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인보 시인 / 자모사(慈母思)
1 가을은 그 가을이 바람불고 잎 드는데 가신 님 어이하여 돌오실 줄 모르는가 살뜰히 기르신 아이 옷 품 준 줄 아소서
2 부른 배 골리보고 나은 얼굴 병만 여겨 하루도 열두 시로 곧 어떨까 하시더니 밤송인 쭉으렁*인 채 그지 달려 삽내다
3 동창에 해는 뜨나 님 계실 때 아니로다 이 설움 오늘날을 알았드면 저즘미리 먹은 맘 다 된다기로 앞 떠날 줄 있으리
4 차마 님의 낯을 흙으로 가리단 말 우굿이* 어겼으니 무정할 손 추초(秋草)로다 밤 이여 꿈에 뵈오니 편안이나 하신가
2 * 쭉으렁-우리 속담에 쭉으렁 밤송이 삼년 달린다는 말이 있다. 다병(多病)한 사람이 그대로 부지하는 것을 이에 견주어 말하며 못 생기고 오래 사는 것을 이에 견주어 말한다. 4 * 우굿이-茂盛한 모양
5 반갑던 님의 글월 설움될 줄 알았으리 줄줄이 흐르는 정 상기 아니 말랐도다 받들어 낯에 대이니 배이는 듯하여라
6 므가나* 나를 고히 보심 생각하면 되 서워라 내 양자*(樣子) 그대로를 님이 아니 못보심가 내 없어 네 미워진 줄 어이 네가 알것가
7 눈 한번 감으시니 내 일생이 다 덮여라 질* 보아 가련하니 님의 속이 어떠시리 자던 닭 나래쳐 울면 이때리니 하여라
8 체수는 적으셔도 목소리는 크시더니 이 없어 옴으신 입 주름마다 귀엽더니 굽으신 마른 허리에 부지런히 뵈더니
6 * 므가나 : 미운 6 * 양자 : 모양 7 * 질 : 저를, 나를
9 생각도 어지럴사 뒤먼저도 바없고야 쓰다간 눈물이요 쓰고 나니 한숨이라 행여나 님 들으실까 나가 외워 봅니다
10 미닫이 닫히었나 열고 내다보시는가 중문 턱 바삐 넘어 앞 안 보고 걸었더니 다친 팔 도진다마는 님은 어대 가신고
11 젖 잃은 어린 손녀 손에 끼고 등에 길러 색시꼴 백여가니 눈에 오즉 밟히실가 봉사*도 님 따라간지 아니 든다 웁내다
12 바릿밥* 남 주시고 잡숫느니 찬 것이며 두둑히 다 입히고 겨울이라 엷은 옷을 솜치마 좋다시더니 보공*되고 말어라
11 * 봉사-봉선화의 와(訛), 소녀들이 봉선화를 짓찧어서 손톱에 홍색을 들이니 이를 봉사들인다고 한다. 12 * 바릿밥-바리(놋쇠로 만든 여자의 밥그릇)에 담아 둔 밥. 놋그릇에 담은 따뜻한 밥은 남에게 주시고 어머니는 늘 찬밥을 잡수셨다는 뜻으로, 어머니의 희생적 자애로움을 표현하고 있다. 12 * 보공-사람이 죽은 뒤에 관의 빈 곳을 채우는 옷. 겨울에는 솜치마 좋다고 하시면서도 그것을 아끼시느라 입지 않으시더니, 끝내 그 솜치마는 돌아가신 뒤에 관의 빈 곳을 채우는 옷이 되고 말았다는 뜻이다. 어머니의 근검한 생활 태도와 그에 대한 시적 자아의 안타까움을 상징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13 썩이신 님의 속을 깊이 알 이 뉘 있스리 다만지 하루라도 웃음 한번 도읍과저 이저리 쓰옵던 애가 한 꿈되고 말아라
14 그리워 하 그리워 님의 신색 하 그리워 닮을 이 뉘 없으니 어딜 향해 찾으오리 남으니 두어 줄 눈물 어려 캄캄하고녀
