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시인과 시(근대)

김억 시인 / 옛날 외 3편

by 파스칼바이런 2019. 6. 8.

김억 시인 / 옛날

 

 

잃어진 그 옛날이 하도 그리워

           

무심(無心)히 저녁 하늘 쳐다봅니다.

           

실낱같은 초순(初旬)달 혼자 돌다가

고요히 꿈결처럼 스러집니다.

 

           

실낱같은 초순(初旬)달 하늘 돌다가

고요히 꿈결처럼 스러지길래

잃어진 그 옛날이 못내 그리워

다시금 이 내 맘은 한숨 쉽니다.

 

안서시초, 박문서관, 1941

 


 

 

김억 시인 / 오다 가다

 

 

오다 가다 길에서

만난 이라고

그저 보고 그대로

갈 줄 아는가.

 

뒷산은 청청(靑靑)

풀 잎사귀 푸르고

앞바단 중중(重重)

흰 거품 밀려 든다.

 

산새는 죄죄

           

제 흥(興)을 노래하고

바다에니 흰 돛

옛 길을 찾노란다.

 

자다 깨다 꿈에서

만난 이라고

그만 잊고 그대로

갈 줄 아는가.

 

           

십리포구(十里浦口) 산(山) 너먼

그대 사는 곳

송이송이 살구꽃

바람과 논다.

 

           

수로천리(水路千里) 먼먼 길

왜 온 줄 아나.

예전 놀던 그대를

못 잊어 왔네.

 

안서시초, 박문서관, 1941


*'조선 시단' 창간호(1929.11)수록. 7.5조를 바탕으로 한 민요풍의 정형시. 주제는 옛 정을 그리는 한국인 특유의 인정미. 이 작품은 역시 안서의 다른 모든 작품과 마찬가지로 탁월한 시정신이 보이지 않고, 우리말의 리듬에만 반응을 보이고 있을 뿐이다.

 

 


 

 

김억 시인 / 삼수 갑산(三水甲山)

 

 

삼수갑산 가고지고

삼수갑산 어디메냐

아하 산첩첩에 흰구름만 쌓이고 쌓였네.

 

삼수갑산 보고지고

삼수갑산 아득코나

아하 족도난(蜀道難)이 이 보다야 더할소냐.

 

삼수갑산 어디메냐

삼수갑산 내 못 가네

아하 새더라면 날아 날아 가련만도.

 

삼수갑산 가고지고

삼수갑산 보고지고

아하 원수로다 외론 꿈만 오락가락.

 

안서시집, 한성도서주식회사, 1929


*안서는 애수야말로 한국시의 고유한 정조(情調)라 생각했는데. 이 시 역시 민요적 애구가 흐른다. 함경도 벽촌인 삼수 갑산에 가고 싶으나, 거기는 산이 첩첩이 싸여 구름조차 막힌 곳. 새라면 날아서 가 볼 수 잇을 터인데 그러지도 못하고, 외로운 꿈만 오락가락한다는 뜻이다.

 

 


 

 

김억 시인 / 비

 

 

포구 십 리에 보슬보슬

쉬지 않고 내리는 비는

긴 여름날의 한나절을

모래알만 울려 놓았소.

 

기다려선 안 오다가도

설운 날이면 보슬보슬

만나도 못코 떠나버린

그 사람의 눈물이던가.

 

설운 날이면 보슬보슬

어영도(漁泳島)라 갈매기떼도

지차귀가 축축히 젖어

너흘너흘 날아를 들고.

 

자취 없는 물길 삼백 리

배를 타면 어디를 가노

남포 사공 이 내 낭군님

어느 곳을 지금 헤매노.

 

*'안서 시집'(1929.4) 수록. 보슬비 내리는 날의 우수를 읊은 감상적 서정시. 4.5조의 민요조. 주제는 그리움. 이 시의 이미지는 비-눈-물-낭군-그리움으로 이어진다. "어영도" "남포"는 향토색이 짙은 시어. 음수율에 사로잡혀 "못코" "날아를 들고"라 표현한 것은 큰 단점이다.

 

 


 

김억(金億) 시인 [1893.11.30~?]

최초의 번역 시집 《오뇌의 무도》를 낸 시인. 주요저서 : 《오뇌의 무도》 《해파리의 노래》 《꽃다발》 《망우초》 호: 안서(岸曙). 본명: 희권(熙權). 평북 정주(定州) 출생. 오산중학(五山中學)을 졸업하고 일본 게이오의숙[慶應義塾] 문과를 중퇴하였다. 모교인 오산중학과 평양 숭덕학교(崇德學校)에서 교편을 잡고 《동아일보》와 경성방송국에서도 근무하였다. 1941년 국민총력조선연맹 문화부 문화위원, 조선문인협회 간사, 조선문인보국회

 평의원 등을 지내면서 친일활동을 하였다. 8 ·15광복 후에는 출판사에 몸담고 있다가 6 ·25전쟁 때 납북되었다. 20세 때인 1912년부터 시를 발표하기 시작했고, 특히 투르게네프 ·베를렌 ·구르몽 등의 시를 번역 ·소개하여 한국 시단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최초의 번역 시집 《오뇌의 무도》는 베를렌 ·보들레르 등의 시를 번역한 것으로서 한국 시단에 상징적 ·퇴폐적 경향을 낳게 하는 촉매적 역할을 하였다. 또한 타고르의 《기탄잘리》 《원정(園丁)》 《신월(新月)》 등을 번역하였고, 그 밖에 A.시몬즈 시집 《잃어버린 진주》와 한시의 번역 시집인 《꽃다발》 《망우초》 《중국 여류시선》 등이 있다. 1923년에 간행된 그의 시집 《해파리의 노래》는 근대 최초의 개인 시집으로서 인생과 자연을 7 ·4조, 4 ·4조 등의 민요조(民謠調) 형식으로 담담하게 노래한 것이 특징이다. 한편, 에스페란토의 선구적 연구가로서 1920년 에스페란토 보급을 위한 상설 강습소를 만들었는데, 한성도서에서 간행한 《에스페란토 단기 강좌》(1932)는 한국어로 된 최초의 에스페란토 입문서이다. 그는 특히 오산학교에서 김소월(金素月)을 가르쳐 그를 시단에 소개한 공적을 남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