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재봉 시인 / 세상을 뒤집을 것 같은
해금이 안 된 팔십 년대 사당동 가는 4호선에서 백석과 임화를 읽고 있을 때 그가 내게로 다가왔다 북으로 간 시인들을 몰래 만났던 우리는 의기투합하여 방배동 어디께 포장마차에서 밤을 지샜다 신춘문예로 등단한 가난한 시인과 이름없는 잡지사 기자 불온하다는 이유만으로도 친구가 될 수 있었던 아직 서른 살이 안 된 우리가 술을 마셔도 취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그것을 치기라고 하지 않겠다 30년도 훨씬 넘어서 지독하게 취했던 시에서 멀어진 듯 보이지만 보리수시낭송회에서 시를 읽던 세상을 뒤집을 것 같은 그를 기억한다 대학로에서 첫 시집을 불살랐던 신성한 그의 시간을 잊지 못한다 세상은 변했다지만 나의 심연에 스물 몇 살의 패기있고 순수한 아름다운 청년이 살고 있다
ㅡ 『시와사람』(2021, 여름호)
하재봉 시인 / 뗏목
나무들이 해와 눈을 맞추는 동안 등 뒤에서는 배반의 음모가 자라고 있다.
해를 바라보는 나무들의 고개가 숙여지고 있다. 생명이 들끓는 소리로 소란스럽던 지상은 이제 수많은 나무들의 그림자가 점령한다.
나무들은 해를 따라 고개를 돌리며 일평생을 살아간다. 움직이는 것은 그들의 시선뿐이다. 몸은 자기가 태어난 땅을 절대 떠나지 못한다.
떠나고 싶은 사람은 팔과 다리를 잘라 강물 위에 던져지는 수밖에 없다.
푸른 잎과 달콤한 설탕으로 채워진 과일은 기억 속에서도 존재할 수 없다. 하나의 세계와 결별하지 않으면 새로운 세계로 떠날 수 없는 것이다.
짐승의 옷을 입고 나는, 학습받기 이전의 삶으로 돌아간다.
이것은 이것, 저것은 저것
모든 가르침은 경건하다. 이의신청을 허락하지 않는다.
(시인세계 2006년 여름호)
|
'◇ 시인과 시(현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수희 시인 / 봄을 빚는 그대에게 외 2편 (0) | 2022.01.17 |
---|---|
장이엽 시인 / 송화가루 한 무더기 날아간다 외 5편 (0) | 2022.01.17 |
한연희 시인 / 볼링을 칩시다 외 1편 (0) | 2022.01.17 |
강우식 시인 / 페테르부르크의 백야 (0) | 2022.01.16 |
최명란 시인 / 내 친구 야간 대리운전사 외 6편 (0) | 2022.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