15 불현듯 나는 생각 내가 어이 이러한고 말 갈 데 소 갈 데로 잊은 듯이 열흘 달포 설움도 팔자 없으니 더욱 느껴 합내다
16 안방에 불 비치면 하마 님이 계시온 듯 닫힌 창 바삐 열고 몇 번이나 울었던고 산 속에 추위 이르니 님을 어이 하올고
17 밤중만 어매 그늘 세 번이나 나린다네* 게서 자라날 제 어인 줄을 몰랐고여 님의 공 깨닫고 보니 님은 벌써 머셔라
18 태양이 더웁다 해도 님께 대면 미지근타 구십춘광(九十春光)이 한 웃음에 퍼지서라 멀찌기 아득케나마 바랄 날이 언제뇨
19 어머니 부르올 제 일만 있어 부르리까 젖먹이 우리 애기 왜 또 찾나 하시더니 황천(黃泉)이 아득하건만 혼자 불러 봅내다
20 연긴가 구름인가 옛일 벌써 희미(熹微)해라 눈감아 뵈오려니 떠오느니 딴 낯이라 남없는 거룩한 복이 언제런지 몰라라
17 * 밤중만 어매 그늘 세 번이나 나린다네-아이가 잘 때에도 어미의 이슬( 어머니의 눈물, 정성, 사랑)이 세 번 내린다’라는 속신(俗信)에서 비롯된 표현으로 어머니의 끊임 없는 정성을 인유적(引誘的)으로 서술하고 있다.
21 등불은 어이 밝아 바람조차 부는고야 옷자락 날개 삼아 훨훨 중천 나르과저 이윽고 비소리나니 잠 못 이뤄 하노라
22 풍상(風霜)도 나름이라 설움이면 다 설움가 오십년 님의 살림 눈물인들 남을 것가 이저다* 꿈이라시고 내 키만을 보서라
23 북단재 뾰죽집*이 전에 우리 외가(外家)라고 자라신 경눗골*에 밤동산은 어디런가 님 눈에 비취던 무산* 그저 열둘이려니
24 목천(木川)집 안방인데 누우신 양 병중이라 손으로 머리 짚자 님을 따라 서울길로 나다려 말씀하실 젠 진천인 듯하여라
22 * 이저다 : 이것 저것 모두 23 * 뾰죽집 : 천주교당(天主敎堂)의 속어 23 * 경눗골 : 정릉동(貞陵洞) 23 * 무산 : 巫山十二峰
25 뵈온 배 꿈이온가 꿈이 아니 생시런가 이 날이 한 꿈되어 소스라쳐 깨우과저 긴 세월 가진 설움 맘껏 하소 하리라
26 시식(時食)도 좋건마는 님께 드려 보올 것가 악마듸* 풋저림을 이 없을 때 잡숫더니 가지록 뼈아풉내다 한(恨)이라만 하리까
27 가까이 곁에 가면 말로 못할 무슨 냄새 마시어 배부른 듯 몸에 품겨 봄이온 듯 코끝에 하마 남은가 때때 맡아 봅내다
28 님 분명 계실 것이 여기 내가 있도소니 내 분명 같을 것이 님 가신지 네 해로다 두 분명 다 허사외라 뵈와 분명하온가
26 * 악마듸 : 억세인 것, 억센
29 친구들 나를 일러 집안 일에 범연타고 아내는 서워라고 어린아이 맛없다고 여린 맘 설움에 찢겨 어대 간지 몰라라
30 집터야 물을 것가 어느 무엇 꿈아니리 한 깊은 저 남산이 님 보시던 옛 낯이라 게섰자 눈물이리만 외오 보니 설워라
31 비 잠깐 산 씻더니 서릿김에 내 맑아라 열구름 뜨자마자 그조차도 불어 없다 맘 선뜻 반가워지니 님 뵈온 듯하여라
32 마흔의 외둥이를 응아하자 맏동서께 남없는 자애렸만 정 갈릴가 참으셨네 이 어찌 범절만이료 지덕(至德)인 줄 압내다
33 찬 서리 어린 칼을 의로 죽자 내 잡으면 분명코 우리 님이 나를 아니 붙드시리 가서도 계신 듯하니 한 걸음을 긔리까*
