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시인과 시(현대)

유종인 시인 / 가시와 놀다 외 4편

by 파스칼바이런 2022. 4. 19.

유종인 시인 / 가시와 놀다

 

 

봄 장미가 내민 연녹색 가시는 혀와 같아

손가락 끝이 저절로 간다

가만히 손끝이 닿자

그윽이 휠 줄 아는 가시의 봄

 

끝이 뾰족해진 가시 혀는

찌르는 연습과 핥는 연습을 번갈아 한다

 

봄날은

가시에 젤리의 입맛이 감도는 때,

부드러운 촉(燭)으로 피를 내지 않고 살짝 애무해 주는 때,

하나의 생각이 이데올로기로 굳기 전에

이리저리 곰살맞게 연애를 탐문하는 때,

 

멀리 홀로 가는 아픈 이여

그 굽어가는 등을 연녹색 가시 막대로 긁어주면 어떤가

말보다 앞서 나오는 미소는

참 보기 좋은 균열

 

푸른 피가 돌고

연한 놋색의 맘이 말랑말랑할 때

그 가시 그림자마저

숱하게 다쳐 넝마로 부는 바람을 핥느라

그 가시의 혀끝이

다시, 휜다

 

 


 

 

유종인 시인 / 돌베개

 

 

중국산 큰 낙관석(落款石)엔 해태가 종뉴(鐘뉴)처럼 솟았어도

나는 이걸 바라보는 도장으로나 곁에 두었다

 

너무 큰 도장이라서 마냥 쓸모를 모르겠어도 좋겠거니

얼룩이 박힌 옥돌이라 가만히 모로 눕혀볼 때도 재밌다

 

세로로 긴 이 놈을 가로로 눕혀놓자 짐짓 베개 같았다

때는 바야흐로 모기 눈에 핏발이 서는 여름이었다

 

그때 내 머리는 벌써 이 석물을 가만히 베고는

묵묵하고 소슬한 이 고답(高踏)을 내 뒷배로 삼았다

 

가끔 이 돌덩이를 베고 꾀꼬리 노란 울음이 날래구나

혼자 낮 잠꼬대를 하고 싶은 날도 있었다

 

겨울에는 물렀다가 여름에 찬 베개를 뒷목에 받치니

서늘해지는 기꺼움에 돌에게 고향이 어디냐 묻는 거였다

 

아득함이 고향이고 먹먹함이 그 고향 동구(洞口)라오

돌베개는 어쩌면 내 뒷통수 와 뒷목에 찍는 낙관(落款) 같았다

 

이 신선한 단단한 낙관석이 돌베개로 오지랖을 넓히듯

그대 졸은이 사랑홉다 싶을 때 내 왼팔이 팔베개로 번지는 것이다

 

 


 

 

유종인 시인 / 부추전

 

 

삼월 삼일날 부추전을 부친 건

어느 혁명의 소사(小史)에도 없는 일,

그럼에도 당신은

오후 4시와 5시 사이에

이 심심한 거사를 부쳐내서는

희고 큰 한 접시 우주에 담아 내놓는구려

 

야생의 풋것들을 대신하듯

아마 비늘의 궁전에서 모든 아랫도리가 칼을 받아 나온 것들이

이렇게 호주산 밀가루에 버무려

거뭇거뭇 탄 데도 훈장처럼 갖추고 나온 것이

오늘 하루

글이 없는 나를 은근한 사람으로 부추기는구려

 

당신과 마주 앉아 침묵이 더 자주

젓가락질로 전(煎)을 찢어내는 사이,

세상은 그만큼이나 갈라졌던 국경을 붙여

조금씩 너른 나라로 나아갈 일은 없는가

나는 부추전을 찢어 먹으며 홀로 생각하는구려

 

더 시들기 전에 어떻게든 구워낸 부추전,

더 파장(罷場)에 들기 전에

마음은 선뜻 어떤 연애의 초록을 뜨겁게 굽자고

방금 옆자리에서 내 영혼과 뺨에

불의 입술을 맞추고 간 전생이

혹 마주앉은 당신인가 하고

당신의 이마에 눈총을 줘보는구려

 

