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시인과 시(근대)

이육사 시인 / 산 외 1편

by 파스칼바이런 2020. 4. 26.

이육사 시인 / 산

 

 

바다가 수건을 날여 부르고

난 단숨에 뛰여 달여서 왔겠죠

천금(千金)같이 무거운 엄마의 사랑을

헛된 항도(航圖)에 역겨 보낸날

 

그래도 어진 태양(太陽)과 밤이면 뭇별들이

발아래 깃드려 오고

 

그나마 나라나라를 흘러 다니는

뱃사람들 부르는 망향가(望鄕歌)

 

그야 창자를 끊으면 무얼하겠오

 

 


 

 

이육사 시인 / 잃어진 고향

 

 

제비야

너도 고향(故鄕)이 있느냐

그래도 강남(江南)을 간다니

저노픈 재우에 힌 구름 한쪼각

 

제깃에 무드면

두날개가 촉촉이 젓겠구나

 

가다가 푸른숲우를 지나거든

홧홧한 네 가슴을 식혀나가렴

 

불행(不幸)이 사막(沙漠)에 떠러져 타죽어도

아이서려야 않겠지

 

그야 한떼 나라도 홀로 높고 빨라

어느 때나 외로운 넋이였거니

 

그곳에 푸른하늘이 열리면

엇저면 네새고장도 될법하이.

 

 


 

이육사[李陸史, 1904.4.4~1944.1.16] 시인

본명은 이원록(李源祿). 다른 이름으로는 이활(李活), 이원삼(李源三), 육사(肉瀉), 이육사(李戮史), 이육사(二六四). 경북 안동에서 출생. 부친은 퇴계 이황의 13대손(이가호)이며 모친은 의병장 허형의 딸(허길). 유년기에 조부(祖父)에게서 소학을 배우고 도산공립보통학교 졸업 후 16세 무렵 대구로 이사. 1921년 결혼 후 백학학원에서 수학. 1924년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의 고등예비학교에서 1년간 재학. 1925년 귀국, 대구 조양회관을 중심으로 활동하다가 항일단체에 입단. 1926년 중국 베이징으로 건너가 중국대학에 입학하였으나 이듬해 중퇴하고 귀국. 그해 장진홍 의거(조선은행 대구지점 폭파사건)에 연루되어 구속, 3년간 옥고를 치르고 출소. 1930년 중외일보 대구지국 기자로 입사, 기자활동을 하면

서 은밀히 항일활동을 펼치다가 1932년 다시 중국행. 항일활동 인사들과 접촉 후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에 입교. 귀국 후 다시 구속되었다가 석방, 문필활동을 펼치던 중 1943년 피검, 북경으로 압송되어 1944년 일본영사관 감옥에서 순국. 첫작품은「황혼」(『신조선』,1933).「절정」, 「광야」, 「청포도」, 「꽃」, 「황혼」 등의 대표시를 남겼으며, 1946년 비평가인 아우 이원조의 편집으로 유고 시집 『육사시집』 출간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