34 어느 해 헛소문에 놀라시고 급한 편지 네 걸음 헛디디면 모자 다시 안 본다고 지질한 그날 그날을 뜻 받았다 하리오
35 백봉황(白鳳凰) 깃을 부쳐 도솔천궁 향하실 제 아득한 구름 한점 옛 강산이 저기로다 빗방울 오동에 드니 눈물 아니 지신가
36 엽둔재 높은 고개 눈바람도 경이랏다 가마 뒤 잦은 걸음 얘기 어이 그쳤으리 주막집 어둔 등잔이 맛본상*을 비춰라
33 * 긔리까 : 만과(瞞過), 속여 넘김 36 * 맛본상 : 겸상으로 보아 놓은 밥상
37 이 강이 어느 강가 압록(鴨綠)이라 엿자오니 고국산천이 새로이 설워라고* 치마끈 드시려 하자 눈물 벌써 굴러라
38 개울가 버들개지 바람 따라 휘날린다 행여나 저러할라 돌이고도 굴지 마라 이 말씀 지켰다한들 누를 향해 사뢸고
39 이만 사실 님을 뜻조차도 못받든가 한번 상해드려 못내 산 채 억만년을 이제와 뉘우치란들 님이 다시 오시랴
40 설워라 설워라해도 아들도 딴 몸이라* 무덤풀 욱은* 오늘 이 살붙어 있단 말가 빈 말로 설운 양함을 뉘나 믿지 마옵소*
37 * 고국산천이 새로이 설워라고'-새삼 고국 생각이 나서 서럽다고 하시고 ’ 의 뜻으로 고국을 떠나 유랑민이 된 설움이 새삼 복받치고 있음을 표현하고 있다. 40 * 설워라 설워라해도 아들도 딴 몸이라-어버이의 사랑이 자식의 어버이에 대한 사랑보다 크다 40 * 욱은 : 우거진, 어머님 묻히신 곳에 풀이 우거진 오늘날 어떻게 살아 있을 수 있다는 말인가. 바쁜 일상 생활에 찌들려 어머님 생전에 효도를 다하지 못한 것에 대하여, 돌아가신 후에야 뼈저리게 뉘우침을 표현한 것이다 40 * 빈 말로 설운 양함을 뉘나 믿지 마옵소-전체를 요약하는 성격의 장, 어머니 생전에 효를 다하지 못한, 그리고 후일의 효마저 겉모습만을 보이는 자식으로서의 회한을 노래 (풍수지탄)
- <신생>(1925) -
자모사의 배경 작자에게는 생모(生母-대구 서씨)와 양모(養母-양자로 간 집, 월성 이씨)의 두 어머니가 계셨는데 두 어머니가 다 숙덕(淑德)이 장하고 자애(慈愛)가 깊었다고 한다. 이 시조는 두 분이 다 돌아가신 후에 쓴 작품이며, 이 시조에서 읊어지는 어머니는 그 중 어느 한 분만을 대상으로 하지않고 어느 분이나 생각나는 대로 한 수씩 지어 나간 것이다. 자모사에 붙인 그의 해제에서 ‘생어머니는 높고 양어머니는 크다 ··· 어머니 한 분을 먼저 여읜 뒤는, 한 분머저 여의면 나는 부지하지 못할 줄로 알았다. 그러다가 목천서 어머니 상사(喪事)를 당했다. ··· 그 가을에 서울로 이사하여 오니 갈수록 서러워 길 가다가도 가끔 혼자 울었다. 이 시조는 병인년 가을에 지었다.’라고 자모사의 창작 배경을 밝히고 있다.
|
'◇ 시인과 시(근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광균 시인 / 한등(寒燈) 외 3편 (0) | 2019.08.15 |
---|---|
정한모 시인 / 어머니 1 외 2편 (0) | 2019.08.15 |
김광균 시인 / 조화(弔花) 외 4편 (0) | 2019.08.14 |
정인보 시인 / 근화사 삼첩 외 2편 (0) | 2019.08.14 |
장서언 시인 / 이발사의 봄 (0) | 2019.08.14 |