칼!

 

불꽃아

오―무섭고 거룩한

불꽃아

다 태워라

물도 구름도

흙도 바다도

별도 인간(人間)도

신(神)도 불(佛)도 또 그 밖에

온갖 것을 통털어

오―그리고

우주(宇宙)에 충만(充滿)하여 넘치라.

 

바람아

오―폭풍(暴風)아 흑풍(黑風)아

그 불꽃을

불어 날려라

쓸어 헤치라

몰아 무찔러라

오―위대(偉大)한 폭풍(暴風)아

세계(世界)에 충일(充溢)한 그 불꽃을

오―그리고

한(限)없고 끝없는

허공(虛空)에 춤추어 미쳐라.

 

허무(虛無)야

오―허무(虛無)야

불꽃을 끄고

바람을 죽이라!

그리고 허무(虛無)야

너는 너 자체(自體)를

깨틀어 죽여라!

 

공초오상순시선(空超吳相淳詩選), 자유문화사, 1963

 

 


 

오상순 [吳相淳, 1894.8.9 ~ 1963.6.3] 시인

1894년 서울에서 출생. 호는 공초(空超). .1906년 경신 학교(儆新學校) 졸업. 1918년 도시샤(同志社) 대학 종교철학과 졸업. 1920년 김억(金億), 남궁벽(南宮壁), 염상섭(廉想涉), 변영로(卞榮魯), 황석우(黃錫禹) 등과 함께 《폐허》의 동인으로 그 창간호에 〈시대고와 희생〉이라는 글을 발표하며 작품활동 시작. 1924년 보성 고등 보통 학교의 교사를 거쳐 1930년 불교 중앙 학림(동국 대학교의 전신) 교수 역임. 1954년 예술원 종신회원. 1959년 예술원상, 1962년 서울특별시문화상과 대통령상 등을 수상. 1963년 지병으로 사망. 주요작품으로 「한잔술」, 「첫날밤」, 「방랑의 마음」, 「허무혼의 선언」, 「폐허의 낙엽」 등이 다수 있음. 저서로는 死後 발간된  《오상순 시선》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