 


 

 

유종인 시인 / 불탄 집

 

 

사람은 빠져나왔어도

아직 거기

치솟는 불길에 놀란 혼(魂) 같은

제 소름에 겨워 헐떡이는 숨결,

광야로 달음박질치는 가슴을

시커먼 기둥 뒤에 등짝을 기대고 가누고 있나

 

한 집안의 내력을

활활 불태워 자서전을 써내고서야

사라지는 불안증들이 저 안에 있겠다

불꽃이 이리저리 옮겨 붙는 내력들

무너지는 기억의 서까래와 헛말처럼 내려앉는 천장,

화려한 치장의 사연을 그을려버린 벽체여

 

들고나는 발걸음을 일시에 뚝 끊고

터져버린 유리창 너머로

새벽이슬이 기웃거린 뒤 우주의

낭인(浪人) 하나가 꽃베개를 들고 들어가

한숨 잘 주무시고 가는 뒤꽁무니는 다디달다

자물쇠를 물리친 시커먼 동굴 한 마리한테

수양벚나무 하나가

겨울인데도 화사한 슬픔으로 꽃가지 넣는다

 

뭘 모르는 바람은

거기 새삼 불 냄새를 맡겠다고 들어가

코밑이 새카매져 나온다

그을음으로

콧수염을 그리고 나온 바람은

지나가는 사람을 붙들고 농담하는 버릇이 생겼다

바람 잡는다는 말이 그 농담의 시초처럼 분다

 

 


 

 

제9회 천강문학상 대상

유종인 시인 / 나비물

 

 

박수소리를 듣는다 그 수도가 박힌 마당은

수도꼭지를 틀 때마다 콸콸콸 물의 박수를 쳐준다

꾸지람을 듣고 온 날에도 그늘이 없는 박수소리에

손을 담그고 저녁별을 바라는 일은 늡늡했다

그런 천연의 박수가 담긴 대얏물에 아버지가 세수를 하면

살비듬이 뜬 그 물에 할머니가 발을 닦으셨다

발등의 저승꽃에도 물을 줘야지

그런 발 닦은 물조차 그냥 버려지지 않는다

한 번 박수를 부은 물의 기운을

채송화 봉선화 사루비아 눈치 보는 바랭이풀 잡초까지 물너울을 씌워주고도

박수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반쯤을 남긴

세숫대야 물을 내게 들려 손님을 맞듯 대문을 여신다

뿌리거라, 길이 팍팍해서야 되겠냐

흙꽃*에게도 물을 줘야지

최대한 물의 보자기를 펼치듯 헹가래를 치는 물

마지막 박수는 이렇게 들뜬 흙먼지를 넓게 가라앉히는 일,

수도꼭지가 박수쳐서 보낸 물의 여행은

아직도 할머니 발등을 적시고 유전(流轉)하는 박수소리로

길을 떠나 사루비아 달콤한 핏빛에도 스며뒀으니

실수하고도 박수를 받으면

언젠가 갸륵한 일들로 재장구쳐오는 날도 있으리라

끝없이 마음의 꿀을 물어오는 저 물의 호접(蝴蝶)은

어느 근심의 그늘 밑에 두어도 내내 환하다

 

* 흙꽃: 흙먼지의 방언

 

 


 

유종인 시인

1968년 인천에서 출생. 시립인천전문대학 문헌정보학과 졸업. 1996년 《문예중앙》에 시 〈화문석〉 외 9편이 당선되어 등단. 2002년 《농민신문》 신춘문예 시조 부문과 2003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시조 부문에  당선. 시집으로 『사랑이라는 재촉들』, 『아껴 먹는 슬픔』과 『교우록』, 『수수밭 전별기』, 『숲시집』, 시조집 『얼굴을 더듬다』 등이 있음. 지리산문학상, 송순문학상, 지훈문학상 수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