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시인과 시(현대)

김중일 시인 / 가장 큰 직업으로서의 시인 외 1편

by 파스칼바이런 2022. 8. 5.

김중일 시인 / 가장 큰 직업으로서의 시인

- 아무도 접속하지 않은 채널의 접속을 기다리며 하는 상념

 

 

지금 만나러 가는 너의 직업은 시인이라고 한다

시인도 직업일까, 한 번쯤은 물어보고 싶은 마음을 알고 있는 듯 너는 묻지도 않았는데 만날 때마다 종종 대답한다.

시인은 가장 큰 직업이다.

마치 스스로 드는 미심쩍음에게 하는 대답인 것처럼.

나는 그것을 다짐이라고 생각해도 좋을까.

 

'가장 큰 직업' 이라는 말이 좀 걸린다.

그 말은 어쩌면 직업 따위가 아니라는 뜻이 아닐까, 하는 생각에 이른 건 최근의 일이다.

'가장 큰 직업' 이란 당최...

무엇일까, 식상하게 삶이나 죽음 같은 것만 아니면 나는 상관없다.

 

열심히 노동하여 집을 지으면 폭풍이 와도 튼튼한 집이 남지만,

열심히 밤새 지은 '시' 라는 채널의 관건은

지극히 개인적으로, 얼마나 큰 슬픔을 나누고 허무는가에 달렸다.

아침 해와 함께 흔적 없이 증발하는,

실체가 남지 않은 일을 직업이라고 할 수 있을까.

아무래도 가장 큰 직업은 직업은 아니라는 뜻이 분명하다.

 

무작위로 배정되는 한 편의 채널에 접속을 기다리며 들었던 상념들을 서로 나누며,

빨래 개기를 마친 너는 노동의 대가로 배달 음식을 시킨다.

휴대폰을 집어 들면서 함께 있는 공간을 둘러보며 한마디 덧붙인다.

 

이런 수십 개의 채널을 모아놓은 한 권의 시집은 말이야,

다림질까지 한 듯 기막히게 반듯이 개어놓은 시인의 속옷 같단 말이야.

세상에 존재하는 표백제로는 아무리 빨아도 결코 다 빠지지 않는 슬픔의 때가 미량이나마 껴 있어서, 결국 죽을 때까지 제대로 입어보지도 못하고 계속 다시 빨아야 하는, 빨다가 갑자기 눈물이 툭 터질 정도로 허무하기가 그 어떤 시적 수사로도 비유할 수 없는.

 

-월간 《현대시 2022년 2월호에서-

 

 


 

 

김중일 시인 / 지구를 끌어안다가 가슴이 꿰뚫린 하늘

 

 

공중이 우주로 날아가지 않도록

공중의 끝자락에 무수히 꽂아둔 나뭇가지들

공중과 가지 사이 실밥처럼 불거진 꽃들

공중에 나무들이 쏘아올린 공처럼 치솟는 새들

새들은 까마득한 공중에 난 검은 구멍이다

그 구멍으로 검고 깊은 우주가 들여다보인다.

새는 지구를 끌어안다가 가슴이 꿰뚫린 하늘의 구멍이다.

새의 깃털은 하나하나 깊은 주름이다.

새 한 마리가 여자의 정수리 위를 맴돈다.

한 여자가 공중에 난 구멍을 올려다본다.

한 아이가 공중에 난 구멍을 내려다본다.

새의 그림자 같은 검고 희미한 얼굴빛의 여자들

한 아이가 공중에 난 구멍으로 오래도록 들여다본다.

지구를 덮은

하늘에 수십여 개의 구멍이 나 있다.

 

 


 

김중일 시인

1977년 서울에서 출생. 2002년 《동아일보》 신춘문예 시부문에 〈가문비냉장고〉가 당선되어 등단. 시집으로 『국경꽃집』(창비, 2007)과 『아무튼 씨 미안해요』(창비, 2012), 『내가 살아갈 사람』(창비, 2015)이 있음. 『가슴에서 사슴까지』, 『유령 시인』, 등. 2012년 신동엽문학상, 2013년 제3회 김구용시문학상, 2016년 제9회 시인광장문학상 수상. 현재 〈불편〉 동인으로 활동 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